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것을 두루 알아야 한다?? 아니면 자신이 하는 분야만 알면 된다?? 정보
모든것을 두루 알아야 한다?? 아니면 자신이 하는 분야만 알면 된다??
본문
그누보드 외적으로.. 테이블을 생성해서 뭔가 만들려고 하니......
데이터베이스란 것이.. 참 오묘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DB관련 책을 몇권 샀는데 정말 두껍네요;;
한권은 완전 대학교 전공책 수준이네요 ㅋㅋ
저는 항상 이런종류의 책을 사고 공부하게 되면서 느끼게 되는.. 필연적인 것이...
내가 이걸 완벽히 공부해서 완전히 잘 다루게 되면 좋지만.....
꼭 그렇게 까지 할 필요가 있을까??
한가지를 정말 꾸준히 해서 잘하는게 좋지 않을까??
DB는 DB전문가에게 맡기고...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래밍 전문가에게 맡기고
보안은 보안 전문가에게 맡겨야 하지 않을까??
프로그래밍 하면서 항상 고민하는 문제이지만.... 항상 결론은 없는 문제 인것 같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 하시나요??
댓글 전체
다 방면으로 지식이 있으면 좋다고 생각해요..
저도 하나만 열심히 하자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프로그램 하면서도 서버에서 지원을 안해주던가 프로그램 구지 짜지않아도 디비내에서 처리 할수있는
쉬운 방법이라던가.. 한ㄷ번 읽어서 손해보실건 없으실것같내요..
저같은경우도 디자인은 전혀 무뇌한이였는데 웹 2.0 읽어보다 보니 프로그램 하다가도
잘못된코딩이나 디자인같은것도 재가 손대서 고칠수있으니.. 나름대로.. 속도도 더 나고 좋더라구요..
저도 하나만 열심히 하자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프로그램 하면서도 서버에서 지원을 안해주던가 프로그램 구지 짜지않아도 디비내에서 처리 할수있는
쉬운 방법이라던가.. 한ㄷ번 읽어서 손해보실건 없으실것같내요..
저같은경우도 디자인은 전혀 무뇌한이였는데 웹 2.0 읽어보다 보니 프로그램 하다가도
잘못된코딩이나 디자인같은것도 재가 손대서 고칠수있으니.. 나름대로.. 속도도 더 나고 좋더라구요..
오호...
그렇죠.. 알고 있으면 편하게 할걸 모르면 손발이 고생하는것 같습니다..
그렇죠.. 알고 있으면 편하게 할걸 모르면 손발이 고생하는것 같습니다..
대기업에서는 다른건 장님이라도 한 가지 분야의 구루를 선호하고
대기업외에는 한 가지 분야의 구루는 멀리하고 다른걸 골고루 아는 사람을 선호한다죠!
알아두면 다 돈 아니겠습니까?
아예 모르는 것 보단 백배 낫죠
대기업외에는 한 가지 분야의 구루는 멀리하고 다른걸 골고루 아는 사람을 선호한다죠!
알아두면 다 돈 아니겠습니까?
아예 모르는 것 보단 백배 낫죠
아.. 그렇군요.. 대기업은 워낙 인재들이 많으니.. 각분야의 구루들만 모으면 최고가 되겠지만.. 대기업 외의 분야는 실상 한두명이 회사를 먹여 살려야하니.. 그렇겠네요..
아는것이 힘이죠..!!^^
아는것이 힘이죠..!!^^
저 같은 경우에는 다방면에 두루 소질이 있다는건 좋지만 단 ' 어설프게 배우는것' 보단 그 시간에 자신의 전문분야 하나만 집중적으로 파고드는게 좋다고 생각해요.
솔찍히 모르면 답답하겠지만^^;;
솔찍히 모르면 답답하겠지만^^;;
역시 다양한 의견들을 가지고 계시네요...
'실용주의 프로그래머'란 책에 이런 말이 있었던것 같습니다.(다른책이었나;;; )
"한가지를 깊게 알면 자연스래 잉크가 물에 펴지듯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접하게된다."
지금 제가 지어낸 말이지만 비슷한 맥락 이었던것 같습니다.^^
'실용주의 프로그래머'란 책에 이런 말이 있었던것 같습니다.(다른책이었나;;; )
"한가지를 깊게 알면 자연스래 잉크가 물에 펴지듯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접하게된다."
지금 제가 지어낸 말이지만 비슷한 맥락 이었던것 같습니다.^^
원래는 디자이너는 디자인을 깊게..
