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D 잘 아시는분??? 정보
HDD 잘 아시는분???
본문
노트북 하다 알아보는데 SSHD 라는게 나왔네요..
보니까 SSD 하드 기능을 안에 포함하고 있는거 같던데요..
그냥 HDD 보다 많이 빠른가요? 부팅시간 빠르다 그런거 많이 홍보하던데, 노트북 잘 안꺼서 부팅 빠른건 상관 없고, 사용중에 빠른가 궁굼합니다.
용도는, 게임 안하고, 디자인도 거의 안합니다. 어쩌다 가끔 포토샵 한번 작동 합니다.
그리고 SATA3 5400 rpm 하고 SATA2 7200 rpm 하고 속도가 어떤게 더 빠르고 얼마나 많이 차이 나나요?
하드웨어 잘 아시는분 계시면 ..
가성비 좋은 거로 선택하려고 하니 문의좀 드려 봅니다.
댓글 전체
이 글을 옵션님께서 좋아하십니다.

리자님께 'Like' 버튼 만들어 달라고 해야 겠네요 ㅎㅎ

하드의 경제성
ssd의 속도라고 광고하더라구요
ssd의 속도라고 광고하더라구요

Sshd사용해 본결과 별로 일반하드랑 비슷한거 같기도 하던데요 7200rpm 하드 사용 낫죠 속도및 자료 보관 안하면 ssd를 권장합니다 강추 ssd

7200rpm cashe가 8M 하고 5200rpm cache 16M 하고 뭐가 더 빠른가요?
SSD가 빠르다고는 하는데, 얼마나 빠른지 잘 모르겠고, 현재도 크게 느리다는 느낌은 없어서요..
속성보니 현재 5400 rpm 캐쉬도 용량인거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SSD 사용하게 된다면 아마 다시 일반 하드디스크 사용 못하겠죠 ㅎㅎ
SSD가 빠르다고는 하는데, 얼마나 빠른지 잘 모르겠고, 현재도 크게 느리다는 느낌은 없어서요..
속성보니 현재 5400 rpm 캐쉬도 용량인거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SSD 사용하게 된다면 아마 다시 일반 하드디스크 사용 못하겠죠 ㅎㅎ
ssd 충분히 사용해보셨다면, 이런 댓글 달지 않으셨을 겁니다. ㅋㅋ
오죽했으면 서버까지 전부 ssd 로 다 갈아치웠고, 하드디스크는 대용량 보관 용도로만 사용한지 좀 되었습니다.
그리고, 8m, 16m 그건 캐쉬메모리가 아니고 버퍼메모리입니다. 이름 무늬만 다른 게 아니라, 개념 자체가 달라요.
자잘한 파일들 많을 땐 버퍼메모리 큰 쪽이 효율이 좋고, 용량 큰 파일들 많을 땐 알피엠 높은 게 갑입니다.
랩터가 1만 알피엠 박고 나왔어도 64m 버퍼 달고 나온 7200 알피엠 제품보다 못하다는 소리를 하는 사람들이 나오는 것도 그 때문입니다.
오죽했으면 서버까지 전부 ssd 로 다 갈아치웠고, 하드디스크는 대용량 보관 용도로만 사용한지 좀 되었습니다.
그리고, 8m, 16m 그건 캐쉬메모리가 아니고 버퍼메모리입니다. 이름 무늬만 다른 게 아니라, 개념 자체가 달라요.
자잘한 파일들 많을 땐 버퍼메모리 큰 쪽이 효율이 좋고, 용량 큰 파일들 많을 땐 알피엠 높은 게 갑입니다.
랩터가 1만 알피엠 박고 나왔어도 64m 버퍼 달고 나온 7200 알피엠 제품보다 못하다는 소리를 하는 사람들이 나오는 것도 그 때문입니다.

SSHD...
저도 예전에 혹해서 이리저리 관련 내용들을 찾아봤는데
부정적인 평들이 더 많더군요.
저도 예전에 혹해서 이리저리 관련 내용들을 찾아봤는데
부정적인 평들이 더 많더군요.

저도 글들 몇개 읽어보기는 했는데, SSD기능하는 용량도 작은 편인거 같고, 뭐 알아서 HDD 부분하고 SSD부분하고 뭐 파일들을 알아서 옮긴다 하는데, 제대로 기능을 못할거 같기도 하구요..
스토리지에서 캐싱을 격하게 해주는 만큼 근본적으로 성능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다만, 현재 스토리지 사용 유형이 대용량 파일을 자주 다루는 추세라서, 제품의 성능을 제대로 발휘한다는 느낌을 받는 사용자가 많지 않습니다. 도대체 뭐가 좋다고 이렇게 비싼 걸 샀을까 하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불만이라고 글 올린 게 웹에 올라오는 셈이고요.
내장 ssd를 캐쉬로 쓴다는 건데, 자잘한 파일들 많은 시스템 드라이브용으로는 효과가 있지만, 대용량 스토리지용으로 사용할 땐 체감향상을 느끼기 힘든 제품입니다.

