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차법 장애인 차별 금지법에 대하여 .. 정보
장차법 장애인 차별 금지법에 대하여 ..
본문
장애인 차별 금지법에 따르면 일일이 다 설명을 넣어 줘야 한다는 걸로 알고 있는데
<img src='이미지border='0' align='absmiddle' alt='설명' title='설명'>
뭐 이런식으로 다 설명을 넣어 주라는 말인가요??
그누보드는 상당히 많이 수정 해야 할 거 같은데 .. 장난이 아닌데요 ;;
하나도 안되어 있어서 ..
<img src='이미지border='0' align='absmiddle' alt='설명' title='설명'>
뭐 이런식으로 다 설명을 넣어 주라는 말인가요??
그누보드는 상당히 많이 수정 해야 할 거 같은데 .. 장난이 아닌데요 ;;
하나도 안되어 있어서 ..
댓글 전체

<img 태그의 원래 의미는 이미지를 홈페이지에 보여주는게 아닙니다. (웹표준)
친한 형님에게 들었어요 ^^
보충설명 드리자면 img 태그는 아이콘 같이 액션을 취할 경우만 사용하게 되 있습니다.
이외는 모두 background 로 처리하셔야 합니다.
이런 글을 적으면서 저는 아직도 ie 만 호환되는 사이트를 만들고 있습죠 ㅡ,.ㅡ
참, 하나더 alt 와 title 은 목적이 다릅니다. alt = 이미지가 깨졌을경우 노출시켜줄 설명을 말하고 title = 해당 이미지의 제목을 말합니다.
alt 가 문장이 길 경우 longdesc 를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아는 형님과 커피 한 잔 마신 이후로 자기전에 책보면서 좀 공부하고 있습죠..
돈과 시간만 넉넉하게 주시는 클라이언트를 만나게 되면 저도 웹표준에 의거하여 사이트를 제작할 마음이 충분합니다. ^^;;
친한 형님에게 들었어요 ^^
보충설명 드리자면 img 태그는 아이콘 같이 액션을 취할 경우만 사용하게 되 있습니다.
이외는 모두 background 로 처리하셔야 합니다.
이런 글을 적으면서 저는 아직도 ie 만 호환되는 사이트를 만들고 있습죠 ㅡ,.ㅡ
참, 하나더 alt 와 title 은 목적이 다릅니다. alt = 이미지가 깨졌을경우 노출시켜줄 설명을 말하고 title = 해당 이미지의 제목을 말합니다.
alt 가 문장이 길 경우 longdesc 를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아는 형님과 커피 한 잔 마신 이후로 자기전에 책보면서 좀 공부하고 있습죠..
돈과 시간만 넉넉하게 주시는 클라이언트를 만나게 되면 저도 웹표준에 의거하여 사이트를 제작할 마음이 충분합니다. ^^;;

참..저도 궁금한게 장애인차별금지법이 실행됬나요?
됬다면..될거라면.. 만약 웹표준에 의거해서 사이트를 제작하지 않을경우 데미지가 오나요?
지금 우리나라에 있는 수십만개..수백만개의 홈페이지들은 어찌해야 하나요?
우리나라 현실상 ie 를 꼭 준수해서 나가야 하는데... 법이 날조된 느낌이네요...
됬다면..될거라면.. 만약 웹표준에 의거해서 사이트를 제작하지 않을경우 데미지가 오나요?
지금 우리나라에 있는 수십만개..수백만개의 홈페이지들은 어찌해야 하나요?
우리나라 현실상 ie 를 꼭 준수해서 나가야 하는데... 법이 날조된 느낌이네요...

티파니님 말씀대로 일단은 대상이 관공서나 사회단체 등인데요,
최종적으로는 홈페이지 전체에 해당되는걸로 알고 있어요~
그리고 데미지는...30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도??;;;;
최종적으로는 홈페이지 전체에 해당되는걸로 알고 있어요~
그리고 데미지는...30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도??;;;;

관공서나 사회단체, 언론 등 공익관련 사이트가 그 대상입니다.
너무 걱정 않으셔도 될 듯....
그리고 img보다는 background처리가 사실상 더 편리하구요,
실제로 사이트를 만들다 보면 더 편한 것을 아실 수 있을 겁니다.
저의 경우에 그누에 원래 되어 있는 소스가 아니라 제가 직접 코딩할 때는 대부분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또한 alt는 장애인 관련 법이 아니더라도 꼭 쓰는 것이 좋습니다.
검색엔진에서, 특히 구글같은 페이지검색에서는 아주 중요한 역활을 합니다. 검색에 잘 걸리는 거죠.. ㅎㅎ
너무 걱정 않으셔도 될 듯....
그리고 img보다는 background처리가 사실상 더 편리하구요,
실제로 사이트를 만들다 보면 더 편한 것을 아실 수 있을 겁니다.
저의 경우에 그누에 원래 되어 있는 소스가 아니라 제가 직접 코딩할 때는 대부분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또한 alt는 장애인 관련 법이 아니더라도 꼭 쓰는 것이 좋습니다.
검색엔진에서, 특히 구글같은 페이지검색에서는 아주 중요한 역활을 합니다. 검색에 잘 걸리는 거죠.. ㅎㅎ
이제는...
이미지를 모두 플래시로 올려야하나...
포샾에서 슬라이스해서 플래시로...하나씩..ㅋㅋ
농입니다.
근데..진짜 모든사이트에 적용이라면 작업량이...헐.
이미지를 모두 플래시로 올려야하나...
포샾에서 슬라이스해서 플래시로...하나씩..ㅋㅋ
농입니다.
근데..진짜 모든사이트에 적용이라면 작업량이...헐.
플래쉬로 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만약 네비라면 장차법이 아니라도 꼭 필요한 부분이지만 솔직히 귀찮죠...
<object~>
<param name="movie" value="플래쉬" />
<p>해당 컨텐츠는 이런 저런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p>
</object>
만약 네비라면 장차법이 아니라도 꼭 필요한 부분이지만 솔직히 귀찮죠...
<object~>
<param name="movie" value="플래쉬" />
<p>해당 컨텐츠는 이런 저런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p>
</object>

