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root관리자 접속 방법 (펌) 정보
JavaScript 우분투 root관리자 접속 방법 (펌)
본문
데비안 우분투의 경우는 설치후 root관리자로 바로 로그인할수 없도록 설정되어 있다. 무엇보다 안전을 위해 설정된 것이기는 하지만 root관리자로 로그인하여 세세한 설정을 해야될 필요성이 있다.
우분투의 경우라면 아래 2가지의 경우를 모두 설정을 해둔다.
#sudo passwd root
Debin -->사용자 입력
********* -->비밀번호 입력
데비안의 경우라면 "데스크탑-->관리-로그인창"을 선택해서 "로컬 시스템 관리자 로그인 허용"을 선택한다. 이후 root로 로그인을 시도해 본다.

리눅스에서는 파일폴더창을 열다보면 계속해서 펼쳐지는 각각의 창들이 불편할때가 있다. 이때는 "기본설정-->파일관리"를 선택을 해준다. 항상 브라우저 창으로 열기를 선택해주면 한개의 창에서 지속적으로 폴더창들이 열려진다.

압축 관련 명령어
리눅스 데스크탑 환경에서 압축명령어 자체를 몰라도 압축파일과 연동되어 압축을 풀어주는 기능들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콘솔화면에서 작업을 해야될 경우라면 압축 명령어들을 알아두어야 한다. 이밖에 rar,unrar등 도스에서 사용되는 압축파일등이 있지만 이경우는 기본적으로 설치되어져 있지 않기에 사용자가 직접 설치를 해줘야 한다. 최근에는 윈도우xp에서 주로많이 사용되는 알집의 경우도 리눅스에서도 필요한 경우 설치,설정하여 사용할수가 있다. (file roller그놈에서 사용되는 압축관리자로 대부분의 배포판에 설치되어져 있다.)
file roller 관리자
http://fileroller.sourceforge.net/index.html
gzip
파일을 압축하거나 압축된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는 명령어이다. 명령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압축하는 경우
gzip 압축할 파일명
- 압축을 해제하는 경우
gzip -d 해제할 파일명.gz
gzip으로 압축을 하게 되면 .gz로 끝나는 파일이 생성되게 되며, 압축하기 전 파일은 사라지게 된다. 원본 파일이 없어지고 압축 파일만 남게 된다는 것을 꼭 기억해야 한다.
gzip 명령의 옵션은 다음과 같다.
-d gzip으로 압축된 파일의 압축을 해제한다.
-r 디렉토리 내의 모든 파일을 압축한다. 디렉토리 내의 파일당 한의 압축 파일로 압축되게 된다.
-1 가장 빠른 속도로 압축을 한다. 압축률이 떨어지게 된다.
-9 최대 압축률로 압축한다. 압축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
tar
여러개의 파일을 하나로 묶거나 묶은 파일을 원상태로 하는 경우 사용한다.(압축을 수행하지는 않는다.)
명령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여러개의 파일을 하나로 묶고자 할때
tar -c [묶은 후 파일명] [묶고자 하는 파일들의 디렉토리]
--묶인 파일을 풀고자 할때
tar -x 풀고자 하는 묶은 파일명
/home/test디렉토리 내의 모든 파일을 test.tar파일로 묶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tat -cf test.tar /home/test
test.tar라는 묶은 파일이 생성된다.
묶인 파일을 풀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린다.
tar -xf test.tar
tar로 파일을 묶을때 압축까지 하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을 한다.
tar -czvf test.tar.gz /home/test
위의 명령을 수행하면 /home/test 디렉토리 내의 파일들을 test.tar파일로 묶어 gzip으로 압축을 하게 되며 이 과정을 화면상에 출력하게 된다.
압축된 tar 파일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린다.
tar -xzvf test.tar.gz
tar 명령의 옵션은 다음과 같다.
옵션
-x 하나로 만들어진 파일에서 파일을 풀어낸다.
-v tar 명령을 실행하는 고정을 보여준다.
-f tar 로 묶어진 파일 이름을 지정한다.
-z 압축 프로그램인 gzip을 이용하여 압축하거나 압축을 해제한다.
-c 여러개의 파일을 묶어 하나의 파일을 만든다.
-t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진 파일 내의 목록을 본다.
데비안 자바설치및 자바설정
자바에 관련된 내용은 데비안 유저 사용자 모임에 관련글이 있으므로 설정은 큰무리가 없다.

