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EU의 MS에 대한 벌금부과 정보
기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EU의 MS에 대한 벌금부과본문
유럽연합(EU)이 24일 마이크로소프트(MS)의 윈도-미디어 플레이어 끼워팔기에 사상 최대인 6억달러의 벌금을 부과키로 결정한 것과 관련 미-EU간통상 마찰 비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철강ㆍ제약 등 각분에서의 마찰로 양안간에 미묘한 갈등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결정이 본격적 통상마찰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것. 이 때문에 일각선이번 조치가 MS의 독점적 지위를 가로막는 데는 별 효과가 없이 양안간 갈등만 증폭시키는 부작용만 낳게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사상 최대 벌금=EU는 24일 MS의 윈도-미디어 플레이어 끼워팔기를 독점적 지위 남용으로 규정, '6억 달러' 벌금을 부과했다. 이는 EU의 벌금 규모론 사상최대다. EU는 또 경쟁사의 서버 소프트웨어와 윈도가 원활하게연동되도록 기술정보를 120일내 공개토록 했다. EU의 이번 결정은 MS의 횡포를 더 이상 좌시하지 않겠다는 EU의 강력한 의지 표현으로 해석됐다. EU는 그간 협의를 통해 MS가 사업 방식을 스스로 개선토록 종용해 왔으나MS는 소비자 이익을 논리로 '배짱'대응을 해왔다. 결국 소비자 이익보다는공정경쟁에 무게를 두는 EU의 입장과 MS에 대한 괘씸죄가 맞물리면서 이번결과가 나온 것.
◆실효성은 의문=많은 전문가들은 이번 제재의 실효성엔 의문을 제기하고있다. 제재 대상이 미디어 플레이어에 국한, 향후 구글 등의 검색 엔진을윈도에 탑재하려는 MS의 끼워팔기 행진을 가로막든 데는 역부족이란 것.특히 MS가 항소할 경우 실제 제재까지는 5년이 걸릴 것이란 점도 이번 결정의 칼날을 무디게 하는 요소다. 소프트웨어의 수명이 수년에 불과한시장 흐름상 MS가 항소할 경우 미디어 플레이어에 대한 EU의 이번 제재는 사실상 '종이 호랑이'가 될 공산이 크다는 것.
◆미-EU간 통상 마찰 비화 가능성=이 때문에 일각선 EU의 이번 조치가 미-EU간 통상 마찰만 증폭시키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미 상원의 필 프리스트 공화당 의원은 성명을 통해 미 정부의 강력한대응을 촉구했고 미 법무부도 EU의 이번 결정이 시장에 의도치 않은 결과를 낳을 수 있다며 보복 가능성을 시사,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미 업계는특히 지난 2001년 사상최대 기업 합병설로 세간의 화제를 낳았던 GE의 하니웰 인수가 EU의 반대로 무산됐던 전례를 상기시키며, 당시의 악몽이 재현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
많은 전문가 들이 MS의 승리를 점쳐두고 있다 합니다.
아무래도 그동안 MS가 쌓은 실용성에 중점을 두고 있겠지요.
전세계에 많은 프로그래머들과 싸우고 있는 미-MS사는 언제까지 독점 할수 있을까요?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04-09-04 15:02:57 포럼(으)로 부터 이동됨]
◆사상 최대 벌금=EU는 24일 MS의 윈도-미디어 플레이어 끼워팔기를 독점적 지위 남용으로 규정, '6억 달러' 벌금을 부과했다. 이는 EU의 벌금 규모론 사상최대다. EU는 또 경쟁사의 서버 소프트웨어와 윈도가 원활하게연동되도록 기술정보를 120일내 공개토록 했다. EU의 이번 결정은 MS의 횡포를 더 이상 좌시하지 않겠다는 EU의 강력한 의지 표현으로 해석됐다. EU는 그간 협의를 통해 MS가 사업 방식을 스스로 개선토록 종용해 왔으나MS는 소비자 이익을 논리로 '배짱'대응을 해왔다. 결국 소비자 이익보다는공정경쟁에 무게를 두는 EU의 입장과 MS에 대한 괘씸죄가 맞물리면서 이번결과가 나온 것.
