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셋팅도 할 줄 모르는 개발자. 정보
서버 셋팅도 할 줄 모르는 개발자.
본문
일을 하나 맡았습니다.
관공서 일인데 K업체에서 수주 받아서 저에게 하청을 준 것이죠.
K업체는 서버를 판매하고 네트워크 공사하는 업체입니다.
프로그램이 들어가야 할 서버를 K업체로 이전하고 사이트를 새로 개발하는 일입니다.
서버 셋팅 되기를 기다리다 한 달이 흘렀습니다.
한달만에 계정을 알려 줬는데 제가 원했던 환경이 아닙니다. ㅡㅡ+
서버를 셋팅했다는 사람과 전화상으로 원하는 내용을 다시 설명해 줬습니다.
저보고 직접 하라네요. ㅡㅡ^
우여곡절 끝에 텔넷으로 서버에 접속 했습니다.
자사 서버와 마운트 되었는지 제가 호스트 서버로 접속 할 수 없어서 셋팅을 하지 못했습니다.
서버 계정 열어준지 이제 1주일 지났는데 작업 진척이 얼마나 됐는지 중간보고 해달라고 합니다.
아직 기획 중이고 작업된 내용은 없다고 얘기 했습니다.
지금 서버 셋팅이 어떻게 됐는지 모르겠지만 FTP로 접속하면 홈 디렉토리가 아닌 다른데 접속이 되서 매번 홈 디렉토리를 찾아 들어가야 합니다.
서브 도메인도 셋팅 안해줘서 매번 아이피(그것도 8080포트로 돌렸습니다.)로 접속하기 불편하니 서브도메인 하나만 해달라고 또 얘기 했습니다.
한 달 전 서버 설치전부터 얘기 해 왔던건데 아무것도 안해주더니 오늘은 저보고 회사로 와서 직접 셋팅하라고 하네요.
그런데 전 웹호스팅만 써와서 서버 셋팅은 할 줄 모릅니다.
그나마 책보고 아파치 설정 조금 바꾸는 정도입니다.
자기네는 서버만 제공해 줄 뿐 필요한 환경은 직접 구축하라고 얘기 합니다. 오늘...
프로그래머가 이것저것 다 할 줄 안다고 생각하는 사람 때문에 간혹 속을 썪긴 하지만 서버 셋팅까지 해야 한다고 하니 당혹 스럽습니다.
그래도 배워서 나쁠거 없겠죠? ㅡㅡ+
아파치에서 서브 도메인 셋팅하는 건 알겠는데 FTP로 로그인 했을 때 홈디렉토리로 접속 되게 하려면 뭘 어떻게 바꿔야 할까요.
문자셋도 UTF-8로 바꾸려고 하는데 이것은 또 어디서 바꿔야 할까요.
책이 있는데 오래된거라 관련 내용이 없네요. ㅜㅡ
관공서 일인데 K업체에서 수주 받아서 저에게 하청을 준 것이죠.
K업체는 서버를 판매하고 네트워크 공사하는 업체입니다.
프로그램이 들어가야 할 서버를 K업체로 이전하고 사이트를 새로 개발하는 일입니다.
서버 셋팅 되기를 기다리다 한 달이 흘렀습니다.
한달만에 계정을 알려 줬는데 제가 원했던 환경이 아닙니다. ㅡㅡ+
서버를 셋팅했다는 사람과 전화상으로 원하는 내용을 다시 설명해 줬습니다.
저보고 직접 하라네요. ㅡㅡ^
우여곡절 끝에 텔넷으로 서버에 접속 했습니다.
자사 서버와 마운트 되었는지 제가 호스트 서버로 접속 할 수 없어서 셋팅을 하지 못했습니다.
서버 계정 열어준지 이제 1주일 지났는데 작업 진척이 얼마나 됐는지 중간보고 해달라고 합니다.
아직 기획 중이고 작업된 내용은 없다고 얘기 했습니다.
지금 서버 셋팅이 어떻게 됐는지 모르겠지만 FTP로 접속하면 홈 디렉토리가 아닌 다른데 접속이 되서 매번 홈 디렉토리를 찾아 들어가야 합니다.
서브 도메인도 셋팅 안해줘서 매번 아이피(그것도 8080포트로 돌렸습니다.)로 접속하기 불편하니 서브도메인 하나만 해달라고 또 얘기 했습니다.
한 달 전 서버 설치전부터 얘기 해 왔던건데 아무것도 안해주더니 오늘은 저보고 회사로 와서 직접 셋팅하라고 하네요.
그런데 전 웹호스팅만 써와서 서버 셋팅은 할 줄 모릅니다.
그나마 책보고 아파치 설정 조금 바꾸는 정도입니다.
자기네는 서버만 제공해 줄 뿐 필요한 환경은 직접 구축하라고 얘기 합니다. 오늘...
프로그래머가 이것저것 다 할 줄 안다고 생각하는 사람 때문에 간혹 속을 썪긴 하지만 서버 셋팅까지 해야 한다고 하니 당혹 스럽습니다.
그래도 배워서 나쁠거 없겠죠? ㅡㅡ+
아파치에서 서브 도메인 셋팅하는 건 알겠는데 FTP로 로그인 했을 때 홈디렉토리로 접속 되게 하려면 뭘 어떻게 바꿔야 할까요.
문자셋도 UTF-8로 바꾸려고 하는데 이것은 또 어디서 바꿔야 할까요.
책이 있는데 오래된거라 관련 내용이 없네요. ㅜㅡ
추천
0
0
댓글 11개
이런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보통은. 개발자들이 직접 서버 셋팅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보통은. 개발자들이 직접 서버 셋팅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입니다...

