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M 2G와 4G의 차이는 얼마나 될까요? 정보
RAM 2G와 4G의 차이는 얼마나 될까요?
본문
1기가에서 2기가로 늘리고 나니 일단 디자인 프로그램 돌릴 때 보니 피부로 느낄 정도는 되던데 4기가로 늘리면 어떨지 궁금합니다.
혹 4기가 쓰시는 분 계시면 답변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참고로 포토샵 7.0은 우습게 로딩 됩니다. 물론 CPU가 듀얼이라 그런 것도 있는데 1기가 때보다는 2기가로 올리고 나니 훨씬 로딩이 빠릅니다.
adobe CS2 시리즈도 마찬가지입니다.
아직 3D 쪽은 설치를 하지 않아 랜더링에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지는 확인 못했으나 효과는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추천
0
0
댓글 7개
그저.. 매우 개인적으로..
다시 강조해서.. 매우.. 매우 개인적으로 의견을 적습니다.
몇가지 설정에 따라서 모든게 틀려집니다.
원래가.. 포샵 7.0은.. 그냥 로딩되는것이 정상적이고
CS2시리즈는 그리 쉽게 로딩은 아니됩니다..
물론.. 설치된컴퓨터의 cpu 사항 폰트의 설치 개수 등등의 따라서.. 그냥 그 적당한 상황을 이야기 하는것입니다.
하여간.. 컴퓨터의 속도를 포샵으로 이야기 한다는것도.. 말이 안되고
그 속도를 줄이기 위해서 메모리를 설치하는것도 말이 안되고..
----------------------------------------------------------------
메모리는.. 일단 512는 현재의 입장에서는 별로의 입장이며
1기가는 기본이 되고
2기가는 사용에 따라 문제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책자의 작업 인디자인을 이용해야 될때는
실제적으로 포토샵과 일러스트 인디자인의 세가지가 동시에 작동되야 하므로 2기가 정도의 메모리가 요구됩니다.
실제적으로 여유 메모리에 대한 충분한것이 부족할때는 PDF제작시 알수 없는 오류가 발생되거나 하기도 합니다.
여기 게시판의 상황을 봐서 드림위버 + 일러 + 포샵 정도의 수준이면.. 2기가로 충분히
여유가 됩니다.
메모리가 크다는것으로 속도를 줄일수 있다는것은 가상메모리인 하드를 사용하지 않을때를 말합니다. 즉.. 실제적으로 가상메모리를 사용할 일이 없을정도의 메모리 사용량이라면..
증가해도 당연히 속도의 잇점도 없습니다.
실제적으로도.. 포토샵에서 여러가지 이미지 변형을 시도해도.. 2기가면 매우 괜찮은 수준이며
아주 특이하지 않는 경우 이외에는 전혀 속도의 증가를 느낄수 없을것이라 조언합니다.
-------------------------------------
마찬가지로 3D랜더링의 마야 / 3dmax등의 플그램 이용시에도 메모리 내에서의 로딩되는 데이타 라면.. CPU의 속도에 더 많은 좌우가 되며 오히려 멀티형태의 계산처리를 하시는게 더 좋습니다.
또한 추가로
여타 프리미어 같은 영상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해도 2기가 수준에서 만족할정도이며 CPU 의 역량에 더 많은 좌우가 됨을 이야기 하고 싶습니다.
메모리 4기가 이상은 일종의 대형 사이트에서의 SQL의 효능성을 위한것
W2K Advanced, SQL Enterprise 버전의 경우 8GB
W2K DataCenter, SQL Enterprise 버전의 경우가 64GB 의 형태의 이용가능한.. OS가 따라 줘야 하며 또한.. 사용되는 SQL용 프로그램이 지원되어야 합니다.
또한.. 마찬가지로 3D-MAX 같은 경우에도 OS의 지원이 처리되고
실제적으로 랜더링 하셔야 되는 데이타가 방대한 메모리를 요구할때는 당연히 그만큼 속도의 증가가 있습니다.
