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공유기 등 AP의 개방 문제 정보
무선 공유기 등 AP의 개방 문제
본문
예전에도 관련된 이야기들이 많이 오갔던거 같은데.
어찌 보면 자원의 공유가 과해져서 그만큼 부하가 걸릴 수도 있고..
자신의 자원 공유로 인한 해킹 위험성 등도 있기에 개개인의 무선망은 걸어잠근다.
참 애매하긴 합니다.
오픈하는 것이 괜찮을 듯 하면서도 위의 문제들로 인해 조심스러워해야하는 것도 사실이니..
이제 왠만한 집엔 멀티 PC를 쓰기에 유무선 공유기 하나쯤은 다 가지고 있을 것이고..
그 외에도 인터넷전화기 때문에 갖고 있을 AP기 하나쯤도 있을 법 하고..
이쯤되면.. 한 가정 내에서도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게 붙일만한 여건이 몇 가지 생겨버리는 듯.
그만큼 외부에서도 상호 무선망을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인 듯.
개개인의 망을 서로 쓰는 것도 좋지만..
네스팟처럼 공공의 자원으로 대량으로 곳곳에 만들어놓고..
개개인이 개별 접속하는 방식도 좋을 듯 합니다.
어느 정도는 보안적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을 것이고..
요즘 왠만한 단말기들(스마트폰 등)엔 서비스가 지원되는 편이고..
(SKT도 티스팟존을 늘린다고 하니)
미래의 방향은 어떨까요.
어떻게 가는 것이 현명할까요.
그리고 개개인은 어떻게 대처해야할까요.
댓글 전체
개방하려면
회선사업자들이 1회선 2대라던지 그런 제한을 먼저풀어야지요...
회선사업자들이 1회선 2대라던지 그런 제한을 먼저풀어야지요...
개인이나 회사의 AP는 개방하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보안과 직결되는 문제라서...
단 서비스차원에서 제공하는(까페나 극장등에서) AP의 확산이 많이 되었으면 하네요.
단 서비스차원에서 제공하는(까페나 극장등에서) AP의 확산이 많이 되었으면 하네요.
네트워크 공사했던 한 XXX주민편익시설에서는
지층+1층 / 2층 / 3층 이렇게 별도 네트워크였다가
홈페이지에 요즘 무선ap없는 곳이 어디있으~하는 불만글이 올라와 공사하게 됐는데
지층+1층+2층.3층(시설회원관리프로그램 연동컴)-->유선네트워크
지층+1층+2층.3층-->유선공유기 1번포트(지층.1층),2번포트(2층),3번포트(3층),4번포트(1층 대기즐 여분)
이렇게 무선을 별도로 쏴주었습니다.
옥군님 말씀처럼 별도여야 된다에 찬성합니다.
장난으로 회원관련db가 서버에서 문제생기면 시설운영이 멈추니깐요.
회원사업자들이 1회선에 몇대를 붙여서 사용하는지는 알수없습니다.
접속 맥어드레스 파악할려고 해킹 할 일있겠습니까???
지층+1층 / 2층 / 3층 이렇게 별도 네트워크였다가
홈페이지에 요즘 무선ap없는 곳이 어디있으~하는 불만글이 올라와 공사하게 됐는데
지층+1층+2층.3층(시설회원관리프로그램 연동컴)-->유선네트워크
지층+1층+2층.3층-->유선공유기 1번포트(지층.1층),2번포트(2층),3번포트(3층),4번포트(1층 대기즐 여분)
이렇게 무선을 별도로 쏴주었습니다.
옥군님 말씀처럼 별도여야 된다에 찬성합니다.
장난으로 회원관련db가 서버에서 문제생기면 시설운영이 멈추니깐요.
회원사업자들이 1회선에 몇대를 붙여서 사용하는지는 알수없습니다.
접속 맥어드레스 파악할려고 해킹 할 일있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