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세계 최초 100M급 '쾌속' 인터넷 구현 > 십년전오늘

십년전오늘

10년전 추억의 책장을 넘기며

KT, 세계 최초 100M급 '쾌속' 인터넷 구현 정보

기타 KT, 세계 최초 100M급 '쾌속' 인터넷 구현

본문

그동안 아파트단국까지만 연결되는데 그쳤던 광케이블이 안방까지 이어지게 하는 '파장분할다중방식(WDM-PON)기반 광가입자망(FTTH)' 기술이 세계 최초로 국내에서 개발돼 시험서비스에 들어갔다.

KT(대표 이용경)는 10일 광주지사 풍암분기국사에서 'WDM-PON 개발완료 및 FTTH 시험서비스 개통식'을 갖고, 이 지역 100여 가입자를 대상으로 세계 최초 WDM-PON 기반의 FTTH(Fiber To The Home) 시험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험서비스는 광주 상무지구 쌍용금호아파트 202동과 서구 화정동 일대의 단독주택 등 100가구를 대상으로 오는 2월까지 실시한다.

'WDM-PON' 기술은 가입자별로 100Mbps의 전송속도를 보장하는 광네트워크 기술로, 가장 우수한 광가입자망 솔루션으로 인정돼왔지만 기술구현이 워낙 어려워 상용화가 매우 어려웠다.

KT가 노베라옵틱스코리아와 순수 국내 기술로 공동 개발한 'WDM-PON' 기술은 한가닥의 광섬유로 여러 파장의 광신호를 전송하도록 돼있기 때문에 가입자는 서로 다른 파장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마치 전용회선과 같은 품질보장(QoS)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WDM-PON기반 FTTH서비스는 현재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하는 비대칭디지털가입자회선(ADSL)보다 50배이상 빨라, 디지털홈을 구현하는 기반서비스가 될 전망이다.

즉, 이 서비스는 안방까지 구리선이 아닌 광케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화질(HD)TV급 통방융합서비스를 마음껏 이용할 수 있다. TV나 PC으로 인터넷 접속과 방송 시청을 동시에 할 수 있고, 원격교육이나 원격의료 등의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뿐만 아니라 고화질 영상전화 등 기존 인터넷에서 제약받았던 화질과 속도저하 현상도 거의 사라진다.

KT에서 추진하는 FTTH 사업은 WDM-PON을 비롯한 구성기술과 장비들이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방송과 콘텐츠 등 국내 정보통신 산업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또 관련 기술과 장비의 세계시장 진출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국가 경제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T는 이번 시험서비스 이후 상반기 시범사업을 거쳐 올해 하반기에는 세계 최초로 WDM-PON을 이용한 FTTH 상용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윤미경기자 ***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이메일주소 노출방지 ***

< 저작권자 ⓒ머니투데이(경제신문) >
  • 복사

댓글 전체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