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부팅불가 Mysql 데이터 백업방법과 일반데이터 보존 방법 정보
리눅스 부팅불가 Mysql 데이터 백업방법과 일반데이터 보존 방법본문
그누여러분 안녕하세요.. *^^*
다름이 아니라 리눅스 사용중 문제가 생겨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아시아눅스2.0 SP2를 사용하였구요..
IDE 하드 30G에 os설치하였구요..
S-ata 레이드 160x3 데이터를 보관하였습니다..
제원은 인텔 제온3.0 램1G 델서버 입니다..
해킹으로 인한 로그불량으로 재부팅 하니 부팅이 불가 합니다. ㅜ.ㅜ
리눅스 CD로 복원을 시도해 보았으나 실패 하였습니다.
리눅스는 다시 깔면 되나 그누를 사용하던 Mysql 데이터와
S-ata의 데이터를 백업 받을수 있는 방법이나 리눅스를 살릴수 있는 방법
아시는 분 있으시면 자세히 글좀 부탁드립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 전체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너무길고 어느정도 지식이 있으실거라 생각하기에..
먼저 rescue 모드로 들어가셔서 ( 이것도 안되면 rescue CD 로 부팅 후 텍스트 모드로 가셔서 )
fstab 을 확인하세요.
빈 하드를 하나 준비하신 후 연결 하시고 마운트 시키신 후 ( 파티션 잡으시구요) db와 home을 마운트 시킨 hdd로 옮기세요.
다시 언마운트 시키시고 hdd를 분리하신 후 서버를 재설치 하시고나서
자료를 옮겼던 hdd를 마운트 하시고 파티션 잡으신 후 옮기시면 됩니다.
해킹을 당하셨으면 아마 찌질이 크래커라면 /usr/bin/ /usr/sbin/ 모두 날렸을겁니다.
새로 설치하실때 랜선을 뽑으시고 설치하시고 이전의 root 비번은 사용하지 마세요.
모든 세팅이 끝나신후 랜선을 연결하시구요.
자동으로 파티션을 나누셨다면 어떻게 잡히는지 몰라서 거기에 대해서는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
파티션을 나누는건 득보다 실이 많습니다.
항상 파티션을 나누는 습관을 기르시구요. 꾸벅.
자세한 상황을 모르므로 쉽게 복구 후 데이타만 옮긴 후 재설치 하는 방법이 있을지도 모르나... 쿨럭;;
먼저 rescue 모드로 들어가셔서 ( 이것도 안되면 rescue CD 로 부팅 후 텍스트 모드로 가셔서 )
fstab 을 확인하세요.
빈 하드를 하나 준비하신 후 연결 하시고 마운트 시키신 후 ( 파티션 잡으시구요) db와 home을 마운트 시킨 hdd로 옮기세요.
다시 언마운트 시키시고 hdd를 분리하신 후 서버를 재설치 하시고나서
자료를 옮겼던 hdd를 마운트 하시고 파티션 잡으신 후 옮기시면 됩니다.
해킹을 당하셨으면 아마 찌질이 크래커라면 /usr/bin/ /usr/sbin/ 모두 날렸을겁니다.
새로 설치하실때 랜선을 뽑으시고 설치하시고 이전의 root 비번은 사용하지 마세요.
모든 세팅이 끝나신후 랜선을 연결하시구요.
자동으로 파티션을 나누셨다면 어떻게 잡히는지 몰라서 거기에 대해서는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
파티션을 나누는건 득보다 실이 많습니다.
항상 파티션을 나누는 습관을 기르시구요. 꾸벅.
자세한 상황을 모르므로 쉽게 복구 후 데이타만 옮긴 후 재설치 하는 방법이 있을지도 모르나... 쿨럭;;
오리 주둥이님 관심 가져 주셔서 감사 합니다.. *^^*
이번일이 있고 나서 리눅스를 쓰는 것이 많이 주눅이 듭니다..