요새 리눅스들은 쉽게 잘 되어 있어서 걱정안하셔도 될 거 같습니다.*^^*

참 거시기하죠..ㅠ

저는 셋팅 해달라는데로 다해주는데 난 너무 착한것같음ㅎㅎㅎ

가끔이지만... 플래셔에게 서버 셋팅 해달라고 하는 분이 있다고도 들었습니다.
컴 일 하는거니 할 수 있는거 아니냐며.. 이번에 자기 회사에 중고 서버 하나 들여놨다고 그거 잠시 봐주고 가라고 했다는군요.. 잠시.. 봐주고 가라고.... 잠시.......... 잠시... 잠시....
플래셔에게.....
컴 일 하는거니 할 수 있는거 아니냐며.. 이번에 자기 회사에 중고 서버 하나 들여놨다고 그거 잠시 봐주고 가라고 했다는군요.. 잠시.. 봐주고 가라고.... 잠시.......... 잠시... 잠시....
플래셔에게.....

화가에게 아파트 페인트 칠 해달라는 거네요. ㅋㅋ
잠시... ㅋㅋㅋ

음냐.. 저는 세팅 안해줍니다.

vi /etc/passwd 화일에 보시면 경로가 있습니다..
이 부분이 사용자의 처음 로그인 경로가 됩니다... 이 부분을 아이디 찾아서 경로 정해 주시면 될듯 합니다...
일단 -_- 하도를 하여 줌에 감사하시는 마음도 가지시구용 -_-;;
보통 다 그러시겠지만 ... 제역시 서버 설치 + 세팅 + 프로그램 + 디자인(외주) 로 직접 뜁니다 -_-;;
먹고 살기엔 참 힘들죠 -_-;;;
이 부분이 사용자의 처음 로그인 경로가 됩니다... 이 부분을 아이디 찾아서 경로 정해 주시면 될듯 합니다...
일단 -_- 하도를 하여 줌에 감사하시는 마음도 가지시구용 -_-;;
보통 다 그러시겠지만 ... 제역시 서버 설치 + 세팅 + 프로그램 + 디자인(외주) 로 직접 뜁니다 -_-;;
먹고 살기엔 참 힘들죠 -_-;;;

플레시는 Flasher(영어사전 찾지말길)에게, 개발은 Developer에게
서버셋팅은 Somebody(Yourself, Setter, other... )에게
개발자가 서버 셋팅을 해줘야하는 의무는 없습니다.
서버 셋팅을 해주는 경우는 의뢰자에 대한 편의 차원에서 해주는거고,
업체 단위인 경우, 서버 셋팅 지식은 어느정도 습득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의뢰자와의 대화도 없는 공장처럼 일하는 곳이 아니면, 해달라는 사람이 나올테니까...+자신을 위해서)
서버셋팅은 Somebody(Yourself, Setter, other... )에게
개발자가 서버 셋팅을 해줘야하는 의무는 없습니다.
서버 셋팅을 해주는 경우는 의뢰자에 대한 편의 차원에서 해주는거고,
업체 단위인 경우, 서버 셋팅 지식은 어느정도 습득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의뢰자와의 대화도 없는 공장처럼 일하는 곳이 아니면, 해달라는 사람이 나올테니까...+자신을 위해서)

참 거시기한 경우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