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한국에는 세계적인 인터넷 기업이 드물까? 정보
왜 한국에는 세계적인 인터넷 기업이 드물까?
본문
없지 아마?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제가 생각하는 몇가지 요인은,
1. 초고속 인터넷의 기형적인 발달
아직도 전 세계는 느려터진 인터넷 사용 인구가 훨씬 많은데 한국은 너무 빠른 초고속 인터넷의 발달로 컨텐츠가 시대를 너무 앞서 간다는 것. 그래서 한국 서비스는 느린 인터넷을 사용하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것.
2. 영어
이것이 1번보다 클 수 있겠지요. 달랑 5천만 인구가 다 인터넷을 쓴다해도 얼만 되지도 않지요. 독일 아그들도 기본 영어로 서비스를 같이하고 중국의 알리바바 같은 서비스도 영어 서비스는 기본이지요.
우리는 무조건 100% 한글입니다. 다국어를 개념으로 만들지 않아요. 그래서 다국어 버젼이라는 것이 없어요. xe의 다국어 지원은 참신했는데.
3. 세계를 대상으로 개발하면 한국에서 안 먹힌다.
이건 1번과 같아요. 유튜브나 페이스북처럼 기능 위주로 심플하게 만들면 안 써요. 팬시스러워야 사람을 끌죠. 한글이 아름답다고 우기지만 웹에서는 이미지없이 영어로만 해도 그래픽 효과가 나타나는데 한글은 안나타나지요. 그러다 보니 그래픽 위주로 작업하게 되고.... 그래픽 위주가 아니면 방문을 안해요. 그렇다고 자국에서 실패한 서비스가 해외에서 성공할리는 없지요. 다들 자국 기반을 시작으로 해외로 나가니까.
4. 솔루션을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
SI 회사가 그룹의 수만큼 많아지다보니 솔루션을 재활용하고 판매하는 경우가 없어요. 그룹 프로젝트가 끝나면 또 새로운 하드웨어나 언어를 도입해서 엎는 작업을 하지요. 관공서의 경우도 솔류션으로 쉽게 하면 단가를 잘 안 쳐주어 무조건 개발하지요. 기간만큼 돈을 받는 방식으로 처리를 하니까. 특급 기술자 * 일 수 * 단가...
5. 공유의 부족
정말 멋진 프로그램들을 소스까지 과감하게 공유하는 것이 자연스러운데 우리는 그게 참 어려워요. 아무래도 먹고 사는 문제 때문이겠지요? 공유 소스를 통해 실력을 인정 받으면 합당한 대우로 데려가는 분위기도 없고. 그러다보니 공유를 하지 않고 공유를 하지 않다보니 발전이 없지요.
또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제가 생각하는 몇가지 요인은,
1. 초고속 인터넷의 기형적인 발달
아직도 전 세계는 느려터진 인터넷 사용 인구가 훨씬 많은데 한국은 너무 빠른 초고속 인터넷의 발달로 컨텐츠가 시대를 너무 앞서 간다는 것. 그래서 한국 서비스는 느린 인터넷을 사용하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것.
2. 영어
이것이 1번보다 클 수 있겠지요. 달랑 5천만 인구가 다 인터넷을 쓴다해도 얼만 되지도 않지요. 독일 아그들도 기본 영어로 서비스를 같이하고 중국의 알리바바 같은 서비스도 영어 서비스는 기본이지요.
우리는 무조건 100% 한글입니다. 다국어를 개념으로 만들지 않아요. 그래서 다국어 버젼이라는 것이 없어요. xe의 다국어 지원은 참신했는데.
3. 세계를 대상으로 개발하면 한국에서 안 먹힌다.
이건 1번과 같아요. 유튜브나 페이스북처럼 기능 위주로 심플하게 만들면 안 써요. 팬시스러워야 사람을 끌죠. 한글이 아름답다고 우기지만 웹에서는 이미지없이 영어로만 해도 그래픽 효과가 나타나는데 한글은 안나타나지요. 그러다 보니 그래픽 위주로 작업하게 되고.... 그래픽 위주가 아니면 방문을 안해요. 그렇다고 자국에서 실패한 서비스가 해외에서 성공할리는 없지요. 다들 자국 기반을 시작으로 해외로 나가니까.
4. 솔루션을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
SI 회사가 그룹의 수만큼 많아지다보니 솔루션을 재활용하고 판매하는 경우가 없어요. 그룹 프로젝트가 끝나면 또 새로운 하드웨어나 언어를 도입해서 엎는 작업을 하지요. 관공서의 경우도 솔류션으로 쉽게 하면 단가를 잘 안 쳐주어 무조건 개발하지요. 기간만큼 돈을 받는 방식으로 처리를 하니까. 특급 기술자 * 일 수 * 단가...
5. 공유의 부족
정말 멋진 프로그램들을 소스까지 과감하게 공유하는 것이 자연스러운데 우리는 그게 참 어려워요. 아무래도 먹고 사는 문제 때문이겠지요? 공유 소스를 통해 실력을 인정 받으면 합당한 대우로 데려가는 분위기도 없고. 그러다보니 공유를 하지 않고 공유를 하지 않다보니 발전이 없지요.
또 어떤 문제가 있을까요?
댓글 전체
제생각엔...
기업은 돈이죠..?
대표적인 네이버 가지고 예를들면 네이버가 세계진출 글쎄요...왜 안할까라는 의문이 들지 않나요..?
아마도 그이유는 간단할거에요 국내에서 돈을 억수로 벌어드리는데 굳이..왜 세계를 갈까요..
이제 네이버 시장이 80% 검색시장을 장악하는데 아이디어만 빼앗아서 네이버꺼로 살짝 바꿔서
서비스만 하면 또 돈벌거리가 늘어나는건데...세계 진출할 필요없죠.,.세계로 가려면 새로 개척해야하니깐요....고로 그래서 네이버가 문어발식 니꺼도 내꺼 내꺼도 내꺼 모든걸 다 집어 삼키는 네이버가
80%검색시장을 장악하는 네이버..과연 위원들이 네이버 규제가 가능할까요..?허허허허허~~
우리나라가 it가장 못크는 이유는 네이버가 그 중심에 있습니다.
기업은 돈이죠..?
대표적인 네이버 가지고 예를들면 네이버가 세계진출 글쎄요...왜 안할까라는 의문이 들지 않나요..?
아마도 그이유는 간단할거에요 국내에서 돈을 억수로 벌어드리는데 굳이..왜 세계를 갈까요..
이제 네이버 시장이 80% 검색시장을 장악하는데 아이디어만 빼앗아서 네이버꺼로 살짝 바꿔서
서비스만 하면 또 돈벌거리가 늘어나는건데...세계 진출할 필요없죠.,.세계로 가려면 새로 개척해야하니깐요....고로 그래서 네이버가 문어발식 니꺼도 내꺼 내꺼도 내꺼 모든걸 다 집어 삼키는 네이버가
80%검색시장을 장악하는 네이버..과연 위원들이 네이버 규제가 가능할까요..?허허허허허~~
우리나라가 it가장 못크는 이유는 네이버가 그 중심에 있습니다.

