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기 등 공유기 개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정보
AP기 등 공유기 개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본문
보안 이야기 나오면서 이런거 계속 언급되네요.
저한테 무식한 놈이라 하실지 모르겠으나..
그거 비번 걸어둔다고 보안 상 안전하다고 보는건 좀 아니라고 봅니다.
그거 개방했다고 PC가 털리는거도 물론 아닐테구요.
개인적으론 AP기 개방이 더 나을 듯 합니다.
PC 단위로 보안을 잡아주는게 좋지 굳이 공유기들을 잠글 것 까지야..
범죄를 하는 분들이야 굳이 잠근다고 안하거나 못할까 싶네요.
그리고 인터넷 전화기용 AP기보단 일반 무선 공유기가 더 잘 잡힙니다.
제 경우도.. 070 AP기 한 대와 유무선 공유기가 있는데.. 다 개방해둡니다.
아 유무선은 두 대군요.. 여튼 3대 다 개방해둡니다.
070 단말기 들고 다니면서도 요즘은 적잖은 지역들이 이동통신 처럼 통화가 가능합니다.
이게 매력이 아닐까 싶네요.
(물론 이통사들이 타격 좀 입겠지만 제대로 활성화되면...)
그리고 노트북도 그만큼 이동성의 파괴력이 커지는거겠구요.
현재 와이브로 등을 이용해주길 바라는거 같은데..
지방에선 꿈도 못꾸죠.. 물론 추가 서비스 신청해서 월 얼마씩 더 내면 부가적으로 쓸 수 있지만..
수도권보다 훨 더 많은 비용까지 들이며 그렇게까지 무선 인터넷을 할 분들은 거의 없죠.
무선 인터넷망은 활짝 열었으면 합니다.
우리도 이제 하드웨어적 자원이나 기타 자원으로 제한적 이익이 아닌..
소프트웨어와 내적 자원으로 무한한 이익을 만들어가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너무 상업적으로만 흐르면 좀 재미 없고..)
스마트폰이 되었든... 아이팟 같은게 되었든.. 노트북이 되었든...
할 수 있는 범위까진 자원의 공유가 이뤄졌으면 합니다.
죽어도 그 비용은 우리들이 내고 있지 않습니까..
사실 두려운건.. 보안보단 무선 인터넷의 활성화로 기존 통신사 및 기타 업체군들의 이익이 줄기
때문이 아닌가요? 그들에겐?
전 어서 무선 인터넷이 더 활성화되고... 무료할 껀 무료하고..
다양한 컨텐츠들로 우리 시장도 커져갔으면 좋겠네요...
추천
0
0
댓글 13개
전에 집에 AP를 열어둔 적이 있었으나 트래픽 문제로 바로 닫아버렸습니다. 도둑 인터넷으로 4-5명 붙어있더군요. 제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장비나 아이가 보는 하나TV를 생각해보건데 AP를 오픈했을때의 내가 부여 받은 대역을 많이 뺏기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물론 여유 대역이 있다면 생각해 보겠지만, 저 같은 경우는 혼자 쓰기도 좀 빡빡한지라... ^^)

