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사양 컴퓨터에서 우분투 데스크탑 운용 - 1 > 퍼블리셔팁

퍼블리셔팁

퍼블리싱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세요.
질문은 상단의 QA에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사양 컴퓨터에서 우분투 데스크탑 운용 - 1 정보

HTML 저사양 컴퓨터에서 우분투 데스크탑 운용 - 1

본문

오랬만에 글 올립니다.

저사양 컴퓨터(p4 1.8, 1G Ram)에서 우분투 데스크탑 9.10 설치 및 운용 - 일주일 사용기
- 웹관리, 음악감상, 웹서핑 정도는 쾌적하게 해주는군요.
- xp로 부팅하지 않고 웹관리를 해보자는 정도로 시작한 것입니다.

단지 일주일 접해본 우분투 무른모 소개 시작합니다.

1. Tilda - 작업공간 어디서나 특정키로 순식간에 불러쓰는 터미널 콘솔

Tilda 실행후 아래 터미널용 프로그램을 별도 탭에서 실행시키면 작업표시줄에 아무것도 안보이게 깔끔한 작업 및 음악감상등이 가능하다.

Tilda 실행후 Ctrl+T 로 별도탭을 열고 차례대로 실행시킨후 F1(기본설정-바꿀수있다)으로 숨겨두고 필요할때만 다시 F1으로 불러서 쓴다.

즉, mocp, Linm, vim등 터미널용 툴을
Tilda에 모두 싣고 그때그때 불러쓴다는 것이다.
투명배경을 지원하기때문에 문서를 보면서 작업할때 무척 편리하다.

2. LinM - 국산
text 기반 파일관리 콘솔로 대단히 유용하다.

로컬뿐 아니라 원격파일 편집(자체편집기 및 vim 연동), 이동이 가능하다.
sftp 포로토콜, M$환경에 익숙한 단축키로 구성되어있다.
로컬에서만 작동하지만 그래도 유용한 커맨드 '/' 명령도 매력적이다.

LinM은 kldp에서 따로 받아서 설치해야 한다.

아래는 32비트 패키지 경로이며 자신에 맞는 파일을 찾으면 된다.
$wget http://kldp.net/frs/download.php/4510/linm_0.8.1-1_i386.deb

의존성 패키지 우선 설치
# sudo apt-get install libsmbclient

LinM설치
# sudo dpkg --install linm_0.8.1-1_i386.deb

실행 /usr/bin/linm

3. moc - 콘솔용 경량 mp3 재생 프로그램으로 부담없이 음악감상하며 작업할 수 있다.
당연한 예기지만 콘솔이 죽어도 프로세스만 살아있으면 계속 음악을 들려주는 재미있는 프로그램이다.
콘솔에서 실행하거나(/usr/bin/mocp)
실행프로그램에 등록후 상단 패널에 추가해두면 매우 편리하다.

4. 가장많이 사용하는 편집기 gedit 활용팁
gedit은 그나마 윈도우 환경에 익숙한 사용자에게 친숙하고 사용이 빈번한 툴이나 가장 핵심적인 기능인 원격파일 직접 편집 기능이 없다.

그러나 우회하는 방법이 있다.
'위치/서버에연결'에서 편집할 계정을 '책갈피추가'후 등록하면 gedit 파일브라우저(F9)에 책갈피 항목에 등록된다.
*대개 터미널 작업과 병행해야 하기때문에 FTP(로그인)계정으로 설정한다.
등록된 책갈피 가운데 연결할 서버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해당 계정이 마운트된다.
마운트된 파일을 편집하면 실시간으로 적용된다.
플러그인 활성화로 EditPlus와 비슷한 환경에서 작업이 가능하나 아직은 코드 폴딩 기능이 없는 점이 아쉽다.

5. Sun VirtualBox
우분투에서 윈도우를 돌릴 가상머신이다.
사이트에서 deb 패키지를 다운받아서 설치한다.
설치후 XP를 설치하기전에 반드시 '시스템/관리/사용자와그룹/자신의계정/그룹관리'에서 vboxusers 항목에 자신의 로컬계정을 지정해야 한다.