윈도우를 썼더라면 할때도 있습니다... ㅡ.ㅜ
리눅스 보안을 어케 해야 더 잘 할수 있는건지....??
차라리 자체 방화벽이나 백신 개발 잘되여 있는 윈도우 계열이 좋은 것인지...??
저의 이런 고민을 그누 여러분에 답볍으로 방향을 잡아 보고자 합니다.....
그누 여러분 답볍 부탁 드립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 합니다.. ^^
이번일이 있고 나서 리눅스를 쓰는 것이 많이 주눅이 듭니다..
윈도우를 썼더라면 할때도 있습니다... ㅡ.ㅜ
리눅스 보안을 어케 해야 더 잘 할수 있는건지....??
차라리 자체 방화벽이나 백신 개발 잘되여 있는 윈도우 계열이 좋은 것인지...??
저의 이런 고민을 그누 여러분에 답볍으로 방향을 잡아 보고자 합니다.....
그누 여러분 답볍 부탁 드립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 합니다.. ^^
보안문제라면 리눅스로 가셔야겠죠. 윈도보다는 안전합니다. -_-;;;;
보안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기본적인 부분은 반드시 있지만요.
이것 저것 해라 해서 될 문제는 아닙니다.
리눅스 보안에 관한 책자를 사서 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일단 로그를 보실 줄 아셔야 할테죠 ( 당연한거지만 --; )
간단한 예로 ssh 포트번호 한 번 바꿔보세요. 어택이 어마어마하게 줄어듭니다.
이건 일례일 뿐 보안 방법은 다양합니다.
하지만 항상 열려있는 80포트에 대해서는?
보안은 막고 뚫는 싸움일 뿐 정답은 없습니다.
기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그 후의 사항들은 차근차근 해결해 가셔요.
보안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기본적인 부분은 반드시 있지만요.
이것 저것 해라 해서 될 문제는 아닙니다.
리눅스 보안에 관한 책자를 사서 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일단 로그를 보실 줄 아셔야 할테죠 ( 당연한거지만 --; )
간단한 예로 ssh 포트번호 한 번 바꿔보세요. 어택이 어마어마하게 줄어듭니다.
이건 일례일 뿐 보안 방법은 다양합니다.
하지만 항상 열려있는 80포트에 대해서는?
보안은 막고 뚫는 싸움일 뿐 정답은 없습니다.
기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그 후의 사항들은 차근차근 해결해 가셔요.
늘 관심 가져 주시는 오리 주둥이 님께 감사 또 감사 드립니다... *^^*
오리 주둥이님이 알려 주신데로 리눅스에 다시 시작하는 맘으로 도전해 보겠습니다...
오리 주둥이님 괜찮은 서버용 리눅스 추천좀 해 주세요..
그리고 보안에 관한 책자도 추천 부탁 드려요.....
읽어 주셔서 감사 합니다... ^^
오리 주둥이님이 알려 주신데로 리눅스에 다시 시작하는 맘으로 도전해 보겠습니다...
오리 주둥이님 괜찮은 서버용 리눅스 추천좀 해 주세요..
그리고 보안에 관한 책자도 추천 부탁 드려요.....
읽어 주셔서 감사 합니다... ^^
수세, 안녕등이 서버용으로는 좋습니다. 특히 수세는 레드햇,페도라처럼 RPM이 지원이 됩니다.
안녕역시 레드햇 기반이라 당연히 되구요.
특히 김정균님께서 운영하시는 패키지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 다운그레이등도 상당히 잘 지원되고 좋습니다.
우분투에서 서버 돌려봤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다지.. 하지만 데스크탑으로는 +_+
페도라는 개인적으로 별로 안좋아합니다. 덩치가 너무 커져서요.
다 싫으시면 BSD 계열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FreeBSD 사용해보세요.
다만.. RPM? 리포지터리? yum?.....
