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보드 만들기 [2] 정보
기타 노벨보드 만들기 [2]본문
게시판 만들기 2화
오늘은 두번째 시간으로 MySQL 사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MySQL 접속
DB를 사용하기 위해 먼저 접속해야 합니다.
소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
// MySQL 접속
$connect = @mysql_connect( $host_name, $db_user_id, $db_pass )
or die( "MySQL 접속 에러 !!<br>MySQL 접속 정보를 다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p><input type=button value=' 뒤 로 ' onclick='history.go(-1);'>" );
@mysql_select_db($db_name, $connect)
or die("MySQL DB 에러 !!<br>MySQL DB를 확인하십시오.<p><input type=button value=' 뒤 로 ' onclick='history.go(-1);'>");
?>
MySQL 에 접속하는 함수는 mysql_connect() 입니다.
호스트 이름과 접속 아이디와 암호가 필요하며 이것을 차례로 입력하면 됩니다.
mysql_connect( 호스트 이름, 아이디, 암호 );
호스트 이름이란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의 서비스 제공 시작 위치의 이름입니다.
보통은 'localhost' 를 사용합니다. 물론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는 우리가 PHP이용해 서비스하는 컴퓨터를 말합니다. )
이제 접속이 되었습니다.
그럼 무엇을 해야 되나? 우리가 접속한 MySQL에 우리가 사용하는 하나의 DB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사용할 DB를 선택해 주어야 합니다.
mysql_select_db( DB 이름, MySQL 위치 );
위 함수가 DB를 선택하는 함수입니다.
선택할 DB이름과 MySQL 위치를 알려 줘야 하는데 MySQL 위치는 전에 mysql_connect()로 MySQL에 접속했는데 이 결과 값을 넣어 주면 됩니다.
즉,
$connect = @mysql_connect( 호스트 이름, 접속 아이디, 접속 암호 );
@mysql_select_db( DB이름, $connect);
여기서 @은 에러가 나도 멈추지 말라는 뜻입니다.
정리하겠습니다.
MySQL은 방이 무지 많은 커다란 저택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DB는 각각의 방입니다.
방안의 사람을 찾아 가려면 먼저 집을 찾습니다.
$connect = @mysql_connect( 호스트 이름, 접속 아이디, 접속 암호 );
그런데 집이 무지 넓어 방을 찾아도 나중에 못찾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현관문앞에 방의 위치를 적어 놓은 메모를 남겨 좋습니다.
@mysql_select_db( DB이름, $connect);
그런후 방을 찾아 방안의 사람과 대화를 하면 됩니다.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집의 위치만 기억하면 됩니다. 현관문에 쪽지를 두었으니 방을 찾기는 쉽습니다.
그런 이유로 앞으로의 작업은 집의 위치( $connect ) 만 알면 됩니다.
단, 처음에 쪽지는 꼬~옥 적어 두어야 합니다.
$connect = @mysql_connect( 호스트 이름, 접속 아이디, 접속 암호 );
@mysql_select_db( DB이름, $connect);
함수( 작업할 데이타, $connect);
........ 소스 계속~
첨 소스에 or 하고 뒤에 무언가 붙죠?
or 는 또는 이라는 뜻으로 앞에 함수를 실행하거나 또는 ~~을 해라 그런 뜻입니다.
즉, 앞에 함수 정상 실행하지 못했을 경우 or 뒤의 문장을 실행합니다.
여기서는 에러 메세지를 출력하고 전화면으로 가도록 했습니다.
if($connect) {
@mysql_close($connect);
unset($connect);
}
위의 소스는 현관문을 닫고 집을 떠나라는 것입니다.
우리의 주인공은 머리가 나빠 금방 잊어 버립니다.
2. DB 사용
이번에는 DB안에서 작업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result = mysql_query( 작업, $connect );
위의 함수는 DB에 명령을 전달하는 함수 입니다.
변수 = 함수 와 같은 모습을 위에서 계속 보고 지나 왔는데 이것은 함수의 결과를 변수에 저장하라는 겁니다.
아래 내용은 여러 작업을 예로 든것입니다.
