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m1일경우, 그룹m2일경우 if else 정보
그룹m1일경우, 그룹m2일경우 if else
본문
그누보드 head.php 파일에서 왼쪽메뉴를 테이블로 만들어놓고약간만 수정해서 사용하고싶은데.
표현방식좀 알려주세요,
그룹 m1 일경우 아래같이 테이블을 나타낸다
그룹 m2 일경우 아래같이 테이블을 나타낸다
그룹 m3 일경우 아래같이 테이블을 나타낸다
를 출력하고싵은데 조건문을 모르겠습니다.
<? if (!$member['mb_id']) { ?> 요걸 어떻게 써줘야하나요?
<? if (!$member['mb_id']) { ?> <== 그룹 m1 일경우
<table>
<tr><td>메뉴11</td></tr>
<tr><td>메뉴12</td></tr>
<tr><td>메뉴13</td></tr>
</table>
<? if (!$member['mb_id']) { ?> <== 그룹 m2 일경우
<table>
<tr><td>메뉴21</td></tr>
<tr><td>메뉴22</td></tr>
<tr><td>메뉴23</td></tr>
</table>
<? if (!$member['mb_id']) { ?> <== 그룹 m3 일경우
<table>
<tr><td>메뉴31</td></tr>
<tr><td>메뉴32</td></tr>
<tr><td>메뉴33</td></tr>
</table>
<? } else { ?> <== 그룹이 지정되지 않는경우
<table>
<tr><td>메뉴71</td></tr>
<tr><td>메뉴72</td></tr>
<tr><td>메뉴73</td></tr>
</table>
<? } ?>
표현방식좀 알려주세요,
그룹 m1 일경우 아래같이 테이블을 나타낸다
그룹 m2 일경우 아래같이 테이블을 나타낸다
그룹 m3 일경우 아래같이 테이블을 나타낸다
를 출력하고싵은데 조건문을 모르겠습니다.
<? if (!$member['mb_id']) { ?> 요걸 어떻게 써줘야하나요?
<? if (!$member['mb_id']) { ?> <== 그룹 m1 일경우
<table>
<tr><td>메뉴11</td></tr>
<tr><td>메뉴12</td></tr>
<tr><td>메뉴13</td></tr>
</table>
<? if (!$member['mb_id']) { ?> <== 그룹 m2 일경우
<table>
<tr><td>메뉴21</td></tr>
<tr><td>메뉴22</td></tr>
<tr><td>메뉴23</td></tr>
</table>
<? if (!$member['mb_id']) { ?> <== 그룹 m3 일경우
<table>
<tr><td>메뉴31</td></tr>
<tr><td>메뉴32</td></tr>
<tr><td>메뉴33</td></tr>
</table>
<? } else { ?> <== 그룹이 지정되지 않는경우
<table>
<tr><td>메뉴71</td></tr>
<tr><td>메뉴72</td></tr>
<tr><td>메뉴73</td></tr>
</table>
<? } ?>
댓글 전체
<? if ($member['mb_id'] == "조건에맞는") { ?>
멤버의 그룹을 어떻게 지정하셨는지.. 추가테이블에 입력하셨다면..
<? if ($member['mb_1'] == "그룹1") { ?>
<? } else if ($member['mb_1'] == "그룹2") { ?>
<? } else if ($member['mb_1'] == "그룹3") { ?>
<? } else { ?>
<? } ?>
멤버의 그룹을 어떻게 지정하셨는지.. 추가테이블에 입력하셨다면..
<? if ($member['mb_1'] == "그룹1") { ?>
<? } else if ($member['mb_1'] == "그룹2") { ?>
<? } else if ($member['mb_1'] == "그룹3") { ?>
<? } else { ?>
<? } ?>
이렇게 해보면 어떨까요?
<?
switch ($gr_id) {
case "m1" : include ~~~ ; break;
case "m2" : include ~~~ ; break;
case "m3" : include ~~~ ; break;
default include ~~~
?>
include 에는 m1 에 들어갈 코드 m2 m3 ... 와 같이 저장해주면 되겠네요
양이 많다면 배열에 넣어서 꺼내쓰는게 편하겠네요..
<?
switch ($gr_id) {
case "m1" : include ~~~ ; break;
case "m2" : include ~~~ ; break;
case "m3" : include ~~~ ; break;
default include ~~~
?>
include 에는 m1 에 들어갈 코드 m2 m3 ... 와 같이 저장해주면 되겠네요
양이 많다면 배열에 넣어서 꺼내쓰는게 편하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