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DNS를 세팅했는데... 정보
리눅스에서 DNS를 세팅했는데...
본문
[root@localhost ~]# nslookup
> www.happyman.or.kr
Server: 192.168.10.116
Address: 192.168.10.116#53
** server can't find www.happyman.or.kr: SERVFAIL
>
이렇네요... 왜이럴까요... ㅠ.ㅠ
아시는 분... 도움주시면... 진짜 고맙겠습니다.
지식이 짧다보니... 흑흑
파일 : 192.168.10.zone
$TTL 86400
@ IN SOA ns.happyman.or.kr. webmaster.happyman.or.kr. (
2009071401 ; Serial
12H ; Refresh
3H ; Retry
3D ; Expire
1H ) ; Negative caching TTL
IN NS ns.happyman.or.kr.
116 IN PTR ns.happyman.or.kr.
파일 : named.conf
options {
directory "/var/named";
};
zone "." IN {
type hint;
file "named.ca";
};
zone "0.0.127.in-addr.arpa" IN {
type master;
file "named.local";
};
zone "happyman.or.kr" IN {
type master;
file "happyman.or.kr.zone";
};
zone "10.168.192.in-addr.arpa" IN {
type master;
file "192.168.10.zone";
};
파일 : happyman.or.kr.zone
$TTL 86400
@ IN SOA ns.happyman.or.kr. webmaster.happyman.or.kr. (2009071401 12H 3H 3D 1H)
IN NS ns.happyman.or.kr.
IN A 192.168.10.116
www IN A 192.168.10.116
ftp IN A 192.168.10.116
@
입니다.
> www.happyman.or.kr
Server: 192.168.10.116
Address: 192.168.10.116#53
** server can't find www.happyman.or.kr: SERVFAIL
>
이렇네요... 왜이럴까요... ㅠ.ㅠ
아시는 분... 도움주시면... 진짜 고맙겠습니다.
지식이 짧다보니... 흑흑
파일 : 192.168.10.zone
$TTL 86400
@ IN SOA ns.happyman.or.kr. webmaster.happyman.or.kr. (
2009071401 ; Serial
12H ; Refresh
3H ; Retry
3D ; Expire
1H ) ; Negative caching TTL
IN NS ns.happyman.or.kr.
116 IN PTR ns.happyman.or.kr.
파일 : named.conf
options {
directory "/var/named";
};
zone "." IN {
type hint;
file "named.ca";
};
zone "0.0.127.in-addr.arpa" IN {
type master;
file "named.local";
};
zone "happyman.or.kr" IN {
type master;
file "happyman.or.kr.zone";
};
zone "10.168.192.in-addr.arpa" IN {
type master;
file "192.168.10.zone";
};
파일 : happyman.or.kr.zone
$TTL 86400
@ IN SOA ns.happyman.or.kr. webmaster.happyman.or.kr. (2009071401 12H 3H 3D 1H)
IN NS ns.happyman.or.kr.
IN A 192.168.10.116
www IN A 192.168.10.116
ftp IN A 192.168.10.116
@
입니다.
댓글 전체

사설 아이피로 찍히네요. 외부에서 인식할수있는 고정(공인)IP를 사용하셔야 해요
전부 고정아이피로 수정하시구요.
/ect/sysconfig/network
/etc/hosts
파일도 다시 수정하셔야합니다.
제가 말씀 드린 파일 점검하신후
네임서버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시려면 nslookup으로 다른 도메인으로 먼저 확인해보세요.
네임서버가 정상적으로 설정이 되었더라도
nslookup www.happyman.or.kr
는 빠르면 몇분 이내 확인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며칠후에 확인이 가능할거에요.
전부 고정아이피로 수정하시구요.
/ect/sysconfig/network
/etc/hosts
파일도 다시 수정하셔야합니다.
제가 말씀 드린 파일 점검하신후
네임서버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시려면 nslookup으로 다른 도메인으로 먼저 확인해보세요.
네임서버가 정상적으로 설정이 되었더라도
nslookup www.happyman.or.kr
는 빠르면 몇분 이내 확인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며칠후에 확인이 가능할거에요.

다시 수정했는데 외부 도메인으로 nslookup 시에 에러나면..
/etc/resolv.conf 도 아래처럼 수정해보세요.
nameserver 211.45.150.201
nameserver 211.45.151.201
위에 적힌 아이피는 KT 네임서버 아이피일겁니다.
저도 제거 네임서버 아이피 사용하다가..
최근에 KT 아이피로 바꿔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etc/resolv.conf 도 아래처럼 수정해보세요.
nameserver 211.45.150.201
nameserver 211.45.151.201
위에 적힌 아이피는 KT 네임서버 아이피일겁니다.
저도 제거 네임서버 아이피 사용하다가..
최근에 KT 아이피로 바꿔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게요.. ㅎㅎ
사설아이피로 테스트중이라... localhost로요...
지금 리눅스를 배우는 중이거든요.
사설아이피로 테스트중이라... localhost로요...
지금 리눅스를 배우는 중이거든요.

