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애플리케이션? MSN 애플리케이션? 파란? GOOD?? 정보
구글 애플리케이션? MSN 애플리케이션? 파란? GOOD??
본문
아래에 불당님이 구글의 apps인 구글 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해 올리셨기에
필요한 분들은 더 많은 정보 보시라고 제가 써봤던 경험을 토대로 몇가지 더 정리해서 포괄적으로 올려 드립니다.
구글의 커스텀 도메인 서비스와 파란도 써 봤습니다만...
전 MSN의 윈도우 라이브 커스텀 도메인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어요.
기본 용량 5G에 필요할 때마다 자동으로 용량이 늘어나죠.
기본계정 500개이고 신청만 더 하면 또 늘릴 수도 있고....
구글은 약 7기가 정도에 계정을 50개인가 200개인가 기억이 아물한데, 암튼 그렇습니다.
구글이나 MSN 메일 서비스의 장점은 @뒤에 내 도메인을 붙일 수 있다는 건데,
화면 디자인이나 이런 점은 라이브메일이 좀 더 나은 거 같습니다.
구글의 장점은 메일을 마치 채팅처럼 이용할 수 있다는 거구요...
MSN의 경우 보통의 메일회사처럼 회원이 메일을 가입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가입센터가 따로 존재하지만 구글은 이에 비하면 수동적인 경향이 강해서 커뮤니티메일로는 적합하지 않고, 단체메일로 더 알맞는 것 같습니다.
더구나 구글은 KISA white domain으로 등록해야 하는 상황이면 spf 를 ip4로 등록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합니다. 대신 두개의 도메인을 동시에 쓸 수 있는 별칭기능이 구글에 있어서 그런 점은 구글이 훨씬 좋아요.
MSN메일의 나쁜 점은 MX연결을 할 때 다른 커스텀 메일이 등록되어 있으면 동작을 안 한다는 겁니다. 구글은 그래도 되긴 되던데...
하지만 구글의 경우 첨부파일이 스크립트 형태의 소스파일을 압축된 경우라면 100% 송수신이 불가능합니다. 스팸기능이 너무 강력하기 때문이죠. (프로그래머님들은 유의하세요.)
구글의 메일 Apps 서비스는 http://www.google.com/a/ 이고,
라이브 커스텀 도메인 서비스는 http://domains.live.com/ 입니다.
알맞는 걸로 골라 쓰세요.
대신, 한메일이나 네이버메일처럼 수신자의 메일읽음 확인을 할 수가 없으니 (외국서비스의 한계) 그런 거 원하시면 오히려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추가로, 파란에서도 오픈메일 서비스(기업무료메일이라고도 함)를 하고 있는데,
계정등록도 완전 수동으로 해야 하고 용량도 1G 이상입니다. 아마 200개까지 줄 겁니다.
구글과 라이브메일은 pop를 지원하는데 비해서 파란의 pop3는 유료이기 때문에 웹메일로만 가능합니다.
0
댓글 2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