구글도 문어발인데요. 차이가 있다면 사는 것이지 네이버처럼 아이디어를 빼았는거는 아니죠.

제가 3년전에 쓴글과 비슷한 글이네요 ^^
-----------------------------------------------------------------------
속말로하는 말.....
참 비열한 사람 많아여 걷으로는 양처럼 수근수근 뒤에서는 뒤통수.....
-----------------------------------------------------------------------
속말로하는 말.....
참 비열한 사람 많아여 걷으로는 양처럼 수근수근 뒤에서는 뒤통수.....

요 글래에 너무 느끼네요 이제껏 순한분들 뵙나보네요 제가.....

나이가 들어가고 있는겁니다. 나이가 들면 순한분이 아닌 경쟁자가 되고 더 들면 ....

포털이 망 이용료를 내지 않고...
독과점으로 인한 특이한 갑을 관계가 성립되서 그렇지 않나 싶습니다.
독과점으로 인한 특이한 갑을 관계가 성립되서 그렇지 않나 싶습니다.

3. 세계를 대상으로 개발하면 한국에서 안 먹힌다.
일단 한국의 웹환경이 rest of the world 와 너무나 달라서요. 한국은 전세계에서 중국과 더불어 독보적인 IE 점유율을 자랑하죠.
한국은 active-x 에 IE 위주라서, 미국이나 유럽에서 서비스 되는 사이트나 api 등이 한국에서는 서비스 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자면,
전세계에서 가장많이 이용되는 gmail 이라던지, DISQUS 댓글 api 등, IE9 이하에서는 작동도 되지 않습니다. 물론 한국을 제외한 나라에서는 이게 문제가 안됩니다. IE9 이하 점유율은 무시해도 되는 수준이라.
하지만 한국은 IE8 이 아니라 최소 IE7 까지 대응을 해줘야죠.
구글같은 대기업에서도 개발비용이나 소요되는 시간적 문제로 IE 대응을 포기하는데 무슨수로 새로 떠보려는 벤처기업이 IE 대응을 할까요?
결국 한국 웹환경에서는 신기술 적용이 불가능 하다는 얘기 입니다.
일단 한국의 웹환경이 rest of the world 와 너무나 달라서요. 한국은 전세계에서 중국과 더불어 독보적인 IE 점유율을 자랑하죠.
한국은 active-x 에 IE 위주라서, 미국이나 유럽에서 서비스 되는 사이트나 api 등이 한국에서는 서비스 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자면,
전세계에서 가장많이 이용되는 gmail 이라던지, DISQUS 댓글 api 등, IE9 이하에서는 작동도 되지 않습니다. 물론 한국을 제외한 나라에서는 이게 문제가 안됩니다. IE9 이하 점유율은 무시해도 되는 수준이라.
하지만 한국은 IE8 이 아니라 최소 IE7 까지 대응을 해줘야죠.
구글같은 대기업에서도 개발비용이나 소요되는 시간적 문제로 IE 대응을 포기하는데 무슨수로 새로 떠보려는 벤처기업이 IE 대응을 할까요?
결국 한국 웹환경에서는 신기술 적용이 불가능 하다는 얘기 입니다.
포털이 망 이용료를 안낸다는건 도대체 무슨 말씀이신지...
국내의 기형적인 전용회선 비용 때문에 국내의 유튜브 같은 서비스들 다 망했는데...
국내에선 꿈도 꿀수 없는 일이고, 미국에서도 구글, 넷플릭스 같은 대형 인터넷 업체아니면 그건 불가능하죠.
국내의 기형적인 전용회선 비용 때문에 국내의 유튜브 같은 서비스들 다 망했는데...
국내에선 꿈도 꿀수 없는 일이고, 미국에서도 구글, 넷플릭스 같은 대형 인터넷 업체아니면 그건 불가능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