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격왕 정보
타격왕
본문
연타석 안타를 치고 나간 어느 여구 선수.
타율을 계산해보니 바로 앞타석에 비해 정확하게 1푼이 올랐습니다.
지금까지 모두 몇개의 안타를 쳤을까요?
출처 : 자전거는 어디로 갔는가?
타율을 계산해보니 바로 앞타석에 비해 정확하게 1푼이 올랐습니다.
지금까지 모두 몇개의 안타를 쳤을까요?
출처 : 자전거는 어디로 갔는가?
댓글 17개

999개
-
채택 0

101개
-
채택 0

순열의 합을 구해야 하니까, 단순 계산이 아닌 순열함수를 써야 할것 같은데..
수학 배운 기억이 오래되서 -_-
시그마 n+1/n 이 100의 배수가 되는 값을 구하면 되는건가요?
수학 배운 기억이 오래되서 -_-
시그마 n+1/n 이 100의 배수가 되는 값을 구하면 되는건가요?
-
채택 0

앗! 무식이 탄로났다. ㅜㅜ
-
채택 0

현재까지 정답 안나왔습니다.
-
채택 0
지금까지 안타수 모두 1개 입니다.
문제의 "정확하게" 에서 힌트를 얻었습니다.
포인트 주세요
문제의 "정확하게" 에서 힌트를 얻었습니다.
포인트 주세요
-
채택 0

정확하게 틀리셨습니다~~
-
채택 0
해석
지난번 까지 99타수 무안타 타율 zero
오늘 안타 하나 추가해서
총타수 100타에 안타 1개 타율 0.01
0.01-0=0.01
포인트 주세요
(가만히 있으면 50점은 될텐데 ... 자구 틀리니 조금은 챙피...)
지난번 까지 99타수 무안타 타율 zero
오늘 안타 하나 추가해서
총타수 100타에 안타 1개 타율 0.01
0.01-0=0.01
포인트 주세요
(가만히 있으면 50점은 될텐데 ... 자구 틀리니 조금은 챙피...)
-
채택 0
연타석 안타 라는 말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1) 연이은 타석에서 연이어 안타를 친다.
2) 연이은 타석에서 이번만 안타를 친다.
2)의 경우에는 총안타 1타
1)의 경우에는 정답없음
그래서 저는 2)으로 해석을 했습니다.
1) 연이은 타석에서 연이어 안타를 친다.
2) 연이은 타석에서 이번만 안타를 친다.
2)의 경우에는 총안타 1타
1)의 경우에는 정답없음
그래서 저는 2)으로 해석을 했습니다.
-
채택 0

문제를 보면 "연타석 안타를 치고 나간" 이란 말이 있습니다.
연타석 홈런이란 연이은 타석에서 이번에만 홈런을 친다가 되나요? ^^
팔팔이님 참 무심하십니다. 관심 가지고 댓글 다는 글마다 영 관리를 안하시네요
빌딩에서 공던지는거 11번으로 답을 해도 한참을 묵묵부답이시더니 이번 문제는 답이 있는겁니까?
연타석 홈런이란 연이은 타석에서 이번에만 홈런을 친다가 되나요? ^^
팔팔이님 참 무심하십니다. 관심 가지고 댓글 다는 글마다 영 관리를 안하시네요
빌딩에서 공던지는거 11번으로 답을 해도 한참을 묵묵부답이시더니 이번 문제는 답이 있는겁니까?
-
채택 0

라펜타님 정말 죄송합니다.
다른 분들께도 너무 죄송하구요.
앞으로는 정말 댓글 관리 잘 할게요 ㅎㅎ
다른 분들께도 너무 죄송하구요.
앞으로는 정말 댓글 관리 잘 할게요 ㅎㅎ
-
채택 0

그래서 답은 뭔가요? 답을 알려주세요 ㅎㅎ 그러면 오버겠지요?
투정처럼 올린 글에 성의 있는 답변 감사드립니다.
한해 정리 잘하시고(게시판 정리도 ?)
새해에도 많은 재밌는 문제로 회원님들 즐겁게 해주시길 바랍니다. 팔팔님 화이팅~
투정처럼 올린 글에 성의 있는 답변 감사드립니다.
한해 정리 잘하시고(게시판 정리도 ?)
새해에도 많은 재밌는 문제로 회원님들 즐겁게 해주시길 바랍니다. 팔팔님 화이팅~
-
채택 0

