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2003서버 관리 정보
HTML 윈도우2003서버 관리본문
윈도우 서버 관리
실제 최근 기업들이 부분적으로 메인프레임이나 유닉스급의 서버를 윈도우로 다운사이징하면서, 메인프레임, 유닉스 기반 엔지니어들이 윈도우를 관리하고 있다. 이들이 가장 당혹해 하는 부분이 GUI 기반의 관리 도구에 대한 어색함 혹은 거부감이다. 또한 GUI 기반의 관리는 항상 관리자가 인터랙티브하게 동작해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한계를 갖는다.
서버 관리 자동화
윈도우 서버 2003 관리 기능에서 가장 주목할 대목은 셸(Shell) 기반 관리의 대폭 강화며, 이같은 셸은 WMI 기반의 COM API를 구현한 유틸리티나 스크립트들이다. 셸 기반 관리 기능의 강화가 실제 현장에서 얼마나 유용한 것인지 필자의 현장 경험을 통해 살펴보도록 하자.
500여대 되는 윈도우 2000 서버에 6~7개의 스케줄링된 작업이 있었다. 이 서버는 고객 사이트의 보안 인프라 프로젝트 일환으로 구현되는 액티브 디렉토리 도메인에 포함돼야 했는데, 문제는 테스트 환경에서 도메인에 포함된 이 서버들의 스케줄링 작업이 모두 동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메인에 합류한 후, 기존 스케줄링 작업을 삭제하고, 동일한 작업을 스크립트로 다시 생성하는 방향으로 해결하도록 결론지었다.
물론 필자는 태스크 스케줄러(Task Scheduler) GUI 관리 인터페이스 작업이 AT라는 셸 도구를 통해 배치화되거나, 최악의 경우라도 WSH를 통한 작업 정도는 지원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어이없게도 AT는 태스크 스케줄러 GUI와는 호환되지 않았고, 스크립팅도 지원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결국 고객에게 도메인에 합류시킨 후, 엔지니어가 일일이 서버 500여대의 스케줄링을 수동으로 삭제하고, 생성해야 한다고 통보할 수 밖에 없었다.
물론 윈도우 서버 2003 기반에서는 Schtasks라는 유틸리티를 통해 이같은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서버 2003에 기존 윈도우 서버 2000 리소스킷이나 PSS에서만 사용하던 커맨드라인 도구와 스크립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손쉬운 사용을 위한 도움말과 풍성한 예제를 지원하고 있다. 서버 관리 자동화의 첩경은 셸을 이용한 배치 작업이나 스크립트일 것이며, 이에 부응하는 운영체제는 윈도우 서버 2003이다.
원격 관리
윈도우 서버를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옵션은 대략 3가지 정도다.
가장 보편적 원격 관리 솔루션인 터미널 서비스는 드라이브 매핑을 통해 서버의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보낼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높은 컬러 수 지원을 통해 깔끔한 환경에서의 작업을 지원한다. 또한, 터미널 세션 기반이 아닌, 로컬의 콘솔 세션을 이용한 작업을 지원한다.
실제 최근 기업들이 부분적으로 메인프레임이나 유닉스급의 서버를 윈도우로 다운사이징하면서, 메인프레임, 유닉스 기반 엔지니어들이 윈도우를 관리하고 있다. 이들이 가장 당혹해 하는 부분이 GUI 기반의 관리 도구에 대한 어색함 혹은 거부감이다. 또한 GUI 기반의 관리는 항상 관리자가 인터랙티브하게 동작해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한계를 갖는다.
서버 관리 자동화
윈도우 서버 2003 관리 기능에서 가장 주목할 대목은 셸(Shell) 기반 관리의 대폭 강화며, 이같은 셸은 WMI 기반의 COM API를 구현한 유틸리티나 스크립트들이다. 셸 기반 관리 기능의 강화가 실제 현장에서 얼마나 유용한 것인지 필자의 현장 경험을 통해 살펴보도록 하자.
500여대 되는 윈도우 2000 서버에 6~7개의 스케줄링된 작업이 있었다. 이 서버는 고객 사이트의 보안 인프라 프로젝트 일환으로 구현되는 액티브 디렉토리 도메인에 포함돼야 했는데, 문제는 테스트 환경에서 도메인에 포함된 이 서버들의 스케줄링 작업이 모두 동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메인에 합류한 후, 기존 스케줄링 작업을 삭제하고, 동일한 작업을 스크립트로 다시 생성하는 방향으로 해결하도록 결론지었다.
물론 필자는 태스크 스케줄러(Task Scheduler) GUI 관리 인터페이스 작업이 AT라는 셸 도구를 통해 배치화되거나, 최악의 경우라도 WSH를 통한 작업 정도는 지원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어이없게도 AT는 태스크 스케줄러 GUI와는 호환되지 않았고, 스크립팅도 지원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결국 고객에게 도메인에 합류시킨 후, 엔지니어가 일일이 서버 500여대의 스케줄링을 수동으로 삭제하고, 생성해야 한다고 통보할 수 밖에 없었다.
물론 윈도우 서버 2003 기반에서는 Schtasks라는 유틸리티를 통해 이같은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서버 2003에 기존 윈도우 서버 2000 리소스킷이나 PSS에서만 사용하던 커맨드라인 도구와 스크립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손쉬운 사용을 위한 도움말과 풍성한 예제를 지원하고 있다. 서버 관리 자동화의 첩경은 셸을 이용한 배치 작업이나 스크립트일 것이며, 이에 부응하는 운영체제는 윈도우 서버 2003이다.
원격 관리
윈도우 서버를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옵션은 대략 3가지 정도다.
- Telnet : 커맨드 기반의 관리를 지원하며, 오버헤드가 가장 적은 원격 관리 방법이다. 윈도우 서버 2003에 포함된 모든 셸은 Telnet에서도 훌륭하게 동작한다.
- 웹 인터페이스 : 웹 브라우저를 통해 윈도우의 이벤트, 계정, 웹 사이트 관리를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터미널 서비스 : 윈도우 서버 2003은 관리를 위한 터미널 구성 요소가 기본적으로 설치돼 있으며, 데스크톱 환경을 통해 GUI 기반의 관리를 지원한다.
가장 보편적 원격 관리 솔루션인 터미널 서비스는 드라이브 매핑을 통해 서버의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보낼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높은 컬러 수 지원을 통해 깔끔한 환경에서의 작업을 지원한다. 또한, 터미널 세션 기반이 아닌, 로컬의 콘솔 세션을 이용한 작업을 지원한다.
![]() |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1-10-31 16:46:12 기타에서 이동 됨]
추천
2
2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