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 데 대한 이해를 넓혀드리고자... 정보
기타 MySQL 데 대한 이해를 넓혀드리고자...본문
제가 그냥 이해하고 알고 있는 바를 말씀드리겠습니다.
MySQL의 장점및 용도?
MySQL은 일단 무료조. 그리고 성능도 좋습니다.
이영무님이 쓰신 책에도 나오지만 MySQL 성능이 얼마나 탁월한지는 잘 상상해 보시지 못하셨을 겁니다.
무료가 무슨 상용만큼 하려나 그러실거 같네요.
그러나 2002년도에 eweek에서 테스트 한결과 IBM의 DB2등 각종
엔터프라이즈급 디비를 제치고 MySQL이 오라클과 공동으로 최종성능에서 최고의 자리를 차지 했습니다.
SQL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
SQL은 역시나 군사적인 목적으로 모 교수가 개발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그것이 규격화 되어가다가 최종적으로 92년도에 표준규격이 생겼지요.
(이름들이 잘 생각안나니 대강만 이해하세요^^)
그러나 그 표준규격이란게 참 우습지요.
익스플로러가 표준규격에 안맞는 지네들만의 코드를 숱하게 사용하는것과 마찬가지로
이 DB계열도 마찬가지로 각종 상용프로그램들이 지네들만 사용하는걸 만들어 냈으니까요.
일단 전체적으로 보면 오라클이 최고왕좌를 차지 합니다.
모든 SQL은 공통으로 사용되는 기본함수및 용법외에 이건 되고 저건 안되는게 많습니다.
MySQL은 가볍고 빠른걸로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습니다만..
실제로 표준규격에서 제정된 것들중 상당수가 MySQL에서 지원되지 않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여러차례 버전업을 거치면서 드뎌 4.x버전대 부터는 표준규격을 거의 모두 지원하면서도
성능또한 오라클과 동급으로 벤치마크 될정도로 아주 막강해졌습니다.
한예로 MySQL을 제대로 튜닝했을 경우 대용량 처리도 오라클과 더불어서 그 수많은 디비
프로그램중에서 최고성적을 냅니다.
참고로 2002도에한 테스트에 대해 말슴드리자면 SQL의 성능 테스트를 위한 모든것을 했습니다.
대용량 처리및 각종 상황별 모두를요..그리고 모두 튜팅까지 한상태에서한것이구요.
그중 튜닝의 용이성같은것도 테스트에 포함되었지요.
이제는 MySQL도 무겁다고 PHP5에서는 기본지원에서 옵션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러나 결코 무겁지 않으면서 좋습니다.
MySQL이 무거워져바야.ㅋㅋ;; 국내환경에서 아직 멀었조.
자바를 예를 들어 볼까요. 자바는 저도 자른 모릅니다만 사람들이 하는 말이 개발환경의 지원이
정말 막강하기 때문에 PHP와 같은 언어와는 그 수행능력에서 비교한다는게 이상하다고 하조.
그말이 언뜻 맞습니다. 용도의 차이를 일부러 지는것은 아니지만 실제 현실은 그러하니까요.
사용자 저변이 넓어지면 어느정도 달라지긴 하겠지만요.
PHP에서 유명한 GD 또한 C로 컴파일된 것을 PHP가 불러와 쓰조. C++로 된것도 있지만
조금은 드문편이구요.
이런한 것들을 다른언어에서는 콤포넌트 라고 하기도 합니다.
PHP는 최고 빠른성능과 빠른 개발이 가능하며 사용이 쉽다는점에서 웹개발언어로는
현재 최고의 왕자라고 보며, 5버전이 나오고 활성화되면 당분간은 웹언어를 독식할꺼라 봅니다.
그외 차세대 언어들이 몇개 눈에 뜨이긴 하지만, 언제 어떤게 활성화 될지는 잘 모르겠군요.
아무튼 MySQL은 표준규격을 따르면서 무료이며 강한성능을 지닌놈으로 탈바꿈 해 가고 있습니다.
참 상용이 좋은점은 MSSQL및 오라클을 보시면 단번에 이해 되실겁니다.
MySQL은 텔넷이나 텍스트환경이고 phpMyAdmin과 같은게 있긴 하지만
상용하고는 천지차이조.
이점은 상용하고 비교하면 좀 이상하기도 합니다. 상용하고 같이 지원되면 누가 상용써요.ㅋㅋ
그러나 무료이면서 성능이 최고인 MySQL은 현재로써는 가장 메리트가 큰 디비임이 분명해 보입니다.
외국에서의 실사용되는 대형포탈들을 보면 얼마나 우리가 MySQL을 잘못 알고 있었는가를 알게 해줍니다.
그러나 MySQL이 적합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이점은 오해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가장 전반적으로 우수한것은 역시 오라클이라고 봅니다.
성능에서 각종 기술지원등을 따져봐서는 오라클하고 비교하면 좀 그렇조.
이상은 제 견해였습니다.
좀도 SQL에 대한 이해가 넓으신분은 가르켜 주세요^^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03-08-11 14:18:24 공부할까요?(으)로 부터 이동됨]
MySQL의 장점및 용도?
MySQL은 일단 무료조. 그리고 성능도 좋습니다.
