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검색해본 바로 가장 쉬운 방법 정보
일단 검색해본 바로 가장 쉬운 방법본문
KT 메가패스가 다음주부터 공유기 사용자에게 과금한다는 것과 관련하여 해결책을 모색하던중...
1. 일단 KT 모뎀과 PC를 직접 연결한다.
2. 윈도우 시작->실행->CMD->IPCONFIG/ALL 실행해서 Phygical Address 즉 MAC 어드레스를 적어둔다.
3. 그 다음 모뎀과 공유기, PC를 모두 연결하고 공유기 설정 모드로 들어간다.
4. 공유기 설정 프로그램은 회사마다 다름으로 생략하고 결론만 내리자면 공유기의 MAC 어드레스 적는 부분에 아까 메모해둔 주소를 적어준다.
일단 오늘 저녁에 테스트해 볼 예정입니다. 안된다면 두번째 방법을 써야하는데...
그렇게되면 공유기를 바꿔야한다는....ㅠㅠ
댓글 전체

공유기를 바꿔야한다는 이유가 블루님의 방법을 적용해 보기위해서 였습니다...ㅋ
제발 한방에 끝나야 할텐데....쩝쩝~
제발 한방에 끝나야 할텐데....쩝쩝~

맥어드레스 클론 방식은 소용없을듯 싶습니다..
pppoe가 아닌 상당수 접속방식은 이미 맥클론을 필요로 하죠..
예를들어 ftth의 경우 (지역에따라 틀리긴 합니다만,,) 최초 인증된(처음 연결된..) pc의 맥으로 풀 속도를 내고 맥이 바뀌면 느닷없는 kt망 관리용 로긴창이 뜨게됩니다... 인터넷은 안되구요.
그래서 연결된 pc와 같은 맥으로 공유기의 맥을 클론시켜 쓰는게 일반적입니다.
pppoe가 아닌 상당수 접속방식은 이미 맥클론을 필요로 하죠..
예를들어 ftth의 경우 (지역에따라 틀리긴 합니다만,,) 최초 인증된(처음 연결된..) pc의 맥으로 풀 속도를 내고 맥이 바뀌면 느닷없는 kt망 관리용 로긴창이 뜨게됩니다... 인터넷은 안되구요.
그래서 연결된 pc와 같은 맥으로 공유기의 맥을 클론시켜 쓰는게 일반적입니다.

전 허브로 해서 각각 아이피 주소가 틀리게 들어오던데요 ;

그냥 차라리 하나로나 다른대로 바꿔세요 ~~ 힘빼지 마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