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일전 까지만 해도 사용하던 ie6.... 정보
몇일전 까지만 해도 사용하던 ie6....
본문
몇일전 까지만 해도 사용하던 ie6....
작업하다 보니 왠수가 따로 없네요.
우라질!!!! (이거 쌍스럽긴 해도 욕 아뉨?)ㅎㅎㅎ
< 스타일 적용하다 그냥 욱! 했던 겁니다!>
작업하다 보니 왠수가 따로 없네요.
우라질!!!! (이거 쌍스럽긴 해도 욕 아뉨?)ㅎㅎㅎ
< 스타일 적용하다 그냥 욱! 했던 겁니다!>
추천
0
0
댓글 10개

저도 아직까지 익스 6사용하고 있는데..
요즘들어 여기저기 익스6은 하위버전이라면서 교체하라는 메세지가 많이 나오네요..
익스7이나 8로 갈아타자니.. 전부터 다들 에러가 나고 해서.. 익스6이 그나마 편하다고..다시 돌아오는 사람들도 많다던데... 어케해야할런지..ㅜㅜ
익스6을 업글 해야한다면... 익스7이 나을까요? 익스8이 나을가요?? 에고...
요즘들어 여기저기 익스6은 하위버전이라면서 교체하라는 메세지가 많이 나오네요..
익스7이나 8로 갈아타자니.. 전부터 다들 에러가 나고 해서.. 익스6이 그나마 편하다고..다시 돌아오는 사람들도 많다던데... 어케해야할런지..ㅜㅜ
익스6을 업글 해야한다면... 익스7이 나을까요? 익스8이 나을가요?? 에고...
ie6다음에는 8이 나아요.
7은 불안정하고 속도도 늦어요.
하지만 가장 좋은거는 6 입니다. ㅎㅎ
7은 불안정하고 속도도 늦어요.
하지만 가장 좋은거는 6 입니다. ㅎㅎ

아..그런가요?? 역시나... 그래서 저도 몇번이나 상위버전으로 갈아탔다가..
계속 6을 사용하고있는터인데...ㅜㅜ
아직까진 맘편히 갈아탈만한 버전이 6말고는 없는건지...에구...
그냥 좀만더 버텨 볼랍니다.ㅋㅋㅋ
나중에 안정된 버전이 나오면 그때 군말없이 갈아타야겠네요.ㅋ
계속 6을 사용하고있는터인데...ㅜㅜ
아직까진 맘편히 갈아탈만한 버전이 6말고는 없는건지...에구...
그냥 좀만더 버텨 볼랍니다.ㅋㅋㅋ
나중에 안정된 버전이 나오면 그때 군말없이 갈아타야겠네요.ㅋ

속도나 그런 것들을 떠나서 스타일 적용하다 욱했네요! ㅎㅎㅎㅎㅎ
저도 6을 최근까지 쓰다가 8을 쓰고 있는데 둔해서 그런지 무슨 차이같은 건
못 느끼고 있어요!
저도 6을 최근까지 쓰다가 8을 쓰고 있는데 둔해서 그런지 무슨 차이같은 건
못 느끼고 있어요!
2014.02.03 본인글 삭제요청
os도 vista, window7 다 써보니 xp가 최고 입니다.
테스트용 윈도7 피시 옆에서 놀구 있어요.
테스트용 윈도7 피시 옆에서 놀구 있어요.

그럼 xp를 써주는 ~고~오~에~요!!!!

저도 처음엔 6에 맞추어 제작했다가 이후 파폭과 8을 업무용으로 깔고 보니 아주 가관이더군요.
전면 수정하는데 애 좀 먹었습니다.
div 스킨도 대 새롭게 제작하는데 핵도 안 쓰고 브라우저 별 css 도 따로 안 만들고(귀차니즘)
그냥 어지간한 브라우저에서 거의 동일한 모습으로 보이게 끔 만드느라 애 좀 먹었지요.
전면 수정하는데 애 좀 먹었습니다.
div 스킨도 대 새롭게 제작하는데 핵도 안 쓰고 브라우저 별 css 도 따로 안 만들고(귀차니즘)
그냥 어지간한 브라우저에서 거의 동일한 모습으로 보이게 끔 만드느라 애 좀 먹었지요.

익스8, 파폭, 크롬만 놓고 작업해서 그냥 무심결에 익스 버전별로 보는 프로그램 돌렸다가 뜨악! 했습니다. 이시간에 이러니 그냥 화가나더라구요.

버전도 사용자가 어떻게 패치를 했느냐에 따라 또 달라집니다.
아주 죽을 맛이지요.
그래서 어찌보면 지금은 테이블로 뭉게는 것이 정답일 수 있는데
테이블이 표준에서 멀어지다보니 부득이한 경우를 빼곤 div 를 사용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저도 쓰긴 했는데 아주 난제의 연속입니다.
작업하면서 느낀 것은 상속의 개념(div, ul, li, dl, dt)을 이해하고 margin, padding 이 브라우저별로 다르게 해석된다는 것을 감안하고 작업하면 그나마 얼추 비슷한 레이아웃을 보인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해외 소스는
익스는 7을 기본으로 하고 6과 8을 별도로 제작하고
웹표준 css 를 기본으로 잡습니다.(파폭, 크롬, 오페라 용)
고로, 최소 4개의 css 파일로 구성되더군요.
아주 죽을 맛이지요.
그래서 어찌보면 지금은 테이블로 뭉게는 것이 정답일 수 있는데
테이블이 표준에서 멀어지다보니 부득이한 경우를 빼곤 div 를 사용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저도 쓰긴 했는데 아주 난제의 연속입니다.
작업하면서 느낀 것은 상속의 개념(div, ul, li, dl, dt)을 이해하고 margin, padding 이 브라우저별로 다르게 해석된다는 것을 감안하고 작업하면 그나마 얼추 비슷한 레이아웃을 보인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해외 소스는
익스는 7을 기본으로 하고 6과 8을 별도로 제작하고
웹표준 css 를 기본으로 잡습니다.(파폭, 크롬, 오페라 용)
고로, 최소 4개의 css 파일로 구성되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