이영무님이 쓰신 책에도 나오지만 MySQL 성능이 얼마나 탁월한지는 잘 상상해 보시지 못하셨을 겁니다.
무료가 무슨 상용만큼 하려나 그러실거 같네요.
그러나 2002년도에 eweek에서 테스트 한결과 IBM의 DB2등 각종
엔터프라이즈급 디비를 제치고 MySQL이 오라클과 공동으로 최종성능에서 최고의 자리를 차지 했습니다.
SQL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
SQL은 역시나 군사적인 목적으로 모 교수가 개발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그것이 규격화 되어가다가 최종적으로 92년도에 표준규격이 생겼지요.
(이름들이 잘 생각안나니 대강만 이해하세요^^)
그러나 그 표준규격이란게 참 우습지요.
익스플로러가 표준규격에 안맞는 지네들만의 코드를 숱하게 사용하는것과 마찬가지로
이 DB계열도 마찬가지로 각종 상용프로그램들이 지네들만 사용하는걸 만들어 냈으니까요.
일단 전체적으로 보면 오라클이 최고왕좌를 차지 합니다.
모든 SQL은 공통으로 사용되는 기본함수및 용법외에 이건 되고 저건 안되는게 많습니다.
MySQL은 가볍고 빠른걸로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습니다만..
실제로 표준규격에서 제정된 것들중 상당수가 MySQL에서 지원되지 않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여러차례 버전업을 거치면서 드뎌 4.x버전대 부터는 표준규격을 거의 모두 지원하면서도
성능또한 오라클과 동급으로 벤치마크 될정도로 아주 막강해졌습니다.
한예로 MySQL을 제대로 튜닝했을 경우 대용량 처리도 오라클과 더불어서 그 수많은 디비
프로그램중에서 최고성적을 냅니다.
참고로 2002도에한 테스트에 대해 말슴드리자면 SQL의 성능 테스트를 위한 모든것을 했습니다.
대용량 처리및 각종 상황별 모두를요..그리고 모두 튜팅까지 한상태에서한것이구요.
그중 튜닝의 용이성같은것도 테스트에 포함되었지요.
이제는 MySQL도 무겁다고 PHP5에서는 기본지원에서 옵션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러나 결코 무겁지 않으면서 좋습니다.
MySQL이 무거워져바야.ㅋㅋ;; 국내환경에서 아직 멀었조.
자바를 예를 들어 볼까요. 자바는 저도 자른 모릅니다만 사람들이 하는 말이 개발환경의 지원이
정말 막강하기 때문에 PHP와 같은 언어와는 그 수행능력에서 비교한다는게 이상하다고 하조.
그말이 언뜻 맞습니다. 용도의 차이를 일부러 지는것은 아니지만 실제 현실은 그러하니까요.
사용자 저변이 넓어지면 어느정도 달라지긴 하겠지만요.
PHP에서 유명한 GD 또한 C로 컴파일된 것을 PHP가 불러와 쓰조. C++로 된것도 있지만
조금은 드문편이구요.
이런한 것들을 다른언어에서는 콤포넌트 라고 하기도 합니다.
PHP는 최고 빠른성능과 빠른 개발이 가능하며 사용이 쉽다는점에서 웹개발언어로는
현재 최고의 왕자라고 보며, 5버전이 나오고 활성화되면 당분간은 웹언어를 독식할꺼라 봅니다.
그외 차세대 언어들이 몇개 눈에 뜨이긴 하지만, 언제 어떤게 활성화 될지는 잘 모르겠군요.
아무튼 MySQL은 표준규격을 따르면서 무료이며 강한성능을 지닌놈으로 탈바꿈 해 가고 있습니다.
참 상용이 좋은점은 MSSQL및 오라클을 보시면 단번에 이해 되실겁니다.
MySQL은 텔넷이나 텍스트환경이고 phpMyAdmin과 같은게 있긴 하지만
상용하고는 천지차이조.
이점은 상용하고 비교하면 좀 이상하기도 합니다. 상용하고 같이 지원되면 누가 상용써요.ㅋㅋ
그러나 무료이면서 성능이 최고인 MySQL은 현재로써는 가장 메리트가 큰 디비임이 분명해 보입니다.
외국에서의 실사용되는 대형포탈들을 보면 얼마나 우리가 MySQL을 잘못 알고 있었는가를 알게 해줍니다.
그러나 MySQL이 적합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이점은 오해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가장 전반적으로 우수한것은 역시 오라클이라고 봅니다.
성능에서 각종 기술지원등을 따져봐서는 오라클하고 비교하면 좀 그렇조.
이상은 제 견해였습니다.
좀도 SQL에 대한 이해가 넓으신분은 가르켜 주세요^^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03-08-11 14:18:24 공부할까요?(으)로 부터 이동됨]
추천
0
0
댓글 3개
mysql 은 무료다???????????????
무료로 쓰기 시름 혹은 미안하면 약간의 지원금(???)을 내면 된다는데
얼마나 낼까 궁금하다.......
무료로 쓰기 시름 혹은 미안하면 약간의 지원금(???)을 내면 된다는데
얼마나 낼까 궁금하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남자날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