네 그런 부분만 좀 해결하면 될 듯 해요.
아직은 다소 시기상조지만 조금 더 공유기가 퍼지고 그러면 실상 음역권 없어지고..
유저들의 접속이 어느 정도 더 분산되리라 봅니다.
제 경우는 다 개방해놔도 실제 붙는 사람이 거의 없네요.
이 일대에 너무 촘촘하게 박혀 있어서 그런지 모르겠어요.
제 경우 정전이 되어 인터넷 전화기까지 무력화된 적 있는데..
정작 주변의 AP기들이 있어서 그분들 곁살이가 되었습니다.
2어시간 아주 살았던거죠..
이점도 있지만 패점도 있겠죠.. 여튼 시간이 해결해주리라 봅니다.
물론 과도하게 붙어 들어오면 곤란하겠죠...
지금도 많이 퍼졌지만 향후 무선 인터넷망이 더욱 활성화 되리라 봅니다.
전 갠적으로 우리 스스로 보안 신경 써야하는건 맞지만..
공공기관이나 기업들이나 일선에서 무방비로 노출되는 개인정보가 더 문제라고 보기에..
아직은 다소 시기상조지만 조금 더 공유기가 퍼지고 그러면 실상 음역권 없어지고..
유저들의 접속이 어느 정도 더 분산되리라 봅니다.
제 경우는 다 개방해놔도 실제 붙는 사람이 거의 없네요.
이 일대에 너무 촘촘하게 박혀 있어서 그런지 모르겠어요.
제 경우 정전이 되어 인터넷 전화기까지 무력화된 적 있는데..
정작 주변의 AP기들이 있어서 그분들 곁살이가 되었습니다.
2어시간 아주 살았던거죠..
이점도 있지만 패점도 있겠죠.. 여튼 시간이 해결해주리라 봅니다.
물론 과도하게 붙어 들어오면 곤란하겠죠...
지금도 많이 퍼졌지만 향후 무선 인터넷망이 더욱 활성화 되리라 봅니다.
전 갠적으로 우리 스스로 보안 신경 써야하는건 맞지만..
공공기관이나 기업들이나 일선에서 무방비로 노출되는 개인정보가 더 문제라고 보기에..

트래픽 문제겠죠. 가뜩이나 느린데, 여러명이서 이용하면 속도가 너무 느리니..

그렇긴 하겠ㅤㅉㅛㅤ.. 이 역시 위에 썼지만..
보다 분산될 정도로 유저들이 확충되면 어느 정도 자연스레 해결되리라 봅니다.
물론 그래도 손실 부분도 있을 순 있지만.. 그렇다고 다 막을꺼면..
굳이 AP기가 아닌 다른 혁신적인 방식으로 철저히 개인적으로만 이용 가능한 폐쇄적 구조가 나와주는게 낫겟죠...
보다 분산될 정도로 유저들이 확충되면 어느 정도 자연스레 해결되리라 봅니다.
물론 그래도 손실 부분도 있을 순 있지만.. 그렇다고 다 막을꺼면..
굳이 AP기가 아닌 다른 혁신적인 방식으로 철저히 개인적으로만 이용 가능한 폐쇄적 구조가 나와주는게 낫겟죠...

한동내에 10개정도의 중계기를 설치하여 분산시키고 블루투스를 이용해 반경100m가 커버가능한 더미를 보급해주면 ap겸 랜카드가 되죠 이걸 카페나 주유소 등에 보급하면 가격도 개당만원도 안치니...
동내전체가 인터넷이 되겠죠
이렇게 구축하면 단순히 인터넷 만되는것을 넘어 접속시 지역정보를 웹os형식으로 만들어 넣을 수 있어서...
지금 중계서버 구축 중간단계정도 입니다.
2011년 하반기에 좋은소식 있을것 같습니다.
동내전체가 인터넷이 되겠죠
이렇게 구축하면 단순히 인터넷 만되는것을 넘어 접속시 지역정보를 웹os형식으로 만들어 넣을 수 있어서...
지금 중계서버 구축 중간단계정도 입니다.
2011년 하반기에 좋은소식 있을것 같습니다.

빙고입니다...
옵션님.. ^_^
여튼 다양한 방법이 나올 여지가 있다고 봅니다.
다만... 당장 실현되면 제일 울상인 곳은 바로 다름 아닌 이통사리라 생각합니다.
옵션님.. ^_^
여튼 다양한 방법이 나올 여지가 있다고 봅니다.
다만... 당장 실현되면 제일 울상인 곳은 바로 다름 아닌 이통사리라 생각합니다.
ap의 운영체계의 상당수가 linux 입니다.
ap를 오픈해주면, 해킹으로 치고들어와서 모든 것을 다 할 수 있습니다.
ap를 오픈해주면, 해킹으로 치고들어와서 모든 것을 다 할 수 있습니다.

따지고 보면 한도 끝도 없을 듯 해서요..
공유기 비번 건다고 PC가 안전한건 아닐테고 말이죠...
공유기 비번 건다고 PC가 안전한건 아닐테고 말이죠...

