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삼아 홈페이지 플레쉬 많으면 그누보드도 느려지는것 같음.. 정보
기타 참고 삼아 홈페이지 플레쉬 많으면 그누보드도 느려지는것 같음..본문
제가 플레쉬 홈페이지 여러군데 돌아다녀봐는데..
움직으는 플레쉬 많이 사용하면 ..
그누보드 자체도 이상하게 느림니다.
(증상: 글쓰기 할때 버벅 거린다고 해야되나 ㅡㅡ?)
물론 타 보드도 느릴수 있을것같음(테스트못해봣음) 그누보드만 사용함으로..
댓글 전체
?
궁금해 지는군요.
사실이라면 확인을 한번 해봐야 하겠네요.
^^
궁금해 지는군요.
사실이라면 확인을 한번 해봐야 하겠네요.
^^
플레쉬 많이 사용 하는 홈페이지가서 ..
마우스 휠마우스로 내려보세요 .. 페이지를
버벅 거리는 현상이 가끔 보이네요..
불여우는 잘모르겠습니다.
익스플러러 문제일수도 있구요..
그외 보안설정문제도 있게고 뭐 여러가지 원인이 있게죠.....
마우스 휠마우스로 내려보세요 .. 페이지를
버벅 거리는 현상이 가끔 보이네요..
불여우는 잘모르겠습니다.
익스플러러 문제일수도 있구요..
그외 보안설정문제도 있게고 뭐 여러가지 원인이 있게죠.....
플래시... CPU잡아먹는 괴물입니다. ^^;;
저는 그냥 그런가보다 했었는데.........
^^;
^^;
그 화려한 효과(?!)를 위해 가끔은 남발하게 되는 '플래시'라는 녀석은,
'g6man'님 말씀마따나, 시스템 리소스를 잡아먹는 괴물입니다.
실제 '플래시 무비'를 구성하는 파일의 용량은 크지 않다고 하더라도,
그 구동과정에서 사용자는 상상하지 못할 정도의 어마어마한(?!) 자원을 소모하죠.
때문에, 플래시효과를 흉내내는 자바스크립트 & 이미지, gif-animation을 적용하는
사이트도 상당수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내용은 대부분 개인사이트 및 비영리 사이트인 경우 자주 접할 수 있으며,
대규모 포털사이트나 기타 등등은 전혀 고려하지 않는 내용이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플래시 무비'를 많이 사용한다고 해서,
절대적으로 해당 사이트 또는 사용자의 pc가 반드시 시스템 자원의
압박으로 인해 버벅댄다는 것은 아닙니다.
최근에는 '플래시 무비' 작성에 있어서,
사용자의 고려와 상당히 많은 최적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참고로 하단에는 사이트 제작 및 플래시의 적용과 관련된 몇몇 링크를 기재합니다.
-. 사이트 제작시 메인페이지와 플래시의 효율적인 적용
http://ksearch.dreamwiz.com/BIN/view.cgi?no=132093
-. 플래시 무비와 여타의 멀티미디어 삽입 관련
http://ksea.paran.com/sknow/queview.php?que=144486
-. 플래시 무비와 cpu 점유(사용률)
http://xpert.co.kr/main/xpert/FAQRead.asp?xid=flash&start=0&id=477&type=&keyword=
-. 플래시 무비와 시스템 자원의 소모에 관련된 통합 검색링크
검색엔진 : 엠파스
키 워 드 : 플래시 무비가 시스템 자원을 얼마나 소모하는가
검색옵션 : 기본검색(즉... 검색어 넣고, Enter 날리라는 말씀)
http://search.empas.com/search/web.html?s=p&z=E&q=%C7%C3%B7%A1%BD%C3+%B9%AB%BA%F1%B0%A1+%BD%C3%BD%BA%C5%DB+%C0%DA%BF%F8%C0%BB+%BE%F3%B8%B6%B3%AA+%BC%D2%B8%F0%C7%CF%B4%C2%B0%A1&m=B&f=A
'g6man'님 말씀마따나, 시스템 리소스를 잡아먹는 괴물입니다.
실제 '플래시 무비'를 구성하는 파일의 용량은 크지 않다고 하더라도,
그 구동과정에서 사용자는 상상하지 못할 정도의 어마어마한(?!) 자원을 소모하죠.
때문에, 플래시효과를 흉내내는 자바스크립트 & 이미지, gif-animation을 적용하는
사이트도 상당수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내용은 대부분 개인사이트 및 비영리 사이트인 경우 자주 접할 수 있으며,
대규모 포털사이트나 기타 등등은 전혀 고려하지 않는 내용이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플래시 무비'를 많이 사용한다고 해서,
절대적으로 해당 사이트 또는 사용자의 pc가 반드시 시스템 자원의
압박으로 인해 버벅댄다는 것은 아닙니다.
최근에는 '플래시 무비' 작성에 있어서,
사용자의 고려와 상당히 많은 최적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참고로 하단에는 사이트 제작 및 플래시의 적용과 관련된 몇몇 링크를 기재합니다.
-. 사이트 제작시 메인페이지와 플래시의 효율적인 적용
http://ksearch.dreamwiz.com/BIN/view.cgi?no=132093
-. 플래시 무비와 여타의 멀티미디어 삽입 관련
http://ksea.paran.com/sknow/queview.php?que=144486
-. 플래시 무비와 cpu 점유(사용률)
http://xpert.co.kr/main/xpert/FAQRead.asp?xid=flash&start=0&id=477&type=&keyword=
-. 플래시 무비와 시스템 자원의 소모에 관련된 통합 검색링크
검색엔진 : 엠파스
키 워 드 : 플래시 무비가 시스템 자원을 얼마나 소모하는가
검색옵션 : 기본검색(즉... 검색어 넣고, Enter 날리라는 말씀)
http://search.empas.com/search/web.html?s=p&z=E&q=%C7%C3%B7%A1%BD%C3+%B9%AB%BA%F1%B0%A1+%BD%C3%BD%BA%C5%DB+%C0%DA%BF%F8%C0%BB+%BE%F3%B8%B6%B3%AA+%BC%D2%B8%F0%C7%CF%B4%C2%B0%A1&m=B&f=A
나스카님 링크 감사합니다.
시간내어서 한번 읽어봐야 하겠습니다.
^^
시간내어서 한번 읽어봐야 하겠습니다.
^^
대부분 액션스크립트를 많이 사용하더군요....
그리고 풀 플래시같은 경우 로드무비를 많이 이용하더라구요.....
간단해 보이는 어떤것을 플래시로 만든후 시스템 리소스를 보면 cpu가 거의 90%이상 육박하는 플래시도 있고
엄청 복잡해 보이는 플래시인데도 cpu가 10% 이내인것도 있습니다...
플래시가 나오기 훨씬전 디렉트라는 프로그램이 강력한 링고라는 언어를 사용했듯
플래시.............또 다른 언어를 연마해야 잘다룰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액션스크립트라는 괴물 말이죠...^^
그리고 풀 플래시같은 경우 로드무비를 많이 이용하더라구요.....
간단해 보이는 어떤것을 플래시로 만든후 시스템 리소스를 보면 cpu가 거의 90%이상 육박하는 플래시도 있고
엄청 복잡해 보이는 플래시인데도 cpu가 10% 이내인것도 있습니다...
플래시가 나오기 훨씬전 디렉트라는 프로그램이 강력한 링고라는 언어를 사용했듯
플래시.............또 다른 언어를 연마해야 잘다룰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액션스크립트라는 괴물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