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쉬 적용 타임에 대해서 시간분배는 어떻게들 이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토크

토크

개발과 관련된 어떤 얘기도 괜찮습니다.

캐쉬 적용 타임에 대해서 시간분배는 어떻게들 이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정보

개발자 캐쉬 적용 타임에 대해서 시간분배는 어떻게들 이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본문

최신글이나 댓글, 전체글 등의 부분을 DB 캐쉬를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생각해보니 캐쉬타임을 같게 주면 캐쉬가 생성되는 시점이 거의 동일하게 되어

부하가 있는 부분들이 동시에 캐쉬 생성을 하게 되면 여전히 부하가 걸리겠더라구요.


그래서 캐쉬 타임을 다르게 주고 사용을 하는데

초당으로 계산을 할 때

예를 들자면 3초, 7초, 13초 처럼

소수를 이용해서 캐쉬 타임을 주고자 합니다.


이렇게 하면 캐쉬타임이 겹쳐지는 시간이(캐쉬타임의 최소공배수?) 짝수초 보다는 훨씬 적어질 것 같네요.

영향은 미미하겠지만 캐쉬타임도 이런식으로 주는게 좋지 않을까요? 해서 한 번 글을 적어봅니다.
추천
0
비추천
0
  • 복사

댓글 7개

별 효과 없을 거 같은데요.

현재 캐쉬라는 것이 
한 사용자에게 딜레이를 줘서 (디비를 불러오고) 
대신 다른 사용자가 그 정보를 재 사용해서 빠르게 로딩이 되는건데

디비 불러오는데 긴 시간이 걸리는 것도 아닐 뿐더러
3, 7, 13초로 세팅해 두어도  사용자가 20초후에 접속한다면 셋다 로딩이 걸리므로 그게 그겁니다.
즉 초대형 사이트가 아닌 이상  현재를 유지하는게 나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많이 늦었습니다.
3,7,13초야 예시에 불과했던 시간입니다. 그리고 사용자가 20초 정도에 한 번 접속하는
사이트 같은 경우 굳이 캐쉬가 필요할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컨텐츠가 많은 경우에야 접속자가 적어도 캐쉬를 쓰는게 좋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캐쉬가 없어도 문제없지 싶네요.

대형사이트가 아니라도 동접수가 늘 10~20명인 경우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사용자가 캐쉬파일을 생성하면 생성하는 도중에 뻗습니다.
만료된 파일은 새로 생성하는 도중에 다른 사용자가 접속하면 또 요청을 하게 됨으로 계속 반복됨에 따라 뻗죠.
따라서 기간은 넉넉히 잡고 수분에서 수십분 사이로 크론이 돌면서 덮으면 됩니다.
그건 말이 안되죠.

보통 slow-query 가 2초인데  그 2초동안 A, B가 경쟁해서 로딩에 들어간다면
결과물이 파일로(디비로) 저장되어질 때 둘중에 하나가 0.001초라도 먼저 끝날겁니다.
A가 먼저 끝났다고 가정하면 A캐쉬가 저장되고 B캐쉬가 덮어쓰기 합니다.

이렇듯 사용자가 캐쉬파일을 생성하는 도중에 새로운 사용자가 들어와서 캐쉬를 생성하려하면 둘이 동시에 생성이 되는것이죠. (캐쉬파일은 순차적 덮어쓰기)

즉 최악에 상황은 캐쉬를 안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나는 것이지 뻗지 않아요.
확실히 대형사이트에서 딜레이가 긴 부분은 캐쉬르 생성하다가
사이트가 뻗는 현상이 난 적이 있습니다.
크론으로 돌리는게 좋겠지만, 호스팅을 받는 입장에선 크론을 사용할 수가 없으니
차선책을 찾아봐야겠지요. ^^
진서기님 말을 보고 새로 작업을 했습니다.
확실히 메인페이지에서 캐쉬생성을 하는 것 보다 그게 편하더군요.
몇가지 게시물은 그냥 생성타임을 주고 캐쉬를 생성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1. 게시물 쓰기 -> 캐쉬생성
2. 코멘트 쓰기 -> 최근게시물에 들어가는 부분일 경우 캐쉬생성(코멘트 갯수가 변하므로)
3. 게시물 삭제 -> 캐쉬생성
이런식으로 작업을 했습니다.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