◆실효성은 의문=많은 전문가들은 이번 제재의 실효성엔 의문을 제기하고있다. 제재 대상이 미디어 플레이어에 국한, 향후 구글 등의 검색 엔진을윈도에 탑재하려는 MS의 끼워팔기 행진을 가로막든 데는 역부족이란 것.특히 MS가 항소할 경우 실제 제재까지는 5년이 걸릴 것이란 점도 이번 결정의 칼날을 무디게 하는 요소다. 소프트웨어의 수명이 수년에 불과한시장 흐름상 MS가 항소할 경우 미디어 플레이어에 대한 EU의 이번 제재는 사실상 '종이 호랑이'가 될 공산이 크다는 것.
◆미-EU간 통상 마찰 비화 가능성=이 때문에 일각선 EU의 이번 조치가 미-EU간 통상 마찰만 증폭시키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미 상원의 필 프리스트 공화당 의원은 성명을 통해 미 정부의 강력한대응을 촉구했고 미 법무부도 EU의 이번 결정이 시장에 의도치 않은 결과를 낳을 수 있다며 보복 가능성을 시사,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미 업계는특히 지난 2001년 사상최대 기업 합병설로 세간의 화제를 낳았던 GE의 하니웰 인수가 EU의 반대로 무산됐던 전례를 상기시키며, 당시의 악몽이 재현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
많은 전문가 들이 MS의 승리를 점쳐두고 있다 합니다.
아무래도 그동안 MS가 쌓은 실용성에 중점을 두고 있겠지요.
전세계에 많은 프로그래머들과 싸우고 있는 미-MS사는 언제까지 독점 할수 있을까요?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04-09-04 15:02:57 포럼(으)로 부터 이동됨]
추천
0
0
댓글 5개

엠에스가 좀더 개방적으로 나오면 이런 부작용을 없어질듯..
ms 가 싫니 좋니 해도
대부분의 컴 유저들은 ms사의 해택을 많이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일반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만큼 쉽게 사용할 수 있는것은 ms의 덕이 크니까요.
저는 리눅스도 좋아하지만 빌게이츠도 좋아합니다.
대부분의 컴 유저들은 ms사의 해택을 많이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일반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만큼 쉽게 사용할 수 있는것은 ms의 덕이 크니까요.
저는 리눅스도 좋아하지만 빌게이츠도 좋아합니다.
확실하진 않지만 MS는 승리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실 저도 MS제품에는 만족하고 있으나 MS의 야심이 좀 얄밉네요. ^ ^
MS가 앞장을 선 상태에서 타회사들의 요구를 들어주면서 공개적으로 표준안을 만들어 갔다면 어떨까요?
그때그때의 판단에 따라 어떤상황으로 이어질지는 알수 없으나 MS가 미움받는것은 독점때문이지요.
오라클사의 데이터베이스 처럼 기술력으로 독점하는게 아니라 약간 비열한 방식이라고 해야 할까요?
예를들면...
익스플로러4버젼부터98se에 탑재 -> 네스케이프 굶기기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제품 연결커넥터(ODBC) -> 3대 데이터베이스 서버중 MySQL만 유일하게 ODBC를 거쳐야 함(속도면에서 효율이 떨어지고 많은양의 트랙잭션발생)
ASP용 JScript 출시 -> JavaScript 에 대항하기위한 버젼(그러나 JScript를 아는사람은 별로 없다. 결국 클라이언트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은 범용성이 가장중요함)
그리고 HTML의 표준제안 W3C의 룰을 어긴부분도 많다고 하네요.
오브젝트 태크라던지 embod 등등 네스케이프에서는 안된다고 들은거 같습니다.
미디어 플레이어? 글쎄요 잘은 모르겠습니다만 최초의 QuickTime동영상 프로그램이 저작권 관련 법률에 신경썻다면 지금의 미디어 플레이어는 활성화 되지 않았을지도 모르겠군요.
이런글을 쓰는 저도 민망하네요. MS제품만을 고집하면서 사용하기 때문이지요. ^ ^;
좀더 타 회사들과 친화적으로 발전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사실 저도 MS제품에는 만족하고 있으나 MS의 야심이 좀 얄밉네요. ^ ^
MS가 앞장을 선 상태에서 타회사들의 요구를 들어주면서 공개적으로 표준안을 만들어 갔다면 어떨까요?