프로그래머는 프로그램에 깊게...
디비 설계자는 거기에 깊게..
등등..
그래야는데... 현실적 한계와..
우리나라에선 특히 멀티 플레이어를 필요로 하기에..
두루하게 되는 경우가 많죠..
극히 일부를 빼곤..
어설프게 이거 조금 저거 조금 이래 하는 경우가 많다고 봅니다.
그리고 웹디지만 간단한 웹프로그래밍은 할 줄 알아야하고..
프로그래머라도 디자인적 부분도 좀 할 줄 알아야하고... 이렇게 되는거 같습니다.
개인적으론 하나를 깊게 팠으면 합니다.
물론 다른건 커뮤니케이션과 상황 파악을 위해 어느 정도 아는 수준이 되어주면 좋겠죠.
물론 다방면 다 전문가면 더할 나위 없지만... 말이죠.
프로그래머는 프로그램에 깊게...
디비 설계자는 거기에 깊게..
등등..
그래야는데... 현실적 한계와..
우리나라에선 특히 멀티 플레이어를 필요로 하기에..
두루하게 되는 경우가 많죠..
극히 일부를 빼곤..
어설프게 이거 조금 저거 조금 이래 하는 경우가 많다고 봅니다.
그리고 웹디지만 간단한 웹프로그래밍은 할 줄 알아야하고..
프로그래머라도 디자인적 부분도 좀 할 줄 알아야하고... 이렇게 되는거 같습니다.
개인적으론 하나를 깊게 팠으면 합니다.
물론 다른건 커뮤니케이션과 상황 파악을 위해 어느 정도 아는 수준이 되어주면 좋겠죠.
물론 다방면 다 전문가면 더할 나위 없지만... 말이죠.
저도 개인적으로는 하나만 깊게 파고 싶지만....
혼자 모든걸 하려니...
어쩔수가 없네요;;;
혼자 모든걸 하려니...
어쩔수가 없네요;;;
국내 에이젼시가 문제 입니다.
인권비 아낄려고 두루두루 잘하는 사람을 뽑는거 정말 문제 있습니다.
한 분야만 집중적으로 한다면 외국 디자이너 ,프로그래머 못지 않은 인재들은 막막막!! 탄생 할터인디..
솔직히 디자인은 한국사람들이 잘하는듯하지만 껍대기 일뿐이라고 생각합니다.(건방진 제 생각입니다)
인권비 아낄려고 두루두루 잘하는 사람을 뽑는거 정말 문제 있습니다.
한 분야만 집중적으로 한다면 외국 디자이너 ,프로그래머 못지 않은 인재들은 막막막!! 탄생 할터인디..
솔직히 디자인은 한국사람들이 잘하는듯하지만 껍대기 일뿐이라고 생각합니다.(건방진 제 생각입니다)
그렇죠.... 회사입장을 생각하면 이해는 가지만...
우리하나 한명 뽑아놓고..... 모든걸 시키려하죠 ㅋㅋ
일거리가 많이 없는 곳은.. 아마 직원 한명이.. 프로그래머,청소부,경리? 까지 다 할껄요 ㅋㅋ
우리하나 한명 뽑아놓고..... 모든걸 시키려하죠 ㅋㅋ
일거리가 많이 없는 곳은.. 아마 직원 한명이.. 프로그래머,청소부,경리? 까지 다 할껄요 ㅋㅋ
두루 알면 좋지만.. 그건 좀 현실적으로 문제가 있구요
제 개인적으론 한가지라도 깊게 파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헌데.. 실질적으로.. 회사에 들어가보면...
그렇지 않죠
보통 한가지만 맡는것이 아니라 이것저것 다 떠맡겨버리니 말이죠 ;;
제 개인적으론 한가지라도 깊게 파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헌데.. 실질적으로.. 회사에 들어가보면...
그렇지 않죠
보통 한가지만 맡는것이 아니라 이것저것 다 떠맡겨버리니 말이죠 ;;
저도 한가지만 파고 싶지만 그게 잘 안되네요 ㅋㅋ;;;
프리랜서를 하면서 한가지 분야만 하기위해서는 마음이 맞고 잘 아는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 실질적으론 그렇지 못하니 ㅎㅎ;;
프리랜서를 하면서 한가지 분야만 하기위해서는 마음이 맞고 잘 아는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 실질적으론 그렇지 못하니 ㅎㅎ;;
이건 더 복잡...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