결론은 퍼포먼스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을 돌리지 않는 저 같은경우는 그냥 HDD나 다른 제품이나 별로 체감속도는 차이가 없다는게 맞을거 같네요.. (게임 X, 디자인 X... 정말 어쩌다 가끔 포토샵 잠깐)...
7200rpm 8M 하고 5400rpm 16M 하고 뭐가 더 빠르고 효율적인지만 선택하면 될거 같네요 :)
제가 이해한게 맞나요?
7200rpm 8M 하고 5400rpm 16M 하고 뭐가 더 빠르고 효율적인지만 선택하면 될거 같네요 :)
제가 이해한게 맞나요?

SATA2와 SATA3은 상호 호환 가능하지만... 보드 지원에 따라 달라지므로
비교는 의미 없다고 생각됩니다.
SATA2 지원 보드에 SATA3을 꽂으면... 사용은 가능하지만 속도는 SATA2와 동일하다고 하더군요.
비교는 의미 없다고 생각됩니다.
SATA2 지원 보드에 SATA3을 꽂으면... 사용은 가능하지만 속도는 SATA2와 동일하다고 하더군요.

랩탑에 원래 SATA3 달려 있습니다. SATA2는 고려하지 않고 있습니다.

SSHD 살빠엔 그냥 SSD 사세요.
제가 쓰던거 SSHD (SSD 32GB, HDD 500 기가)정도였던거였는데,
통 SSD 로 바꾸고 체감속도 2배 이상 빨라짐요.
제가 쓰던거 SSHD (SSD 32GB, HDD 500 기가)정도였던거였는데,
통 SSD 로 바꾸고 체감속도 2배 이상 빨라짐요.

SSHD 본게 1T 짜리 있어서요...
꼭 SSHD를 사려고 한건 아니고 HDD 다나와에서 보니까 SSHD가 많이 보여서요..
꼭 SSHD를 사려고 한건 아니고 HDD 다나와에서 보니까 SSHD가 많이 보여서요..

SSHD 사용하는데 별로 효과는 없는 것 같습니다.
SSHD는 SSD + HDD 라는 소리인데
만약 SSHD 1테라 짜리를 구매하셨다면 HDD는 1테라고 SSD는 8GB가 장착되어있는겁니다.
SSHD는 SSD 8GB 가 별도 장착되어있는거예요.
HDD SATA2와 SATA3의 차이는 전송속도입니다. 6GBPS, 3GBPS
또한 5400RPM, 7200RPM은 회전 속도라서 7200RPM이 훨씬 좋습니다.
캐시는 정확히 체감을 느낄 수 있는지 없는질 모르겠습니다.
캐시가 높다고 체감이 빨라지는 듯한 느낌을 받은 적은 없어서요.
돈 좀 더 들여서 SSD + HDD를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SSHD는 현재로써는 별로입니다.
SSHD는 SSD + HDD 라는 소리인데
만약 SSHD 1테라 짜리를 구매하셨다면 HDD는 1테라고 SSD는 8GB가 장착되어있는겁니다.
SSHD는 SSD 8GB 가 별도 장착되어있는거예요.
HDD SATA2와 SATA3의 차이는 전송속도입니다. 6GBPS, 3GBPS
또한 5400RPM, 7200RPM은 회전 속도라서 7200RPM이 훨씬 좋습니다.
캐시는 정확히 체감을 느낄 수 있는지 없는질 모르겠습니다.
캐시가 높다고 체감이 빨라지는 듯한 느낌을 받은 적은 없어서요.
돈 좀 더 들여서 SSD + HDD를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SSHD는 현재로써는 별로입니다.

그러면, 7200rpm 8M 하고 5400rpm 16M 하고 어떤게 빠른가요?

글에도 적었다 싶이 랩탑 입니다.
하드 하나만 달아야 겠죠..
하드 하나만 달아야 겠죠..

흠 시골이라 인터넷을 못 사용해서 지금 답변드립니다만.
7200RPM이 체감상 더 빠를겁니다.
7200RPM이 체감상 더 빠를겁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1998446&cate1=861&cate2=877&cate3=978&cate4=0
SSHD를 사려는게 아닌데, 이게 가장 적당한 선택인거 같습니다.
SSHD를 사려는게 아닌데, 이게 가장 적당한 선택인거 같습니다.

http://prod.danawa.com/info/?pcode=1943072&cate1=861&cate2=877&cate3=978&cate4=0
7200 rpm은 이거 달랑 하나인데, 후기보니 문제가 많네요...
7200 rpm은 이거 달랑 하나인데, 후기보니 문제가 많네요...

노트북에서 쓰냐고 후기가 문제가 많이 생기는 걸 겁니다.
7200RPM은 속도가 빠른 만큼 소음도 있기 때문이죠.
7200RPM은 속도가 빠른 만큼 소음도 있기 때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