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에서 계정 생성하기? 정보
기타 웹에서 계정 생성하기?
본문
자체서버 없이 여태껏 오다가 드디어 자체서버를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기존엔 cafe24의 리셀러를 사용했었는데요. 웹UI에서 계정 생성, 네임서버 설정이 가능해 편리했는데
자체서버에서 그런 솔루션을 검색해보니 webmin 이란 솔루션이 있긴 하더라구요.
그래도 리셀러만큼 간편한 형태가 아니라서... 혹시 이런 툴 사용하시는 분 있으시면 조언 부탁드릴게요~ㅁ~<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7:36 Server (서버)에서 이동 됨]</div>
기존엔 cafe24의 리셀러를 사용했었는데요. 웹UI에서 계정 생성, 네임서버 설정이 가능해 편리했는데
자체서버에서 그런 솔루션을 검색해보니 webmin 이란 솔루션이 있긴 하더라구요.
그래도 리셀러만큼 간편한 형태가 아니라서... 혹시 이런 툴 사용하시는 분 있으시면 조언 부탁드릴게요~ㅁ~<div class='small'>[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7:36 Server (서버)에서 이동 됨]</div>
추천
0
0
댓글 7개

다른분들께서 저보다 더 좋은 답변을 달아 주실거라 생각했는데 ^^ 아직 없는듯 해서
웹상이라는 전제를 다셨으니 무료 버전인 WEBMIN 보다는 유료버전인 CPANEL 이던가 이걸 권해 봅니다.
http://www.cpanel.net/products/cpanelwhm/try-demo.html
이미 블루호스팅인가 하는곳과 몇군데에 적용 되어 있네요 .
예제는 잠시 검색에서 하나 그냥 걸리는 순으로....
http://tyzen.net/272 이곳도 참조해 보십시요.
웹상이라는 전제를 다셨으니 무료 버전인 WEBMIN 보다는 유료버전인 CPANEL 이던가 이걸 권해 봅니다.
http://www.cpanel.net/products/cpanelwhm/try-demo.html
이미 블루호스팅인가 하는곳과 몇군데에 적용 되어 있네요 .
예제는 잠시 검색에서 하나 그냥 걸리는 순으로....
http://tyzen.net/272 이곳도 참조해 보십시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webmin이나 cpanel을 사용하기 위해서 재교육을 실시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볼품 없지만; 간단한 형태로 개발하여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헐 그냥 sulinux 쓰시지...
cpanel 쓸바에야 윈도우 서버 쓰겠네요.
일단 cpanel 을 사용하시면 ssh나 telnet을 타고 들어 가는 직접 제어는 포기 하셔야 합니다.
그 흔한 service apache restart 도 작동 안한다는.
cpanel 쓸바에야 윈도우 서버 쓰겠네요.
일단 cpanel 을 사용하시면 ssh나 telnet을 타고 들어 가는 직접 제어는 포기 하셔야 합니다.
그 흔한 service apache restart 도 작동 안한다는.

자체적으로 구축했습니다.
conf는 db 데이터 기준 php로 만들어주고, 서비스 제어는 쉘로 뿌려준 다음 crontab으로 5분 간격 체크해서 계정 생성해주는 식으로 동작하게 했는데 큰 무리 없이 잘 동작하네요^^..
윈도우 서버는 라이센스 문제가 좀 걸려서 선뜻 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sulinux 좋은가요? ~ㅅ~ 안써본 배포판이네요..
conf는 db 데이터 기준 php로 만들어주고, 서비스 제어는 쉘로 뿌려준 다음 crontab으로 5분 간격 체크해서 계정 생성해주는 식으로 동작하게 했는데 큰 무리 없이 잘 동작하네요^^..
윈도우 서버는 라이센스 문제가 좀 걸려서 선뜻 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sulinux 좋은가요? ~ㅅ~ 안써본 배포판이네요..

혹시 그럼 root 계정으로 실행 하시나요?

crontab만 root에서 돌고 있습니다. 물론 이 방식도 보안에 문제가 있긴 있을거 같아요 ;ㅅ;
리눅스 초보라 조언을 드릴 입장은 아니고,
webmin + virtualmin 으로 리눅스 서버를 셋팅해놓고, 실제 사용 중인 홈페이지를 옮겨서 가동하고 있는 중이지만, 소감을 이야기해본다면,
기본적으로 프롬프트 모드를 벗어날 수 있고, 원격에서 GUI 모드를 쓸 수 있다는 점과, mini server라고 할까 별도의 서버를 이용하여 root 로 접속이 항상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설정할 수 있는 메뉴와 서브메뉴, 그리고 설정가능한 항목들이 어마무시하게 많아서 사람을 질리게 만들기는 합니다만, 배우고 익히기만 하면 그만큼 세밀한 조정과 설정도 가능하다는 뜻이 됩니다.
저로서는 apm 설치를 자동으로 해주는 바람에 푹 빠져버렸습니다.
마우스 클릭 몇번으로 계정 생성, 셋팅, 삭제 등이 자동으로 이루어집니다.
고객에게 제공해줄 수 있는 usermin 이라는 것도 있는 것 같은데, 그 부분은 좀 더 살펴봐야 할 것 같습니다.
webmin + virtualmin 으로 리눅스 서버를 셋팅해놓고, 실제 사용 중인 홈페이지를 옮겨서 가동하고 있는 중이지만, 소감을 이야기해본다면,
기본적으로 프롬프트 모드를 벗어날 수 있고, 원격에서 GUI 모드를 쓸 수 있다는 점과, mini server라고 할까 별도의 서버를 이용하여 root 로 접속이 항상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설정할 수 있는 메뉴와 서브메뉴, 그리고 설정가능한 항목들이 어마무시하게 많아서 사람을 질리게 만들기는 합니다만, 배우고 익히기만 하면 그만큼 세밀한 조정과 설정도 가능하다는 뜻이 됩니다.
저로서는 apm 설치를 자동으로 해주는 바람에 푹 빠져버렸습니다.
마우스 클릭 몇번으로 계정 생성, 셋팅, 삭제 등이 자동으로 이루어집니다.
고객에게 제공해줄 수 있는 usermin 이라는 것도 있는 것 같은데, 그 부분은 좀 더 살펴봐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