.. 오로지 소스설치만.. 쿨럭;
보안관련책은 직접 가셔서 고르세요. 사람마다 책을 보는 성향이 틀리니까요.
안녕역시 레드햇 기반이라 당연히 되구요.
특히 김정균님께서 운영하시는 패키지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 다운그레이등도 상당히 잘 지원되고 좋습니다.
우분투에서 서버 돌려봤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다지.. 하지만 데스크탑으로는 +_+
페도라는 개인적으로 별로 안좋아합니다. 덩치가 너무 커져서요.
다 싫으시면 BSD 계열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FreeBSD 사용해보세요.
다만.. RPM? 리포지터리? yum?.....
.. 오로지 소스설치만.. 쿨럭;
보안관련책은 직접 가셔서 고르세요. 사람마다 책을 보는 성향이 틀리니까요.
늘 관심 가져 주시는 오리 주둥이 님께 감사 드립니다... *^^*
제가 포인트가 더 많았다면 오리 주둥이님께 더 드리고 싶습니다.. ^^
너무 잘 알려 주시고 관심가져 주셔서 네이버 지식 보다 그누를 더 찾게 되나봐요.. ^^
염치 불구 하고 오리 주둥이님께 하나만 더 여쭈어 볼께요...
리눅스 중 '마루' 라고 있던데 그건 알려 주신 리눅스와 비교 하면 어떠 한가요??
제가 포인트가 더 많았다면 오리 주둥이님께 더 드리고 싶습니다.. ^^
너무 잘 알려 주시고 관심가져 주셔서 네이버 지식 보다 그누를 더 찾게 되나봐요.. ^^
염치 불구 하고 오리 주둥이님께 하나만 더 여쭈어 볼께요...
리눅스 중 '마루' 라고 있던데 그건 알려 주신 리눅스와 비교 하면 어떠 한가요??
마루는 설치해보지 않았습니다.
가서 보니까 레드햇 기반인것 같네요 yum, rpm등이 나오는것 보면요.
레드햇을 사용하셨다면 같은 기반은 거의 동일합니다.
( 물론 다른것들도 큰 차이는 없습니다만 rpm, yum 등 방식들이 차이가 있습니다. )
좀 걱정되는것은 qna 게시판이 활성화 되어있지 않네요. 2006년도 글이 다 인것으로 봐서는요.
마루에 대해서는 뭐라 드릴 말씀이 없네요.꾸벅.
가서 보니까 레드햇 기반인것 같네요 yum, rpm등이 나오는것 보면요.
레드햇을 사용하셨다면 같은 기반은 거의 동일합니다.
( 물론 다른것들도 큰 차이는 없습니다만 rpm, yum 등 방식들이 차이가 있습니다. )
좀 걱정되는것은 qna 게시판이 활성화 되어있지 않네요. 2006년도 글이 다 인것으로 봐서는요.
마루에 대해서는 뭐라 드릴 말씀이 없네요.꾸벅.
가장 복잡한 배포판 - slackware,gentoo 순(주로 시간남아도는 분들이 선택,성능 최고)
국내를 포함하여 세계에서 최근에 가장많이 사용 하는 배포판 - ubuntu(이쁘고 설치간단)
세계에서 350여 배포판중 가장 유명한 배포판 - suse,redhat,debian
국내리눅스-대부분 레드햇 계열로 리눅스 제대로 공부하려면 관심두면 안된다(full CD가 몇장 안된
다)..
대표 리눅스 일반 유저 싸이트 http://www.kldp.org 모르면 공식 간첩입니다..
(배포판 상관없이 여기가 리눅스 유저 총아지트)
우분투 - http://www.ubuntu.or.kr
수세(수지) - http://www.suselinux.co.kr
레드햇 - enterprise 버전만 제공(기업) http://krug.or.kr/forums
대신 fedora(일반 사용자용)가 있으나 지원 full CD 가 6장 밖에 안된다
(한국 전용 싸이트 없는것 같음)..이둘은 국내에서 많이사용되는 것으로 국내에서
취직할려면 이둘중 하나는 배워야한다..
