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도라 리눅스 네임서버 설치 > 개발자팁

개발자팁

개발과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세요.
질문은 QA에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페도라 리눅스 네임서버 설치 정보

기타 페도라 리눅스 네임서버 설치

본문

1. 리눅스 네임서버 데몬(프로그램) 설치

리눅스의 네임서버는 bind 패키지를, 페도라의 설정파일은 caching-nameserver 패키지를 사용합니다. 이 두 패키지를 yum 을 이용해 설치합니다.

yum install bind caching-nameserver

2. named.conf 설정

caching-nameserver 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named.conf 파일 대신 named.caching-nameserver.conf 파일을 사용합니다. 다음 소스코드에서 붉은 색 부분만 추가해줍니다.

vi /etc/named.caching-nameserver.conf

options {
        listen-on port 53 { 127.0.0.1; };
        listen-on port 53 { 자신의 서버 아이피; }; // 아이피 추가
        listen-on-v6 port 53 { ::1; };
        directory       "/var/named";
        dump-file       "/var/named/data/cache_dump.db";
        statistics-file "/var/named/data/named_stats.txt";
        memstatistics-file "/var/named/data/named_mem_stats.txt";
        query-source    port 53;
        query-source-v6 port 53;
        allow-query     { any; }; // localhost 에서 any 로 변경
};

logging {
        channel default_debug {
                file "data/named.run";
                severity dynamic;
        };
};
view localhost_resolver {
        // match-clients      { localhost; };  // 주석처리
        // match-destinations { localhost; };  // 주석처리
        recursion yes;
        include "/etc/named.rfc1912.zones";
};

3. zone 파일 설정

네임서버에서 사용할 도메인의 zone 파일을 설정해줘야 합니다. /etc/named.rfc1912.zones 파일을 열어 다음 코드를 추가해줍니다.

vi /etc/named.rfc1912.zones

zone "도메인" IN {
        type master;
        file "도메인의 존(zone) 파일 이름";
        allow-update { none; };
};

예 :
zone "miwit.com" IN {
        type master;
        file "miwit.com.zone";
        allow-update { none; };
};

4. zone 파일 생성

이제 실질적으로 도메인 네임서버를 컨트롤할 zone 파일을 생성합니다. 다음 예제를 보고 자신의 도메인에 맞게 설정하면 됩니다.

vi /var/named/miwit.com.zone

$TTL 3600 ; 해당정보를 가져간 DNS서버에서 그 서버 캐쉬에 얼마동안 보관할 것인가에 대한 설정(캐시활성시간), 초단위이며 기본값은 24시간

@ IN  SOA ns1.miwit.com.  root.miwit.com. ( ; 네임서버. 관리자email (root @ miwit.com 로 인식)
  2007051007  ; 시리얼값 (년월일시간)으로 대부분 설정합니다.
  30M         ; 2차 네임서버가 1차 네임서버에 접속하는 시간
  15M         ; 접속 실패시 다시 시작할 시간 간격
  1W          ; 1차 네임서버에 데이터가 없다면 1주 이후에 지워진다.
  1H )        ; 위에서 설정한 TTL값과 같은 의미

IN    NS      ns1.miwit.com.  ; 도메인을 소유한 DNS의 도메인
IN    MX  10  mail.miwit.com. ; 메일을 보낼 도메인 또는 주소
IN    A       111.111.111.11  ; 도메인이 찾아갈 IP주소
www   IN  A   111.111.111.11
*     IN  A   111.111.111.11  ; 모든 서브 도메인이 찾아갈 서버 IP

5. zone 파일 권한설정

파일의 소유자는 root.named 로 권한은 640 으로 맞춰줍니다.

chown root.named miwit.com.zone
chmod 640 miwit.com.zone

6. 부팅시 named 시작 설정

리부팅시 자동으로 named 가 실행될 수 있도록 setup > 시스템 서비스 에서 named 에 체크를 해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7. named 데몬을 실행합니다.

service named start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7:32:05 Linux에서 이동 됨]
추천
0
  • 복사

댓글 0개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