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표준 게시판 분석 정보
웹표준 게시판 분석
관련링크
본문
웹표준이 그렇게 중요한가요?
전 잘 모르겠습니다. 웹표준 지킨다고 모든 브라우져에서 똑같이 보이는게 아니던데요.
오히려 크로스브라우징쪽에 손을 들어주고 싶어요.
전 잘 모르겠습니다. 웹표준 지킨다고 모든 브라우져에서 똑같이 보이는게 아니던데요.
오히려 크로스브라우징쪽에 손을 들어주고 싶어요.
댓글 전체

글쎄요. 제작한 홈페이지의 이용자들이 불만 없는 정도면 상관없을 듯 합니다.
표준 모두 맞추자면 한도 끝도 없습니다. 해외 사이트 들어가보면 안내도 20개국 언어 가까이 해놓은 곳도 있던데 이곳 역시도 불만이 있었답니다. 그냥 무난히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 정도면 될 듯 합니다.
표준 모두 맞추자면 한도 끝도 없습니다. 해외 사이트 들어가보면 안내도 20개국 언어 가까이 해놓은 곳도 있던데 이곳 역시도 불만이 있었답니다. 그냥 무난히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 정도면 될 듯 합니다.
역시 크로스 브라우징에 역점을 두는 편이 낳지 않을까요.
xhtml 도 trad 냐 strict냐 파폭이냐 익스냐 뭐 따지던데 ~~
xhtml 도 trad 냐 strict냐 파폭이냐 익스냐 뭐 따지던데 ~~
열심히 지켜서 만들어도...
스킨작성자가 지키지 않는다면 엉망이 되겠죠.ㅋㅋㅋ
스킨작성자가 지키지 않는다면 엉망이 되겠죠.ㅋㅋㅋ
열심히 지켜서 만든다고 하는데 ㅡ.,ㅡ;; 어느날 잠깐 방심 해서 보면 ㅡ.,ㅡ;;;
모 브라우저에서는 봐지지 않는 ㅡ.,ㅡ;;; 특히나 ... 우리나라사람들.. 특히 오너들은 ㅠㅠ
무엇인가 보고와서 이렇게 저렇게 해달라고 하고 ㅠㅠ 흑흑
모 브라우저에서는 봐지지 않는 ㅡ.,ㅡ;;; 특히나 ... 우리나라사람들.. 특히 오너들은 ㅠㅠ
무엇인가 보고와서 이렇게 저렇게 해달라고 하고 ㅠㅠ 흑흑
웹 표준? 글쎄요? 사용자가 많이쓰면 그게 표준이죠.
요즘 배추 아이콘이 불당 사이트에 빈번히 보이던데...ㅋㅋ
요즘 배추 아이콘이 불당 사이트에 빈번히 보이던데...ㅋㅋ
사용자가 많이써서 표준이 될 수 있다는건...
헉... 그렇다면 ie가 표준이라는건데...
http://www.w3.org/ 얘들은 뭐하는걸까요?
http://www.w3.org/ 얘들은 뭐하는걸까요?
ie를 위해서 가야지 하는 방향을 알려줍니다... -..-a
ie는 그것을 보구... 좋은 것만 골라서 간다고... ㅎㅎ
ie는 그것을 보구... 좋은 것만 골라서 간다고... ㅎㅎ
농담이시죠? -_-;;;;
" 불쌍한 소수를 위한, 불쌍한 소수를 위한, 불쌍한 소수의 " 기관인가봐요. 쿨럭;
그러고보니 배추오빠랑 이야기 하다가 표준이 무엇인가라는 의문점을 던져드린적이 있는데
( 아마 의문으로 받아들이지는 않으셨겠지만.. -_-;; )
극단적으로 보면 크로스브라우징을 위한 웹표준이라고 해도 끼워맞추기 식의 발언은 아닙니다.
브라우저가 다양하게 존재하는 한 " 똑같이 보인다 " 라는건 있을 수 없습니다.
문제 없이 보이는것만 존재하게 되는것이죠.
다만 어느 자동차에든 정해진 규격의 타이어는 다 들어간다는것.
나머지는 자동차의 성능과 능력에 맞기죠 우리.
( 아마 의문으로 받아들이지는 않으셨겠지만.. -_-;; )
극단적으로 보면 크로스브라우징을 위한 웹표준이라고 해도 끼워맞추기 식의 발언은 아닙니다.
브라우저가 다양하게 존재하는 한 " 똑같이 보인다 " 라는건 있을 수 없습니다.
문제 없이 보이는것만 존재하게 되는것이죠.
다만 어느 자동차에든 정해진 규격의 타이어는 다 들어간다는것.
나머지는 자동차의 성능과 능력에 맞기죠 우리.
legal standard와 de facto standard가 있죠. de facto는 사용자들이 많이 쓰는 시장표준이죠.
아무리 업계에서 이것이 표준이라 주장하고 정부에서도 이것이 표준이라 주장해도 아주 많은
사람들이 쓴다면 그것이 진짜 표준이죠. 예를 들어 부동산에서 평을 단위로 쓰는 것에 대해서
정부가 아무리 뭐라고 해도 ... 바꾸는거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표준이니까요.
웹에서도 사용자들이 많이 쓰는 스타일, code, 색상 같은게 있다면 그것이 진짜 표준이겠죠.
웹 브라우져들도 그것을 우선적으로 호환되게 할테니까요.
아무리 업계에서 이것이 표준이라 주장하고 정부에서도 이것이 표준이라 주장해도 아주 많은
사람들이 쓴다면 그것이 진짜 표준이죠. 예를 들어 부동산에서 평을 단위로 쓰는 것에 대해서
정부가 아무리 뭐라고 해도 ... 바꾸는거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표준이니까요.
웹에서도 사용자들이 많이 쓰는 스타일, code, 색상 같은게 있다면 그것이 진짜 표준이겠죠.
웹 브라우져들도 그것을 우선적으로 호환되게 할테니까요.

크로스 브라우징에 한표 던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