직관적인 구성으로 손쉽게 xp를 설치할수 있다.
xp설치후 별도의 드라이버 설치가 필요없고 xp 부팅후 오직 "장치/게스트확장설치"만 실행해주면 그래픽, 인터넷등을 무난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전부터 맥에서 상용 VMware Fusion 쓰고 있는데 기능이나 인터페이스에서 별반 차이가 없을 정도로 가볍고 잘 돌아간다.

--------------------------------------------------
이정도 해놓으니까 계정관리나 웹관리작업 모두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은 된듯 합니다.
이 글도 우분투에서 작성하고 있습니다.
차후 좋은 내용이 있으면 다시 글 올리겠습니다.
보너스로 글 내용과 무관한 '네개의 작업공간을 단축키로 보여주는' Exop(윈키+e) 스냅샷 입니다.^^
유익한 연말연시 맞으시길....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
추천
1
  • 복사

댓글 5개

추천에 덧글까지 감사합니다.^^
거의 3년만에 우분투를 다시 설치해본 것입니다.
모든 면에서 굉장히 향상되고 사용하기에도 편리해졌다고 느꼈습니다.

나중에 설치할때 참고할만한 팁 입니다.

---------------------------------------------------------------------------------------------------------------------------
하드디스크가 두개이상 이라면 xp에 전혀 영향을 주지않고 설치해서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
*부트로더(Grub) 설치를 반드시 리눅스 파티션에 해줘야 합니다.
*hdd0 - xp 설치(가정)
*hdd1 - 우분투 설치(예정)
바이오스에서 부팅순서를 cd>hdd1>hdd0 순서로 바꿔준다.
우분투시디로 부팅, 설치를 진행하다보면 '부트로더설치'창이 뜬다.
*이때 그냥 통과시키지 말고 '고급'옵션으로 들어간다.
기본 hdd0으로 잡혀있는 부트로더 설치 디스크를 hdd1로 변경한다.
-sda(hdd0), sdb(hdd1) 이런식으로 보일수 있는데 sdb를 선택한다.
-sdb하위에 sdb0, sdb1~ 이런식으로 보이는 하위 파티션이 아닌 sdb루트를 반드시 선택해야 한다.

설치후 재부팅하면 hdd1번으로 부팅되면서 hdd0의 xp까지 부팅메뉴에 잡힌다.
나중에 바이오스에서 부팅순서만 hdd0번으로 잡아주면 xp로 단독부팅 된다.
*즉 xp설치 파티션의 마스터부트레코드(MBR)를 건드리지 않았기 때문에 xp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고 우분투를 설치해볼수 있다.

만약 부트로더를 hdd0에 설치했거나 xp설치 파티션의 마스터부트레코드(MBR)가 문제가 생겼다면 다음 절차를 통해 간단하게 복구가 가능하다.
xp설치 시디로 부팅/복구모드 진입
fixmbr 명령으로 쉽게 복구됩니다.


---------------------------------------------------------------------------------------------------------------------------
무선랜일때 우분투 설치;
---------------------------------------------------------------------------------------------------------------------------
유선이라면 케이블만 연결하고 바로 설치해도 업데이트 패키지로 바로 설치됩니다.
다만, 무선환경이라면 라이브시디로 부팅후 무선랜을 잡고 부팅된 그 상태에서 설치하는게 좋습니다.
- 드라이버 설치 필요없이 바로 무선랜을 잡아줍니다.
네 그러시군요^^;
저도 작업용 맥북은 1.83듀오입니다.
거기다 테스트용 우분투 서버는 p3 933, 512 입니다.ㅠㅠ
그래도 그누보드는 물론이고 테스트 삼아 xe 전체설치해봤는데 잘(?) 돌아가더군요.
마침 친구가 쓰던 컴터 가져가라고해서 서버 꾸밀라고 가져왔습니다.
저사양이라서 "오~ 이거다"하고 들어왔습니다.

친구가 준 컴터사양 : 삼보컴퓨터 본체 (DREAMSYS EZ), 펜티엄3, 600Mhz, 메모리128M, HDD20G*2

좀더 저사양으로 찾아봐야겠군요.ㄷㄷㄷ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