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메다은하(M31)를 찾아라/정답공개 > 퀴즈게시판

퀴즈게시판

답을 맞히시면, 문제를 내신 회원님이 채택을 해드립니다.
채택은 '좋아요'와 같습니다.

안드로메다은하(M31)를 찾아라/정답공개 정보

안드로메다은하(M31)를 찾아라/정답공개

본문

윈도우10 배경 화면입니다.

윈도우가 자동으로 잠금 화면을 이것으로 바꿔 줬는데 마음에 듭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직녀성과 견우성이 눈에 확 띕니다.


... 저작권 위배 소지가 있어 이미지를 삭제했습니다.

 

  • 복사

댓글 19개


별이 빛나는 창공을 보고 갈 수가 있고,
또 가야만 하는 길의 지도를 읽을 수 있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
그리고 별 빛이 그 길을 훤히 밝혀주던  시대는 얼마나 행복했던가.
이러한 시대는 새로우면서도 친숙하며,
또 모험으로 가득 차 있으면서도 자기의 소유로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세계는 무한히 광대하지만 마치 자기 집에 있는 것처럼 아늑한데,
왜냐하면 영혼속에서 타오르고 있는 불꽃은 별들이 발하고 있는 빛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이다.

- 죄르지 루카치 '소설의 이론' 서문중에서 -
  • 채택 0
맑은 날이면 서울 근교에서도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은하이니 만큼 잘 찾아보기 바랍니다.
이 쪽으로 맹렬히 다가 오는 듯한 게 있습니다.
30~40억년 후 쯤에 우리 은하와 충돌하고나서 합쳐진다고 합니다.
  • 채택 0
애석하게도 지구는 못 구합니다.
두 은하가 충돌하여 밀키드로메다가 되기 훨씬 전에 지구는 사달이 납니다.
17억년 후 태양이 부풀기 시작하는데 곧 지구는 바닷물이 끓어 증발하고 대기가 날아 갑니다.
그 때부터 지구는 생명체가 살 수 없는 환경이 됩니다.
인간들은 그 전에 어디론가 달아나야 합니다.
태양계에서 물과 천연자원이 풍부한 카이퍼 밸트대의 왜소행성이 적합할 것입니다.
이후 태양이 약 20억년간 지속적으로 커지는 과정에서 지구를 삼켜버립니다.
  • 채택 0
(정답은 아래 이미지에 있습니다)
위 사진은 봄철, 새벽, 북반구에서 북동쪽을 향해 찍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맑은 날 밤이나 새벽 어디서 카시오페아가 보이면 안드로메다 자리 사이에서 안드로메다 은하를 한 번 찾아 보기 바랍니다.
기괴하게 느껴지는 때도 있습니다.
250만 광년 떨어져 있으므로 인간이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일 때 빛을 이제서야 보는 것입니다.
직녀와 견우가 만나는 오작교를 옛 사람들이 어떻게 상상했는지 그려집니까?
궁수자리 인근에 우리 은하의 중심이 있는데 여기서 약 3만광년 거리입니다.
거기에는 질량이 태양의 400만배 가량하는 블랙홀이 있다고 합니다.
(궁수자리 A*)
우리 은하의 지름은 10만 광년입니다.


... 저작권 위배 소지가 있어 이미지를 삭제했습니다.
  • 채택 0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