아 그래요? ㅎㅎ
그럼 /etc/hosts
파일의 설정내용이 어떻게 되어있나요?
그럼 /etc/hosts
파일의 설정내용이 어떻게 되어있나요?

# Do not remove the following line, or various programs
# that require network functionality will fail.
::1 localhost.localdomain localhost
요렇게 되어있는데요...
# that require network functionality will fail.
::1 localhost.localdomain localhost
요렇게 되어있는데요...

그러시면
/etc/hosts 파일에
127.0.0.1 localhost.localdomain localhost
192.168.10.116 www.happyman.or.kr
위의 내용을 추가해서 넣으시고..
==========================================
/etc/resolv.conf 파일 최상단에
nameserver 192.168.10.116
혹은
nameserver 127.0.0.1
위 내용을 추가해서 넣어보세요
그런 다음 service named restart 해보시고 확인해보세요
/etc/hosts 파일에
127.0.0.1 localhost.localdomain localhost
192.168.10.116 www.happyman.or.kr
위의 내용을 추가해서 넣으시고..
==========================================
/etc/resolv.conf 파일 최상단에
nameserver 192.168.10.116
혹은
nameserver 127.0.0.1
위 내용을 추가해서 넣어보세요
그런 다음 service named restart 해보시고 확인해보세요

[www.happyman.or.kr: SERVFAIL
> 192.168.10.116
Server: 192.168.10.116
Address: 192.168.10.116#53
** server can't find 116.10.168.192.in-addr.arpa: SERVFAIL
처음에는 nslookup 도 안되고 익스로 접속도 안됐는데,
말씀대로 바꾸고 나서는 익스접속은 되는데, nslookup의 결과는 같아요.
왜이런지... 익스에서 접속되는거 보고는 nslookup은 확인도 안해보고 호들갑을 떨었네요...
빈깡통이다보니... ㅎㅎ
> 192.168.10.116
Server: 192.168.10.116
Address: 192.168.10.116#53
** server can't find 116.10.168.192.in-addr.arpa: SERVFAIL
처음에는 nslookup 도 안되고 익스로 접속도 안됐는데,
말씀대로 바꾸고 나서는 익스접속은 되는데, nslookup의 결과는 같아요.
왜이런지... 익스에서 접속되는거 보고는 nslookup은 확인도 안해보고 호들갑을 떨었네요...
빈깡통이다보니... ㅎㅎ

지식검색하다가 어디서 주워들었는데...
ip뒤에 #53이 뭐... 53번포트가 막혀서 그럴 수 있다고, 열어주라는데... 이건 뭔 소린가요?
ip뒤에 #53이 뭐... 53번포트가 막혀서 그럴 수 있다고, 열어주라는데... 이건 뭔 소린가요?

netstat -an
입력해보시면 포트 열렸는지 확인할수 있어요.
확인해보시고 열려있지 않다면
vi /etc/services 를 통해서 포트를 열어주세요
방화벽에서 53번포트를 막고 있을리는 없겠지만..
방화벽 설정으로 막혀 있다면되어 있다면 services 파일을 변경하더라도
방화벽은 별도로 설정해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리눅스 서버에서는 열려있더라도...
사설 아이피이기때문에 사용하고 계시는 통신사에서 53번 포트를 막아놨을수도 있죠..
통신사에 따라 허용하는 포트가 좀 다르거든요.
입력해보시면 포트 열렸는지 확인할수 있어요.
확인해보시고 열려있지 않다면
vi /etc/services 를 통해서 포트를 열어주세요
방화벽에서 53번포트를 막고 있을리는 없겠지만..
방화벽 설정으로 막혀 있다면되어 있다면 services 파일을 변경하더라도
방화벽은 별도로 설정해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리눅스 서버에서는 열려있더라도...
사설 아이피이기때문에 사용하고 계시는 통신사에서 53번 포트를 막아놨을수도 있죠..
통신사에 따라 허용하는 포트가 좀 다르거든요.

domain 53/tcp # name-domain server
domain 53/udp
이렇게 되어있는게 맞는거죠... 그러니까 막혀있지 않은...
domain 53/udp
이렇게 되어있는게 맞는거죠... 그러니까 막혀있지 않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