연타석 안타니 두개 이상일꺼고
99타석 1안타 이후 100타석 2안타가 가장 근사치인듯 한데
99타석 1안타는 1푼 1모 이니 정확히 2푼이라면 9리9모 증가이지 1푼 증가는 아니군요~
정확이 1푼이 증가하려면 안타 한개 이후에 안타가 1푼이 되는것을 찾아야 하는데~가능 할까요?
99타석 1안타 이후 100타석 2안타가 가장 근사치인듯 한데
99타석 1안타는 1푼 1모 이니 정확히 2푼이라면 9리9모 증가이지 1푼 증가는 아니군요~
정확이 1푼이 증가하려면 안타 한개 이후에 안타가 1푼이 되는것을 찾아야 하는데~가능 할까요?
-
채택 0

음... 산수 문제군요.
안타/타석 = 타율인데
우선
안타를 A라고 하고 타석를 B라고 할 때
A+1/B+1 = (A/B)+0.01 이라고 하면 답이 되겠네요.
안타/타석 = 타율인데
우선
안타를 A라고 하고 타석를 B라고 할 때
A+1/B+1 = (A/B)+0.01 이라고 하면 답이 되겠네요.
-
채택 0

그 동안 답은 못올려 정말 죄송합니다.
특히 이 곳에 댓글을 달아주신 분들께 너무 죄송합니다.
[정답]
모두 19개의 안타를 쳤습니다.
안타를 친 후 n타수 h안타가 되었다고 합시다.
안타를 치기 직전에는 n-1 타수 3안타였으니까,
(h-1)/(n-1) + 1/100 = h/n
가 되고 편의상 m = 101-n 으로 두고 식을 정리하면 100h = nm 입니다.
이 식의 왼쪽이 4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오른쪽 역시 4로 나누어 떨어져야 합니다.
같은 식으로, 왼쪽이 25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n과 m 하나만이 25로 나누어떨어져야 합니다.
m>0 이므로 2<=n<=100 인데, 연타석 안타를 쳤다는데서 h>=2 이므로 n은 100 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2<=m , n<=99 이고, m이 4의 배수이면서 n이 25의 배수이거나, m이 25의 배수이면서 n이 4의 배수인 두 경우가 가능합니다.
그런데 n=50,75 인 경우, m=51,26 이므로 4의 배수가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n=25, m=76 이어야 합니다.
이 경우 h = nm/100 = 76*25/100=19 입니다.
m=50, 75 인 경우도 앞서와 같은 이유로 불가능하므로 n=76,m=25 가 되어야 합니다.
이 때도 역시 h = nm/100 = 25*76/100 = 19 입니다.
따라서 어느 경우이든 안타수는 19입니다.
특히 이 곳에 댓글을 달아주신 분들께 너무 죄송합니다.
[정답]
모두 19개의 안타를 쳤습니다.
안타를 친 후 n타수 h안타가 되었다고 합시다.
안타를 치기 직전에는 n-1 타수 3안타였으니까,
(h-1)/(n-1) + 1/100 = h/n
가 되고 편의상 m = 101-n 으로 두고 식을 정리하면 100h = nm 입니다.
이 식의 왼쪽이 4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오른쪽 역시 4로 나누어 떨어져야 합니다.
같은 식으로, 왼쪽이 25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n과 m 하나만이 25로 나누어떨어져야 합니다.
m>0 이므로 2<=n<=100 인데, 연타석 안타를 쳤다는데서 h>=2 이므로 n은 100 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2<=m , n<=99 이고, m이 4의 배수이면서 n이 25의 배수이거나, m이 25의 배수이면서 n이 4의 배수인 두 경우가 가능합니다.
그런데 n=50,75 인 경우, m=51,26 이므로 4의 배수가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n=25, m=76 이어야 합니다.
이 경우 h = nm/100 = 76*25/100=19 입니다.
m=50, 75 인 경우도 앞서와 같은 이유로 불가능하므로 n=76,m=25 가 되어야 합니다.
이 때도 역시 h = nm/100 = 25*76/100 = 19 입니다.
따라서 어느 경우이든 안타수는 19입니다.
-
채택 0

(h-1)/(n-1) + 1/100 = h/n
제가 쓴 공식이랑 같은데요??
제가 쓴 공식이랑 같은데요??
-
채택 0

네 아주 잘 해주셨습니다.
그 공식을 세웠다는 것 자체가 하나의 큰 출발이죠 ㅎㅎ
다음에 꼭 채택해드리겠습니다!!
그 공식을 세웠다는 것 자체가 하나의 큰 출발이죠 ㅎㅎ
다음에 꼭 채택해드리겠습니다!!
-
채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