화이트박스 - http://whiteboxlinux.net 상용 레드햇과 동일한 성능을 보인다고 합니다..
레트햇 계열 슈퍼유저 그룹 - http://www.superuser.co.kr
cf. 레드햇 9.0 버전은 현재 너무 구식입니다..
젠투 - http://usr.gentoo.or.kr
데비안 - http://www.debianusers.org
FreeBSD(공짜 유닉스) - http://www.kr.freebsd.org
그리고 최근 우리나라 정부가 만든 부여리눅스(MS 윈도우 붕어빵이라고 합니다)가 있습니다..
최근 리눅스 사용순위 동향 - 투표 결과...
http://charum.org/zb41/view.php?id=ubuntu&no=20
http://www.distrowatch.com
여기 없는 나머지 리눅스 배포판은 그냥 무시하시라...
참고로 유닉스가 리눅스보다 서버에서는 한수 위이며 redhat계열을 제외한 다른 배포판은
enterprise version이 곧 일반 사용자 버전입니다 ( 제가 알기로는 redhat을 포함하여 배포판간
성능,보안차이가 거의 없는걸루 압니다..redhat은 국내 community는 조금있으나 global영역
에서는 거의 전무하기 때문에 그 영향력이 이미 감소하고 있다고 파악되어 집니다. ).
리눅스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조금씩 다르지만 그외 다른 프로그램 code는 다 동일합니다..
국내를 포함하여 세계에서 최근에 가장많이 사용 하는 배포판 - ubuntu(이쁘고 설치간단)
세계에서 350여 배포판중 가장 유명한 배포판 - suse,redhat,debian
국내리눅스-대부분 레드햇 계열로 리눅스 제대로 공부하려면 관심두면 안된다(full CD가 몇장 안된
다)..
대표 리눅스 일반 유저 싸이트 http://www.kldp.org 모르면 공식 간첩입니다..
(배포판 상관없이 여기가 리눅스 유저 총아지트)
우분투 - http://www.ubuntu.or.kr
수세(수지) - http://www.suselinux.co.kr
레드햇 - enterprise 버전만 제공(기업) http://krug.or.kr/forums
대신 fedora(일반 사용자용)가 있으나 지원 full CD 가 6장 밖에 안된다
(한국 전용 싸이트 없는것 같음)..이둘은 국내에서 많이사용되는 것으로 국내에서
취직할려면 이둘중 하나는 배워야한다..
화이트박스 - http://whiteboxlinux.net 상용 레드햇과 동일한 성능을 보인다고 합니다..
레트햇 계열 슈퍼유저 그룹 - http://www.superuser.co.kr
cf. 레드햇 9.0 버전은 현재 너무 구식입니다..
젠투 - http://usr.gentoo.or.kr
데비안 - http://www.debianusers.org
FreeBSD(공짜 유닉스) - http://www.kr.freebsd.org
그리고 최근 우리나라 정부가 만든 부여리눅스(MS 윈도우 붕어빵이라고 합니다)가 있습니다..
최근 리눅스 사용순위 동향 - 투표 결과...
http://charum.org/zb41/view.php?id=ubuntu&no=20
http://www.distrowatch.com
여기 없는 나머지 리눅스 배포판은 그냥 무시하시라...
참고로 유닉스가 리눅스보다 서버에서는 한수 위이며 redhat계열을 제외한 다른 배포판은
enterprise version이 곧 일반 사용자 버전입니다 ( 제가 알기로는 redhat을 포함하여 배포판간
성능,보안차이가 거의 없는걸루 압니다..redhat은 국내 community는 조금있으나 global영역
에서는 거의 전무하기 때문에 그 영향력이 이미 감소하고 있다고 파악되어 집니다. ).
리눅스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조금씩 다르지만 그외 다른 프로그램 code는 다 동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