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업방식에 대한 설문에 참여를 (__) 도움 부탁 정보
백업방식에 대한 설문에 참여를 (__) 도움 부탁
본문
http://sir.co.kr/bbs/board.php?bo_table=cm_forum&wr_id=1595
고민되네요.. 전체 백업후 증분 백업을 할것인지 차등 백업을 할것인지..
여러분의 고견을 기다립니다. (__)
추천
0
0
댓글 5개
실시간이 없어서 안타까워요..

실시간의 단점도 있다고 봅니다. 사용자가 잘못해서 원 데이터를 지웠다면 바로 복구 할려고 해서 백업 데이터 또한 날라 가버리니까요.. 레이드 방식으로 했을때 이런 문제가 발생 하더라구요...
자료 지웠다가 한방에 날라가는수가 있죠 ^^;
자료 지웠다가 한방에 날라가는수가 있죠 ^^;
실제로 저희 서버들 적용 중인 기법 일부를 의견삼아 적자면...
우선, 실시간 미러링과 인터벌 백업을 같이 하고, 이를 3중으로 집중적으로 하는 서버들이 있습니다.
일부의 경우 30분, 대부분 이슈에 대해서 1시간마다 백업이 발생하는데, 일반 파일과 DB 모두 대상입니다.
즉, 하루에 24개의 백업 폴더가 다뤄지고, 해당 시각의 백업은 30일을 주기로 갱신이 됩니다.
ssd 와 메모리 기반으로 rsync 의 backup 옵션을 통한 변경분만 hourly 백업을 하고, 전체 스냅샷은 6시간에 한 번씩 사본을 생성합니다.
revisions 와 각종 로그는 매우 중요하므로, gzip 압축을 한 상태로 daily 백업을 하고, 갱신 없이 누적으로 진행합니다.
파일시스템이나 DBMS의 퍼포먼스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고 있습니다.
아참, 이건 정말 중요한 건데요, 백업 서버에 사용된 대용량 스토리지는 1년이 경과하면 완전 분해 및 파쇄해서 여러 위치에 나눠서 버립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우선, 실시간 미러링과 인터벌 백업을 같이 하고, 이를 3중으로 집중적으로 하는 서버들이 있습니다.
일부의 경우 30분, 대부분 이슈에 대해서 1시간마다 백업이 발생하는데, 일반 파일과 DB 모두 대상입니다.
즉, 하루에 24개의 백업 폴더가 다뤄지고, 해당 시각의 백업은 30일을 주기로 갱신이 됩니다.
ssd 와 메모리 기반으로 rsync 의 backup 옵션을 통한 변경분만 hourly 백업을 하고, 전체 스냅샷은 6시간에 한 번씩 사본을 생성합니다.
revisions 와 각종 로그는 매우 중요하므로, gzip 압축을 한 상태로 daily 백업을 하고, 갱신 없이 누적으로 진행합니다.
파일시스템이나 DBMS의 퍼포먼스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고 있습니다.
아참, 이건 정말 중요한 건데요, 백업 서버에 사용된 대용량 스토리지는 1년이 경과하면 완전 분해 및 파쇄해서 여러 위치에 나눠서 버립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그렇군요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서버설정에 대한 부분은 접할수 있지만 실제 운영 노하우를 공개 해주셔서 감사 합니다.
백업 시스템이 정말 중요한데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백업이 참 어려운듯합니다. 서버의 부하 부분이나
여러 부분을 생각했을때 쉽지 않군요 많은 도움이 되었고 좀더 연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rsync사용시 메인 컴과 클라이언트서버(백업서버)에서 가져 올때 권한 부분을 (파일사용자의 설정)부분등은 가져 오지 못하던데 다른 방법이 있는지 인터넷이나 책으로는 정보의 한계가 있어서 혹시나 하고 여쭈어 봅니다.
가지고 오니 서버의 권한 root 권한을 획듯한 파일이 되어 버리더군요.. 하긴 당연 하긴하죠 클라이언트 서버에서는
메인 컴의 사용자 설정이 이곳에 있지 않기 때문에 ..
좀더 고민 해야 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백업 시스템이 정말 중요한데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백업이 참 어려운듯합니다. 서버의 부하 부분이나
여러 부분을 생각했을때 쉽지 않군요 많은 도움이 되었고 좀더 연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rsync사용시 메인 컴과 클라이언트서버(백업서버)에서 가져 올때 권한 부분을 (파일사용자의 설정)부분등은 가져 오지 못하던데 다른 방법이 있는지 인터넷이나 책으로는 정보의 한계가 있어서 혹시나 하고 여쭈어 봅니다.
가지고 오니 서버의 권한 root 권한을 획듯한 파일이 되어 버리더군요.. 하긴 당연 하긴하죠 클라이언트 서버에서는
메인 컴의 사용자 설정이 이곳에 있지 않기 때문에 ..
좀더 고민 해야 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저도 짧은 지식입니다만, 힌트 더 드리고 갑니다. 참고하세요.
rsync -aropvih --delete --stats --backup
--backup-dir=${변경된 파일 저장 경로}/ \
${원본 경로}/ \
${원본 최종 사본이 백업되는 경로}/
* rsync 는 --delete 옵션 붙을 때 /(슬래시)는 매우 민감하고 중요한 글자입니다.
* 사용자 생성은 해줘도 안 해줘도 그만입니다만, 로그인 되지 않는 user, group 맞춰주시면 관리 이점은 있습니다. 스크립트를 통해서 주기적으로 동기화 할 수 있습니다.
rsync -aropvih --delete --stats --backup
--backup-dir=${변경된 파일 저장 경로}/ \
${원본 경로}/ \
${원본 최종 사본이 백업되는 경로}/
* rsync 는 --delete 옵션 붙을 때 /(슬래시)는 매우 민감하고 중요한 글자입니다.
* 사용자 생성은 해줘도 안 해줘도 그만입니다만, 로그인 되지 않는 user, group 맞춰주시면 관리 이점은 있습니다. 스크립트를 통해서 주기적으로 동기화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