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코딩하실때 상단에 이문구가 들어가는거하고 차이점이 뭔지 아세요? 정보
혹시 코딩하실때 상단에 이문구가 들어가는거하고 차이점이 뭔지 아세요?
본문
상단에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Strict//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strict.dtd">
이게 들어가는거하고 안들어가는거하고 아주 틀리게 나오는데요.
저게 무슨역할 하는지 아시는분 혹시 계세요??
또, 이거 안넣고도 결과물이 똑같이 나오게 할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건지??
댓글 전체

문서(홈페이지)에 대한 유형을 정의하는겁니다.
dtd에 따라 태그의 사용에 제약이 걸린다고 보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Transitional을 많이 사용하구요~
저같은 경우는 strict만 사용합니다. 다른 dtd는 찾아보시면 되구요~;; 잘몰라서~ㅠ
strict의 경우 "엄격한" 이란 뜻이기에...
크로스브라우징을 원할 경우 그나마 가장 비슷하게 나오게 됩니다.
dtd에 따라 태그의 사용에 제약이 걸린다고 보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Transitional을 많이 사용하구요~
저같은 경우는 strict만 사용합니다. 다른 dtd는 찾아보시면 되구요~;; 잘몰라서~ㅠ
strict의 경우 "엄격한" 이란 뜻이기에...
크로스브라우징을 원할 경우 그나마 가장 비슷하게 나오게 됩니다.
음
일단 차이점은 padding, margin에 있는데요
만일 div에 width 값을 정해주고
저 소스를 붙여주시면 width 값에 padding값 그리고 margin값이 더 더해지는거죠
그러나 저 소스가 없으면 width 값 안에서 padding값 그리고 margin값이 들어간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width + padding + margin = new width <- 이게 소스 붙인거
padding+margin+width = width <- 이건 오리지널..
일단 차이점은 padding, margin에 있는데요
만일 div에 width 값을 정해주고
저 소스를 붙여주시면 width 값에 padding값 그리고 margin값이 더 더해지는거죠
그러나 저 소스가 없으면 width 값 안에서 padding값 그리고 margin값이 들어간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width + padding + margin = new width <- 이게 소스 붙인거
padding+margin+width = width <- 이건 오리지널..

사용을 안할려고 했더니 페이지가 원하는형태로 나오지를 않네요...ㅎ
사용하면 원하는 형태로 나오는데요...
사용하면 원하는 형태로 나오는데요...
dtd는 꼭 선언해 주셔야 합니다
저 선언에 따라 위에 낮잠님이 말씀하신것처럼 렌더링이 틀려집니다.
html이냐 xhtml을 사용하느냐 이 문서를 정의 해주는데요
위에 말씀하신 strict모드 지원하지 않는 태그들도 있고 사용하기에 약간의 제약이 있죠.
저 선언에 따라 위에 낮잠님이 말씀하신것처럼 렌더링이 틀려집니다.
html이냐 xhtml을 사용하느냐 이 문서를 정의 해주는데요
위에 말씀하신 strict모드 지원하지 않는 태그들도 있고 사용하기에 약간의 제약이 있죠.

전 정의 안 하고 코딩합니다.


저도 별다른 요청이 없는한 정의안하고 제작합니다.
정의를 내리는 순간 엄청난 css, html 압박과 디버깅에 바빠집니다. (능숙하신 분은 제외 ㅡㅡ;;)
가장 쉬운 방법은 드림위버사용이죠 후후후...
정의를 내리는 순간 엄청난 css, html 압박과 디버깅에 바빠집니다. (능숙하신 분은 제외 ㅡㅡ;;)
가장 쉬운 방법은 드림위버사용이죠 후후후...


크로스 브라우징을 위해서는 반드시 지정하시는게 좋습니다.
스타일로 레이아웃 잡으신다면 꼭 지정하세요
스타일로 레이아웃 잡으신다면 꼭 지정하세요

그누보드가 트랜시셔널로 되어있어서 어느새 거기에 익숙해지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