음 그렇군요 .. 일단 하고는 있는데 그누보드에 적용을 하는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듯 합니다 ;;
일단 그누보드 스킨에 버튼에 alt 만 넣어 주는 일도 장난이 아니군요 ;;
스킨 소스에 alt 처리 되어 있는 스킨이 거의 드무네요 ;;
개가죽님 이하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
일단 그누보드 스킨에 버튼에 alt 만 넣어 주는 일도 장난이 아니군요 ;;
스킨 소스에 alt 처리 되어 있는 스킨이 거의 드무네요 ;;
개가죽님 이하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

방금 장차법을 보고 왔는데 이건 디자인도 마음대로 할 수 없고 정해진 틀에 맞추어서 만들어야 하는 황당한 논리네요.
버튼도 시력이 약한 분들을 위해 크게 만들어야 하고 이미지는 alt로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한 정확한 의미 해석도 없고
머리털 나고 처음 들어보는 각종 브라우저들과도 호환이 되어야 한다고 하는데 궁금한 것은 은행의 보안을 이제 어떻게 되는 것이지요? 당장 국가기관 홈페이지 한 번 방문하면 뭐가 그리 많이 깔리는지 정신이 없던데 그런 보안은 어떻게 할 것인지 정말 궁금합니다.
플래쉬나 다른 플러그인이 많으면 아예 html 기반으로 따로 만들어야 한다는 소리도 있던데
무엇보다 장차법을 준수하여 제작하려면 텍스트 기반의 홈페이지에 TTS 기능을 탑재하여야 온전히 통과될 것 같네요. 아이고 머리야...
앞으로 그누스킨에 폰트 24 정도의 텍스트가 들어간 큼지막한 버튼들이 등장하겠네요.ㅎㅎㅎ
버튼도 시력이 약한 분들을 위해 크게 만들어야 하고 이미지는 alt로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한 정확한 의미 해석도 없고
머리털 나고 처음 들어보는 각종 브라우저들과도 호환이 되어야 한다고 하는데 궁금한 것은 은행의 보안을 이제 어떻게 되는 것이지요? 당장 국가기관 홈페이지 한 번 방문하면 뭐가 그리 많이 깔리는지 정신이 없던데 그런 보안은 어떻게 할 것인지 정말 궁금합니다.
플래쉬나 다른 플러그인이 많으면 아예 html 기반으로 따로 만들어야 한다는 소리도 있던데
무엇보다 장차법을 준수하여 제작하려면 텍스트 기반의 홈페이지에 TTS 기능을 탑재하여야 온전히 통과될 것 같네요. 아이고 머리야...
앞으로 그누스킨에 폰트 24 정도의 텍스트가 들어간 큼지막한 버튼들이 등장하겠네요.ㅎㅎㅎ

받아 들이시기 나름이지만 일단 기본 W3C 통과 방법으로 어느 버전의 html 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조금 쉽고 어려움이 있습니다.
관공서 라던지 공공기간 계열이 아니라면 약간의 시간이 더 있는거구요.
사실 저역시 css / xhtml 기법은 많이 무시(?) 하고 작업을 하였다가 최근 2년 전부터 조금씩 변형해서 하고 있습니다.
일단 alt 태그에는 이미지의 설명이 들어가는게 정답인듯 하고요...
표준 이 오히려 크로스 브라우징에 어려움을 주는군요.
글자체의 경우는 확대/축소로도 어느정도 커버가 되니 이건 구렁이 담넘듯이 넘어갈수 있는 부분으로 현재는 보이구요...
저역쉬 이미지 태그 보단 백그라운드 방식으로 처리하는게 더 편하다는데 동감하구요...
사족. 그누보드로 W3C 표준에 맞게 변형은 하였는데...
Write 부분의 웹 에디트 부분이랑 자동등록방지 부분 때문에 요즘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물런 기존 스킨들을 자유롭게 100% 다 쓸수 있는 수준이 안되어서 문제지만 정말 필요한 부분에서 90% 기준으로 본단면 충분히 그누의 변형도 가능할듯 합니다.
단점은 그누의 일부 함수 포기가 댓가가 될듯 하구요,..
관공서 라던지 공공기간 계열이 아니라면 약간의 시간이 더 있는거구요.
사실 저역시 css / xhtml 기법은 많이 무시(?) 하고 작업을 하였다가 최근 2년 전부터 조금씩 변형해서 하고 있습니다.
일단 alt 태그에는 이미지의 설명이 들어가는게 정답인듯 하고요...
표준 이 오히려 크로스 브라우징에 어려움을 주는군요.
글자체의 경우는 확대/축소로도 어느정도 커버가 되니 이건 구렁이 담넘듯이 넘어갈수 있는 부분으로 현재는 보이구요...
저역쉬 이미지 태그 보단 백그라운드 방식으로 처리하는게 더 편하다는데 동감하구요...
사족. 그누보드로 W3C 표준에 맞게 변형은 하였는데...
Write 부분의 웹 에디트 부분이랑 자동등록방지 부분 때문에 요즘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물런 기존 스킨들을 자유롭게 100% 다 쓸수 있는 수준이 안되어서 문제지만 정말 필요한 부분에서 90% 기준으로 본단면 충분히 그누의 변형도 가능할듯 합니다.
단점은 그누의 일부 함수 포기가 댓가가 될듯 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