자바를 설정하고 웹상에서 구현되는 도스부팅의 화면이다.
우분투의 경우라면 아래 2가지의 경우를 모두 설정을 해둔다.
#sudo passwd root
Debin -->사용자 입력
********* -->비밀번호 입력
데비안의 경우라면 "데스크탑-->관리-로그인창"을 선택해서 "로컬 시스템 관리자 로그인 허용"을 선택한다. 이후 root로 로그인을 시도해 본다.

리눅스에서는 파일폴더창을 열다보면 계속해서 펼쳐지는 각각의 창들이 불편할때가 있다. 이때는 "기본설정-->파일관리"를 선택을 해준다. 항상 브라우저 창으로 열기를 선택해주면 한개의 창에서 지속적으로 폴더창들이 열려진다.

압축 관련 명령어
리눅스 데스크탑 환경에서 압축명령어 자체를 몰라도 압축파일과 연동되어 압축을 풀어주는 기능들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콘솔화면에서 작업을 해야될 경우라면 압축 명령어들을 알아두어야 한다. 이밖에 rar,unrar등 도스에서 사용되는 압축파일등이 있지만 이경우는 기본적으로 설치되어져 있지 않기에 사용자가 직접 설치를 해줘야 한다. 최근에는 윈도우xp에서 주로많이 사용되는 알집의 경우도 리눅스에서도 필요한 경우 설치,설정하여 사용할수가 있다. (file roller그놈에서 사용되는 압축관리자로 대부분의 배포판에 설치되어져 있다.)
file roller 관리자
http://fileroller.sourceforge.net/index.html
gzip
파일을 압축하거나 압축된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는 명령어이다. 명령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압축하는 경우
gzip 압축할 파일명
- 압축을 해제하는 경우
gzip -d 해제할 파일명.gz
gzip으로 압축을 하게 되면 .gz로 끝나는 파일이 생성되게 되며, 압축하기 전 파일은 사라지게 된다. 원본 파일이 없어지고 압축 파일만 남게 된다는 것을 꼭 기억해야 한다.
gzip 명령의 옵션은 다음과 같다.
-d gzip으로 압축된 파일의 압축을 해제한다.
-r 디렉토리 내의 모든 파일을 압축한다. 디렉토리 내의 파일당 한의 압축 파일로 압축되게 된다.
-1 가장 빠른 속도로 압축을 한다. 압축률이 떨어지게 된다.
-9 최대 압축률로 압축한다. 압축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
tar
여러개의 파일을 하나로 묶거나 묶은 파일을 원상태로 하는 경우 사용한다.(압축을 수행하지는 않는다.)
명령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여러개의 파일을 하나로 묶고자 할때
tar -c [묶은 후 파일명] [묶고자 하는 파일들의 디렉토리]
--묶인 파일을 풀고자 할때
tar -x 풀고자 하는 묶은 파일명
/home/test디렉토리 내의 모든 파일을 test.tar파일로 묶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tat -cf test.tar /home/test
test.tar라는 묶은 파일이 생성된다.
묶인 파일을 풀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린다.
tar -xf test.tar
tar로 파일을 묶을때 압축까지 하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을 한다.
tar -czvf test.tar.gz /home/test
위의 명령을 수행하면 /home/test 디렉토리 내의 파일들을 test.tar파일로 묶어 gzip으로 압축을 하게 되며 이 과정을 화면상에 출력하게 된다.
압축된 tar 파일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린다.
tar -xzvf test.tar.gz
tar 명령의 옵션은 다음과 같다.
옵션
-x 하나로 만들어진 파일에서 파일을 풀어낸다.
-v tar 명령을 실행하는 고정을 보여준다.
-f tar 로 묶어진 파일 이름을 지정한다.
-z 압축 프로그램인 gzip을 이용하여 압축하거나 압축을 해제한다.
-c 여러개의 파일을 묶어 하나의 파일을 만든다.
-t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진 파일 내의 목록을 본다.
데비안 자바설치및 자바설정
자바에 관련된 내용은 데비안 유저 사용자 모임에 관련글이 있으므로 설정은 큰무리가 없다.

출처 데비안 잔잔한 설정|작성자 머리큰애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
추천
2
2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