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rdate 동기화 설정 정보
linux rdate 동기화 설정
본문
/etc/crontab에
00 00 * * * root /usr/bin/rdate -s time.kriss.re.kr && /sbin/clock -w
담아놓고 있었는데 최근 동기화가 안 이루어지는군요.
장비 이전 때문에 분리했다가 다시 연결해서 부팅하니 시간대가 틀려져서 알게 되었네요.
동기화 설정 해결하는 방법 부탁드립니다.
00 00 * * * root /usr/bin/rdate -s time.kriss.re.kr && /sbin/clock -w
담아놓고 있었는데 최근 동기화가 안 이루어지는군요.
장비 이전 때문에 분리했다가 다시 연결해서 부팅하니 시간대가 틀려져서 알게 되었네요.
동기화 설정 해결하는 방법 부탁드립니다.
댓글 전체
crontab을 지우시구요
rdate.sh라고 파일을 만들어서, chmod u+x로 모드를 바꾼 후 /etc/cron.daily에 넣어주세요
ms의 time 서버를 씁니다. ㅋㅋ
#!/bin/bash
/usr/bin/rdate -s time.windows.com
rdate.sh라고 파일을 만들어서, chmod u+x로 모드를 바꾼 후 /etc/cron.daily에 넣어주세요
ms의 time 서버를 씁니다. ㅋㅋ
#!/bin/bash
/usr/bin/rdate -s time.windows.com
chmod u+x 모드가 뭔가요??
그리고 굳이 확장자를 .sh로 해줘야 하나요??
그리고 굳이 확장자를 .sh로 해줘야 하나요??
u+x : 사용자가 실행가능하게. shell script의 mode가 x가 되야 실행됩니다.
확장자를 sh로 한거는 쉘 스크립트라는 것을 구분하기 쉽게 하려구 하는 겁니다.
확장자를 sh로 한거는 쉘 스크립트라는 것을 구분하기 쉽게 하려구 하는 겁니다.
아,,전 chmod 755 로 변경을했는데, 그게 그거군요,,ㅋ...감사합니다..ㅎ.
불당님 답변 고맙습니다.
제가 볼땐 rdate를 kriss.re.kr에서 받는것을 windows.com으로 받는 차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다만 crontab에 담아 쓰느냐 daily로 실행하느냐 차이같구요..
문제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받는 값 또한
rdate: timeout for time.windows.com
와 같이 timeout 난다는 것입니다.
혹시 timeout 나는 이유가 서버상의 DNS나 iptable, firewall 과 상관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제가 볼땐 rdate를 kriss.re.kr에서 받는것을 windows.com으로 받는 차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다만 crontab에 담아 쓰느냐 daily로 실행하느냐 차이같구요..
문제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받는 값 또한
rdate: timeout for time.windows.com
와 같이 timeout 난다는 것입니다.
혹시 timeout 나는 이유가 서버상의 DNS나 iptable, firewall 과 상관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