------------------------------------
요약해서.
메모리는 속도와 무관합니다. 정말 정말 무관하며
단지 설치된 메모리 보다 더 큰것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 한해서
메모리는 속도와 관계가 생깁니다.
즉...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것들은 대부분 2기가 이내에서 80%~90%이상이 유지되며
특별한 직업군의 경우에 한해서 16기가 급정도 까지 메모리를 설치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외는 현재 나온메모리와 여타 상황에 따라 사용하지도 않습니다.
다시 강조해서.. 매우.. 매우 개인적으로 의견을 적습니다.
몇가지 설정에 따라서 모든게 틀려집니다.
원래가.. 포샵 7.0은.. 그냥 로딩되는것이 정상적이고
CS2시리즈는 그리 쉽게 로딩은 아니됩니다..
물론.. 설치된컴퓨터의 cpu 사항 폰트의 설치 개수 등등의 따라서.. 그냥 그 적당한 상황을 이야기 하는것입니다.
하여간.. 컴퓨터의 속도를 포샵으로 이야기 한다는것도.. 말이 안되고
그 속도를 줄이기 위해서 메모리를 설치하는것도 말이 안되고..
----------------------------------------------------------------
메모리는.. 일단 512는 현재의 입장에서는 별로의 입장이며
1기가는 기본이 되고
2기가는 사용에 따라 문제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책자의 작업 인디자인을 이용해야 될때는
실제적으로 포토샵과 일러스트 인디자인의 세가지가 동시에 작동되야 하므로 2기가 정도의 메모리가 요구됩니다.
실제적으로 여유 메모리에 대한 충분한것이 부족할때는 PDF제작시 알수 없는 오류가 발생되거나 하기도 합니다.
여기 게시판의 상황을 봐서 드림위버 + 일러 + 포샵 정도의 수준이면.. 2기가로 충분히
여유가 됩니다.
메모리가 크다는것으로 속도를 줄일수 있다는것은 가상메모리인 하드를 사용하지 않을때를 말합니다. 즉.. 실제적으로 가상메모리를 사용할 일이 없을정도의 메모리 사용량이라면..
증가해도 당연히 속도의 잇점도 없습니다.
실제적으로도.. 포토샵에서 여러가지 이미지 변형을 시도해도.. 2기가면 매우 괜찮은 수준이며
아주 특이하지 않는 경우 이외에는 전혀 속도의 증가를 느낄수 없을것이라 조언합니다.
-------------------------------------
마찬가지로 3D랜더링의 마야 / 3dmax등의 플그램 이용시에도 메모리 내에서의 로딩되는 데이타 라면.. CPU의 속도에 더 많은 좌우가 되며 오히려 멀티형태의 계산처리를 하시는게 더 좋습니다.
또한 추가로
여타 프리미어 같은 영상 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해도 2기가 수준에서 만족할정도이며 CPU 의 역량에 더 많은 좌우가 됨을 이야기 하고 싶습니다.
메모리 4기가 이상은 일종의 대형 사이트에서의 SQL의 효능성을 위한것
W2K Advanced, SQL Enterprise 버전의 경우 8GB
W2K DataCenter, SQL Enterprise 버전의 경우가 64GB 의 형태의 이용가능한.. OS가 따라 줘야 하며 또한.. 사용되는 SQL용 프로그램이 지원되어야 합니다.
또한.. 마찬가지로 3D-MAX 같은 경우에도 OS의 지원이 처리되고
실제적으로 랜더링 하셔야 되는 데이타가 방대한 메모리를 요구할때는 당연히 그만큼 속도의 증가가 있습니다.
------------------------------------
요약해서.
메모리는 속도와 무관합니다. 정말 정말 무관하며
단지 설치된 메모리 보다 더 큰것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 한해서
메모리는 속도와 관계가 생깁니다.
