앱개발 소모임 연말 정리 1.통신 정보
앱개발 소모임 연말 정리 1.통신
본문
1.1 Restful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Cross Platform간의 통신 방식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앱에서 서버의 데이타를 주고 받기 위해서도 사용하지만, Web 자체에서도 Rest로 View단으로 전달하면, View단에서 화면에 보여준다.. Drupal 8에서 Twig Template을 이용해서 보여줌.
Restful은 JSON (JSONP)로 데이타를 HTTP의 get, put, post 등을 사용해서 주고 받는다..
1.2 Oauth2.0
Restful을 보다보면, 사용자 인증을 어떤 식으로 할것인지에 대해서 나오는데, 이 때 많이 나오는 용어가 Oauth2.0이다.
Oauth의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구성되는데, 서버는 보통 이름이 있는곳등에서 지원해준다..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등.. 네이버, 카카오톡등..
클라이언트단의 예제는 많이 나오지만. 서버단 구현은 몇개가 없어서...
그누보드에서도 Oauth2.0서버단을 구현하고, 거기에 맞게 개발자들이 쉽게 테스트등을 할수 있게 해 주면 좋을 것 같은데..
막상 정리를 한다고 해보았지만, 별로 쓸것이 없네요..
공감
0
0
댓글 2개

그래도 그나마 어디서 다 주워들은 용어이긴 하네요...
다행스럽네요 ㅡ.ㅜ
다행스럽네요 ㅡ.ㅜ

앱을 개발할려고 하는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고, 말주변이 없다보니, 지난 6개월간 고민하고, 공부했던것을 간단하게 정리해 볼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