저도 Close해두고 쓰는...
오픈해서 좋을 것 없더라구요..
물론 일반 가정에서는 보안등에 대한 큰 개념이 없으므로 Open해서 쓰는 경우가 많으므로
타지역 이동 시 유용하게 사용하지만 admin설정까지 기본설정이므로...
심심하면 AP바보만들기등 얼마든지 가능하고...
패킷 애널라이저등을 사용해서 패킷 긇으면 왠만한 정보들은 다 들어오니..
암튼 보안상 보안설정하는게 좋겠죠.
오픈해서 좋을 것 없더라구요..
물론 일반 가정에서는 보안등에 대한 큰 개념이 없으므로 Open해서 쓰는 경우가 많으므로
타지역 이동 시 유용하게 사용하지만 admin설정까지 기본설정이므로...
심심하면 AP바보만들기등 얼마든지 가능하고...
패킷 애널라이저등을 사용해서 패킷 긇으면 왠만한 정보들은 다 들어오니..
암튼 보안상 보안설정하는게 좋겠죠.

네 맞습니다. 그런 저런 점이 보완된다는 전제 하입니다.
저도 제한적으로 해놓고 풀어놨습니다. 무방비 노출은 아닌...
대신 단말기가 PC엔 제대로 걸어두죠...
그래봐야 완벽은 없지만..
털릴려고 하면 결국 어떤 장치도 무력화되는거 아닐까 싶어요.
물론 보안 면이 아니더라도 위에서 몇 분이 언급했뜻 트래픽이 더 와닿긴 하겠지만요..
이 역시...
여튼 좋은 방향으로 나갔으면 합니다.
넘치는 자원에 대한 보다 효율적 사용법을 만들어갔으면 해서요..
저도 제한적으로 해놓고 풀어놨습니다. 무방비 노출은 아닌...
대신 단말기가 PC엔 제대로 걸어두죠...
그래봐야 완벽은 없지만..
털릴려고 하면 결국 어떤 장치도 무력화되는거 아닐까 싶어요.
물론 보안 면이 아니더라도 위에서 몇 분이 언급했뜻 트래픽이 더 와닿긴 하겠지만요..
이 역시...
여튼 좋은 방향으로 나갔으면 합니다.
넘치는 자원에 대한 보다 효율적 사용법을 만들어갔으면 해서요..
공유기 비번은 그나마 양호한 방어책 입니다.
관리자 비번을 알면, ap에 웹파일서버도 만들 수 있고,
ddos 공격툴도 올려둘 수 있고
내가 키보드로 입력하는 계좌의 비밀번호도 볼 수 있습니다.
누가 내 ap를 통해서, 내 화면을 그대로 보고 있으면 어쩌시려구요?
ap를 개인 파일서버로 쓰거나 개인 웹서버로 쓰는게 한때 유행이었습니다.
관리자 비번을 알면, ap에 웹파일서버도 만들 수 있고,
ddos 공격툴도 올려둘 수 있고
내가 키보드로 입력하는 계좌의 비밀번호도 볼 수 있습니다.
누가 내 ap를 통해서, 내 화면을 그대로 보고 있으면 어쩌시려구요?
ap를 개인 파일서버로 쓰거나 개인 웹서버로 쓰는게 한때 유행이었습니다.

털려면 뭔들 못털겠습니까.. -_ㅜ
사실 개개인의 정보 털기가 목적이 아니라 핵을 한다면 디도스용이거나 우회용 좀비
확보용으로 하긴 하겠지요... ㅠ_ㅠ
에휴.. 인정은 하지만.. 그래도 그래 보호해봐야 주요점에서 털리는게 우리나라 보안
이라.. 그냥 그래 말해봤습니다.
사실 개개인의 정보 털기가 목적이 아니라 핵을 한다면 디도스용이거나 우회용 좀비
확보용으로 하긴 하겠지요... ㅠ_ㅠ
에휴.. 인정은 하지만.. 그래도 그래 보호해봐야 주요점에서 털리는게 우리나라 보안
이라.. 그냥 그래 말해봤습니다.
FON이라고 무료OPEN AP를 전세계에 깔자라는 프로젝트가 있었는데
별로 신통치 못했습니다.
한국 문화에 맞는 무언가있으면 좋겠네요
별로 신통치 못했습니다.
한국 문화에 맞는 무언가있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