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기초적인 강좌 정보
일반 아주 기초적인 강좌
본문
컴퓨터 언어를 이해한다는 것은, 일정 시기에 그것을 접해 본 사람이 아닌 경우엔;
힘들거나,
원초적으로 접근 불가능한 영역으로 보입니다.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입니다.
여기에 모인 사람들은 이미 프로그램의 세계에 발을 들여 놓았거나, 혹은 그것을 그냥 받아서 구사하거나에 상관없이, 필요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보드 시스템의 개발과 발전은 관리자님을 비롯한 소수에 편중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내용]-----
1. [표현] 방법 → 플로우 차트나 여타 비주얼 툴 혹은 텍스트로라도, 상대가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하는 방법 제시
2. 사용자의 컴퓨터 언어 구사 능력 수준에 맞추어서, 해법을 강좌화
3. 질문 유형과 답변 유형을 분석하여, 각 수준에 맞는 FAQ형 DB를 개발
4. 도움을 받은 사람은 그 부분을 개발 발전시켜서(혹은, 적용시킨 사례를 제시하며), 다시 기여하고, 그 기여도를 포인트화
※. 늦게 배움의 길에 들어선 사람의 넋두리였습니다..
※. 평생교육을 실현시켜서, 저 같이 중년의 사람들에게도 기회가 있었으면 합니다.
※. 이 곳에 오면, 누구라도 "전문가", 혹은 "준전문가"의 수준에 오를 수 있는 그런 커뮤니티가 되었으면 합니다.
힘들거나,
원초적으로 접근 불가능한 영역으로 보입니다.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입니다.
여기에 모인 사람들은 이미 프로그램의 세계에 발을 들여 놓았거나, 혹은 그것을 그냥 받아서 구사하거나에 상관없이, 필요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보드 시스템의 개발과 발전은 관리자님을 비롯한 소수에 편중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의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내용]-----
1. [표현] 방법 → 플로우 차트나 여타 비주얼 툴 혹은 텍스트로라도, 상대가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하는 방법 제시
2. 사용자의 컴퓨터 언어 구사 능력 수준에 맞추어서, 해법을 강좌화
3. 질문 유형과 답변 유형을 분석하여, 각 수준에 맞는 FAQ형 DB를 개발
4. 도움을 받은 사람은 그 부분을 개발 발전시켜서(혹은, 적용시킨 사례를 제시하며), 다시 기여하고, 그 기여도를 포인트화
※. 늦게 배움의 길에 들어선 사람의 넋두리였습니다..
※. 평생교육을 실현시켜서, 저 같이 중년의 사람들에게도 기회가 있었으면 합니다.
※. 이 곳에 오면, 누구라도 "전문가", 혹은 "준전문가"의 수준에 오를 수 있는 그런 커뮤니티가 되었으면 합니다.
댓글 전체
훌륭한 말씀입니다.
저두 언젠가 저기에 힘이 되는날이 올까낭^^
짝짝짝 박수를 보냅니다.....
공감 200% 충전입니다. ~~~
동의합니다.
예전 역학동의 경우에도, 초보들을 위한 방이 있었는데, 유용한 것 같더라구요.
그냥 놀다 보면 저절로 따라올 수 있는 그러한 공간도 필요하죠.
예전 역학동의 경우에도, 초보들을 위한 방이 있었는데, 유용한 것 같더라구요.
그냥 놀다 보면 저절로 따라올 수 있는 그러한 공간도 필요하죠.
그것은 커뮤니티의 힘입니다. 누군가 그것을 독점하지 않고, 계속 승계한다면 가능합니다.
음 그렇게 된다면 저야 감사할 따름입니다. 건데 솔직히 강좌 들 많이 봐 왔는데요. 처음은 열의를 가지고 하다가 조금 지나면 그냥 허지부지 되더라구요. 솔직히 그런 모습들을 너무 봐와서요. 좀 걱정도 됩니다....
훌륭한말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