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악.. 부가세.ㅠㅠ 정보
으악.. 부가세.ㅠㅠ
본문
총 1140 여만원 나왔습니다.
부가세붙은거 이거저거 때고나니 900만원정도나오네요..ㅠㅠ
받을때는 좋더니 낼려니 괜히 아깝다는생각이 ㅡ_ㅡ;
벌써주말이네요 일주일이 어떻게 가는지 모르겟습니다.
모두 즐겁게 보내세요~
부가세붙은거 이거저거 때고나니 900만원정도나오네요..ㅠㅠ
받을때는 좋더니 낼려니 괜히 아깝다는생각이 ㅡ_ㅡ;
벌써주말이네요 일주일이 어떻게 가는지 모르겟습니다.
모두 즐겁게 보내세요~
댓글 전체
ㅋ 번 만큼 내는거지요. 뭐... 저같이 유통이랑 같이 하면 .... 어느정도 상쇠가 가능합니다. 그정도면 사셔야 할 간지네요.
처음부터 부가세를 따로 띠어서 적립해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수라이님처럼 저런 방법을 주로 쓰기기도 하고요...
아수라이님처럼 저런 방법을 주로 쓰기기도 하고요...
저도 부가세 통장을 따로 두었는데 CMA로..
부가세는 제돈이 아니지만 세금낼때면 항상 맘한구석이 시렵더군요.
근데 CMA라서 그런지 부가세 내고나면 술한잔 할 돈은 남더라구요. ㅎㅎ
따로 모으시더라도 CMA같은곳에 넣어두면 밥값, 술값이라도 나오니 좋아요~
부가세는 제돈이 아니지만 세금낼때면 항상 맘한구석이 시렵더군요.
근데 CMA라서 그런지 부가세 내고나면 술한잔 할 돈은 남더라구요. ㅎㅎ
따로 모으시더라도 CMA같은곳에 넣어두면 밥값, 술값이라도 나오니 좋아요~
저도 예전에 그렇게 했어요.
그렇게 하면 관리하거나 계산하기 무척 편리해지고..
이건 내꺼가 아니다라고 생각하면 심리적으로도 안정되고...
차 후 정산할 때 기준비용 대비 시켜도 되고.. 여러모로 좋죠.
그렇게 하면 관리하거나 계산하기 무척 편리해지고..
이건 내꺼가 아니다라고 생각하면 심리적으로도 안정되고...
차 후 정산할 때 기준비용 대비 시켜도 되고.. 여러모로 좋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