그때그때의 판단에 따라 어떤상황으로 이어질지는 알수 없으나 MS가 미움받는것은 독점때문이지요.
오라클사의 데이터베이스 처럼 기술력으로 독점하는게 아니라 약간 비열한 방식이라고 해야 할까요?
예를들면...
익스플로러4버젼부터98se에 탑재 -> 네스케이프 굶기기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제품 연결커넥터(ODBC) -> 3대 데이터베이스 서버중 MySQL만 유일하게 ODBC를 거쳐야 함(속도면에서 효율이 떨어지고 많은양의 트랙잭션발생)
ASP용 JScript 출시 -> JavaScript 에 대항하기위한 버젼(그러나 JScript를 아는사람은 별로 없다. 결국 클라이언트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은 범용성이 가장중요함)
그리고 HTML의 표준제안 W3C의 룰을 어긴부분도 많다고 하네요.
오브젝트 태크라던지 embod 등등 네스케이프에서는 안된다고 들은거 같습니다.
미디어 플레이어? 글쎄요 잘은 모르겠습니다만 최초의 QuickTime동영상 프로그램이 저작권 관련 법률에 신경썻다면 지금의 미디어 플레이어는 활성화 되지 않았을지도 모르겠군요.
이런글을 쓰는 저도 민망하네요. MS제품만을 고집하면서 사용하기 때문이지요. ^ ^;
좀더 타 회사들과 친화적으로 발전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아마 저 소송이 MS가 지면 미디어 플레이어 그리고 인터넷 익스플로러 관련은 거의다 유료가 될겁니다.
아니면 운영체제 값이 더 올라가거나요.-_-
->MS가 항소해서 질경우
그리고 하나더 붙이자면..; 웹프로그래머를 제외한 대부분 프로그래머는 MS가 이기길 바랄겁니다.
왜냐고요.-_- 유닉스나 다른 운영체제 안배운 프로그래머나 그런사람은..; 다시배워야함(그럴사람을 별로 없겠지만..)
아니면 운영체제 값이 더 올라가거나요.-_-
->MS가 항소해서 질경우
그리고 하나더 붙이자면..; 웹프로그래머를 제외한 대부분 프로그래머는 MS가 이기길 바랄겁니다.
왜냐고요.-_- 유닉스나 다른 운영체제 안배운 프로그래머나 그런사람은..; 다시배워야함(그럴사람을 별로 없겠지만..)
다른 사람은 MS싫어 하고 하지만.. 이글읽는 사람도 아마도
윈로우즈를 사용 하고 미디어 플레어 그리고 인터넷익스(대부분) 윈도우 관련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을 겁니다. 전부다는 아니지만 대부분이요.
아마 저 소송이 MS가 지면 미디어 플레이어 그리고 인터넷 익스플로러 관련은 거의다 유료가 될겁니다.
아니면 운영체제 값이 더 올라가거나요.-_-
MS만큼 독재가 심하지만.. 그래도 좋은 회사가 어디있습니까??(물론 MS회사가 좋다는게 아니고..; 대부분 프로그램때문이라도 윈도루즈를 사용)
MS는 편한 운영체제 입니다.
예상하기 어렵지만.. 오랬동안 MS가독점을 해야 편하게 컴퓨터를 쓸수 있습니다.^^(물론 제생각..)
욕이나 그런 태클 사절합니다. 정중한 태클만 받겠습니다.(?)
윈로우즈를 사용 하고 미디어 플레어 그리고 인터넷익스(대부분) 윈도우 관련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을 겁니다. 전부다는 아니지만 대부분이요.
아마 저 소송이 MS가 지면 미디어 플레이어 그리고 인터넷 익스플로러 관련은 거의다 유료가 될겁니다.
아니면 운영체제 값이 더 올라가거나요.-_-
MS만큼 독재가 심하지만.. 그래도 좋은 회사가 어디있습니까??(물론 MS회사가 좋다는게 아니고..; 대부분 프로그램때문이라도 윈도루즈를 사용)
MS는 편한 운영체제 입니다.
예상하기 어렵지만.. 오랬동안 MS가독점을 해야 편하게 컴퓨터를 쓸수 있습니다.^^(물론 제생각..)
욕이나 그런 태클 사절합니다. 정중한 태클만 받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