즉...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것들은 대부분 2기가 이내에서 80%~90%이상이 유지되며
특별한 직업군의 경우에 한해서 16기가 급정도 까지 메모리를 설치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외는 현재 나온메모리와 여타 상황에 따라 사용하지도 않습니다.

예전에 램2기가 중 1기가를 램드라이브로 잡고 램드라이브에 스왑을 지정하여 변화된 속도를 실감했었습니다.

4기가 잠깐 꽂았다가 다시 2기가로 왔습니다
요즘들어 4기가로 다시 가고 싶어집니다(인간의 욕심이란 정말....... ㅎㅎ)
그런데 윈도우xp 32bit(일반적 xp) 에서는 4기가를 다 못쓰지 않나요?
내 컴퓨터 등록정보에서 인식부터 3.x GB로 인식하더군요.
제대로 쓸라면 윈도우xp 64bit를 쓰라더군요 -_-킁....
요즘들어 4기가로 다시 가고 싶어집니다(인간의 욕심이란 정말....... ㅎㅎ)
그런데 윈도우xp 32bit(일반적 xp) 에서는 4기가를 다 못쓰지 않나요?
내 컴퓨터 등록정보에서 인식부터 3.x GB로 인식하더군요.
제대로 쓸라면 윈도우xp 64bit를 쓰라더군요 -_-킁....

궁금한 부분은 고루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알기로도 현재 2G면 충분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64bit 체제를 지원하는 컴이지만 아시다시피 어플리케이션이 다들 지원 못하므로 의미가 없고
가장 큰 속도의 차이는 3D인데 3D 역시 병렬로 160G 까지 연결하여 렌더링 하는 업체는 알고 있으나(영화 제작시 필요하다고 하더군요.) 거기서도 램과 관련하여서는 별말이 없던데 다나와에서는 자꾸 램타령들인지라 보통 일반 사용하는데 왜 4G까지 필요할까 궁금했습니다.
아직은 굳이 4G까지 넘볼 이유가 없어졌습니다.
제가 알기로도 현재 2G면 충분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64bit 체제를 지원하는 컴이지만 아시다시피 어플리케이션이 다들 지원 못하므로 의미가 없고
가장 큰 속도의 차이는 3D인데 3D 역시 병렬로 160G 까지 연결하여 렌더링 하는 업체는 알고 있으나(영화 제작시 필요하다고 하더군요.) 거기서도 램과 관련하여서는 별말이 없던데 다나와에서는 자꾸 램타령들인지라 보통 일반 사용하는데 왜 4G까지 필요할까 궁금했습니다.
아직은 굳이 4G까지 넘볼 이유가 없어졌습니다.

사실 포토샵이라면 간단한문제면 1GB도 문제없다생각합니다. 제가 다양한 환경에서 작업중인데.
512에서는 좀 지루하다싶을정도, 1GB는 적당하다싶을정도, 2GB는 여유롭다. 4GB는 조금 좋아보이긴하네? 정도요? 하하 물론 CPU에 및 하드 등 여러문제도 있지만 대부분 스펙이 비슷합니다.
512에서는 좀 지루하다싶을정도, 1GB는 적당하다싶을정도, 2GB는 여유롭다. 4GB는 조금 좋아보이긴하네? 정도요? 하하 물론 CPU에 및 하드 등 여러문제도 있지만 대부분 스펙이 비슷합니다.
메모리 1기가 - 집
메모리 2기가 - 사무실
포토샵 7사용.
근데 큰 차이를 모르겠습니다.
처음 뜰 때 속도차이가 좀 나는것 같긴한데 그건 로딩시 올라가야 할 것들때문이기도 하고
가장 큰 건 CPU 차이인것 같습니다.
사무실에 컴은 집에 컴보다는 무지 최신거고 집에 사용하는 컴은 한 4년정도 되었습니다.
메모리로 인한 속도업은 크게 못느끼겠네요.
