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제작할때 로칼에서 해서 서버에 올리시나요? 정보
사이트제작할때 로칼에서 해서 서버에 올리시나요?본문
다들 어찌하시는지 갑자기 궁금해지네요...^^
댓글 전체
저 같은 경우는 로컬에서 작업하고 테스트 마치고 서버에 올립니다...
그게 젤 편한듯 해요... 의뢰자 궁금하면 로컬에서 하는거 볼수 있으니 로컬이든 서버든
별상관이 없는거 같아요
그게 젤 편한듯 해요... 의뢰자 궁금하면 로컬에서 하는거 볼수 있으니 로컬이든 서버든
별상관이 없는거 같아요
저는 그냥 직접 서버에서 합니다.
APM_Setup 깔아놓고 모든 홈페이지 로컬에서 작업한 다음 압축해서 서버에 올려 버립니다.
그런데...
UTF-8버전은 깨져서 다시 게시판등 생성해 줘야 하더라구요.
그런데...
UTF-8버전은 깨져서 다시 게시판등 생성해 줘야 하더라구요.
저도 직접서버에서 작업해줍니다.
제 기준입니다.
확실한 입금예정 클라이언트 : 클라이언트 원하는 서버에서 작업
사짜 클라이언트 : 100% 제 계정에서 작업, 잔금 입금 확인 후 서버이전 !!
확실한 입금예정 클라이언트 : 클라이언트 원하는 서버에서 작업
사짜 클라이언트 : 100% 제 계정에서 작업, 잔금 입금 확인 후 서버이전 !!
개가죽님 의견에 한표!
로컬에서 작업해서 올리시는 분들을 위해서...
로컬서버와 웹서버를 비교해서 다른 파일이 있는지 비교하는 것도 괜찮다는 생각이 문득.
작업해서 처음 올렸을 때는 상관없지만,
중간중간 수정작업 중에는 헛갈릴 때가 있더군요.
그래서 양쪽을 비교해주는 유틸을 하나 만들어볼까 합니다..^_____^
로컬서버와 웹서버를 비교해서 다른 파일이 있는지 비교하는 것도 괜찮다는 생각이 문득.
작업해서 처음 올렸을 때는 상관없지만,
중간중간 수정작업 중에는 헛갈릴 때가 있더군요.
그래서 양쪽을 비교해주는 유틸을 하나 만들어볼까 합니다..^_____^
그래서 양쪽을 비교해주는 유틸을 하나 만들어볼까 합니다..^_____^ => svn으로 하시면 됩니다.
svn으로 하시면 버전관리도 되고 별도로 로컬과 서버를 동기화시키기 위해 수정파일을 골라내고 하실 필요도 없습니다. (update, commit 이거면 끝납니다) 회사에서 작업하다가 집에서도 작업할 수 있고 장소에 제약없이 항상 작업도 가능합니다. 한번 사용해보시면 매력이 푸욱~~~ 빠지실겁니다^^ (전 이클립스에 subversion 깔아서 씁니다)
아참.. 작업은 로컬에서 작업하고 저장소는 서버에 있습니다.
svn으로 하시면 버전관리도 되고 별도로 로컬과 서버를 동기화시키기 위해 수정파일을 골라내고 하실 필요도 없습니다. (update, commit 이거면 끝납니다) 회사에서 작업하다가 집에서도 작업할 수 있고 장소에 제약없이 항상 작업도 가능합니다. 한번 사용해보시면 매력이 푸욱~~~ 빠지실겁니다^^ (전 이클립스에 subversion 깔아서 씁니다)
아참.. 작업은 로컬에서 작업하고 저장소는 서버에 있습니다.
저는 완전 복받은놈
서버와 작업용컴 2대가 로컬로 그것도 대역폭 2기가빗짜리로 연결되 있걸랑요
그래서 일할 맛 납니다. 파일 4천개 정도되고 용량 2기가 업로드하는데 5분이면 떡을 칩니다.
서버와 작업용컴 2대가 로컬로 그것도 대역폭 2기가빗짜리로 연결되 있걸랑요
그래서 일할 맛 납니다. 파일 4천개 정도되고 용량 2기가 업로드하는데 5분이면 떡을 칩니다.
부럽습니다 옵션님 ;;
예전에는 모두 로컬에서 확인한 다음에 올렸는데
요즘엔 귀차니즘이 발동해서 바로 웹에서 코딩해요.
아직 돈을 안 받았을 경우에는????
계정비번을 바꿔놓고 폴더를 만들어서 작업해요.
인덱스로는 들어와 봐야 알 수 없도록...
요즘엔 귀차니즘이 발동해서 바로 웹에서 코딩해요.
아직 돈을 안 받았을 경우에는????
계정비번을 바꿔놓고 폴더를 만들어서 작업해요.
인덱스로는 들어와 봐야 알 수 없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