어차피 메모리는 속도의 가장 마지막 단계라서 그렇겠지만요.
메모리 2기가 - 사무실
포토샵 7사용.
근데 큰 차이를 모르겠습니다.
처음 뜰 때 속도차이가 좀 나는것 같긴한데 그건 로딩시 올라가야 할 것들때문이기도 하고
가장 큰 건 CPU 차이인것 같습니다.
사무실에 컴은 집에 컴보다는 무지 최신거고 집에 사용하는 컴은 한 4년정도 되었습니다.
메모리로 인한 속도업은 크게 못느끼겠네요.
어차피 메모리는 속도의 가장 마지막 단계라서 그렇겠지만요.

포샵7은 512 정도면 충분합니다. 단, filter와 폰트를 얼마나 장착하느냐에 따라 좀 달라집니다.
반면 CS2로 넘어가면서 512 로는 감당이 되질 않습니다. 최소 1G가 권장인 듯 합니다.
제가 램을 업그레이드 시킨 결정적인 이유는 프로그램간 호환입니다.
가령 코렐13과 일러스트CS2 파일간에 호환할 일이 있을 경우 기본 메모리를 많이 소요하므로 경우에 따라 쫘아악 뻗더군요. 컨버팅 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다시 이것을 궁금적인 목적 파일인 포토샵으로 옮기면서 상당히 지체되더군요.
포토샵도 CS2가 일부 기능이 개선되면서 벡터원본으로 파일들을 저장하므로 덩치큰 메인화면을 일러와 혼합하여 제작할 경우 로딩되는 속도가 무디 더딥니다.
그래서 2G로 업을 시킨 것인데 일단 피부로 느낄 정도는 됩니다.
게다가 플래시에 포샵도 일반적으로 띄우고 있으니 메모리 할당량이 좀 커야겠다 싶어 조정한 것입니다.
이렇게 한번 맛을 보고나니 혹 4G에서도 그 정도 차이점을 느낄 수 있는가 궁금해졌습니다.
과거 워크스테이션보다 월등히 향상된 현실이지만 아직도 2% 부족한 듯한 느낌은 지워버릴 수 없으니 인간의 욕심이란 한이 없는 모양입니다.
진짜 속도 업을 원한다면 제온을 써야겠지요. 그러나 취미생활용으로는 너무 과도한 투자인지라 현재 상태로 만족하며 살아야겠습니다.
반면 CS2로 넘어가면서 512 로는 감당이 되질 않습니다. 최소 1G가 권장인 듯 합니다.
제가 램을 업그레이드 시킨 결정적인 이유는 프로그램간 호환입니다.
가령 코렐13과 일러스트CS2 파일간에 호환할 일이 있을 경우 기본 메모리를 많이 소요하므로 경우에 따라 쫘아악 뻗더군요. 컨버팅 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리고 다시 이것을 궁금적인 목적 파일인 포토샵으로 옮기면서 상당히 지체되더군요.
포토샵도 CS2가 일부 기능이 개선되면서 벡터원본으로 파일들을 저장하므로 덩치큰 메인화면을 일러와 혼합하여 제작할 경우 로딩되는 속도가 무디 더딥니다.
그래서 2G로 업을 시킨 것인데 일단 피부로 느낄 정도는 됩니다.
게다가 플래시에 포샵도 일반적으로 띄우고 있으니 메모리 할당량이 좀 커야겠다 싶어 조정한 것입니다.
이렇게 한번 맛을 보고나니 혹 4G에서도 그 정도 차이점을 느낄 수 있는가 궁금해졌습니다.
과거 워크스테이션보다 월등히 향상된 현실이지만 아직도 2% 부족한 듯한 느낌은 지워버릴 수 없으니 인간의 욕심이란 한이 없는 모양입니다.
진짜 속도 업을 원한다면 제온을 써야겠지요. 그러나 취미생활용으로는 너무 과도한 투자인지라 현재 상태로 만족하며 살아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