각각의 내용은 연재를 진행해 나가면서 천천히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 테이블 생성
mysql_query( "create table 테이블명 ( 내용 )", $connect );
// 테이블 삭제
mysql_query( "drop table 테이블명", $connect );
// 한줄 추가
mysql_query( "insert 테이블명 ( 필드명 ) values ( 데이타 )", $connect );
// 한줄 선택
mysql_query( "select 필드명 from 테이블명", $connect );
// 한줄 삭제
mysql_query( "delete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 );
다음시간에는 게시판에 필요한 테이블을 만들고 MySQL에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오늘은 두번째 시간으로 MySQL 사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MySQL 접속
DB를 사용하기 위해 먼저 접속해야 합니다.
소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
// MySQL 접속
$connect = @mysql_connect( $host_name, $db_user_id, $db_pass )
or die( "MySQL 접속 에러 !!<br>MySQL 접속 정보를 다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p><input type=button value=' 뒤 로 ' onclick='history.go(-1);'>" );
@mysql_select_db($db_name, $connect)
or die("MySQL DB 에러 !!<br>MySQL DB를 확인하십시오.<p><input type=button value=' 뒤 로 ' onclick='history.go(-1);'>");
?>
MySQL 에 접속하는 함수는 mysql_connect() 입니다.
호스트 이름과 접속 아이디와 암호가 필요하며 이것을 차례로 입력하면 됩니다.
mysql_connect( 호스트 이름, 아이디, 암호 );
호스트 이름이란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의 서비스 제공 시작 위치의 이름입니다.
보통은 'localhost' 를 사용합니다. 물론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는 우리가 PHP이용해 서비스하는 컴퓨터를 말합니다. )
이제 접속이 되었습니다.
그럼 무엇을 해야 되나? 우리가 접속한 MySQL에 우리가 사용하는 하나의 DB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가 사용할 DB를 선택해 주어야 합니다.
mysql_select_db( DB 이름, MySQL 위치 );
위 함수가 DB를 선택하는 함수입니다.
선택할 DB이름과 MySQL 위치를 알려 줘야 하는데 MySQL 위치는 전에 mysql_connect()로 MySQL에 접속했는데 이 결과 값을 넣어 주면 됩니다.
즉,
$connect = @mysql_connect( 호스트 이름, 접속 아이디, 접속 암호 );
@mysql_select_db( DB이름, $connect);
여기서 @은 에러가 나도 멈추지 말라는 뜻입니다.
정리하겠습니다.
MySQL은 방이 무지 많은 커다란 저택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DB는 각각의 방입니다.
방안의 사람을 찾아 가려면 먼저 집을 찾습니다.
$connect = @mysql_connect( 호스트 이름, 접속 아이디, 접속 암호 );
그런데 집이 무지 넓어 방을 찾아도 나중에 못찾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현관문앞에 방의 위치를 적어 놓은 메모를 남겨 좋습니다.
@mysql_select_db( DB이름, $connect);
그런후 방을 찾아 방안의 사람과 대화를 하면 됩니다.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집의 위치만 기억하면 됩니다. 현관문에 쪽지를 두었으니 방을 찾기는 쉽습니다.
그런 이유로 앞으로의 작업은 집의 위치( $connect ) 만 알면 됩니다.
단, 처음에 쪽지는 꼬~옥 적어 두어야 합니다.
$connect = @mysql_connect( 호스트 이름, 접속 아이디, 접속 암호 );
@mysql_select_db( DB이름, $connect);
함수( 작업할 데이타, $connect);
........ 소스 계속~
첨 소스에 or 하고 뒤에 무언가 붙죠?
or 는 또는 이라는 뜻으로 앞에 함수를 실행하거나 또는 ~~을 해라 그런 뜻입니다.
즉, 앞에 함수 정상 실행하지 못했을 경우 or 뒤의 문장을 실행합니다.
여기서는 에러 메세지를 출력하고 전화면으로 가도록 했습니다.
if($connect) {
@mysql_close($connect);
unset($connect);
}
위의 소스는 현관문을 닫고 집을 떠나라는 것입니다.
우리의 주인공은 머리가 나빠 금방 잊어 버립니다.
2. DB 사용
이번에는 DB안에서 작업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result = mysql_query( 작업, $connect );
위의 함수는 DB에 명령을 전달하는 함수 입니다.
변수 = 함수 와 같은 모습을 위에서 계속 보고 지나 왔는데 이것은 함수의 결과를 변수에 저장하라는 겁니다.
아래 내용은 여러 작업을 예로 든것입니다.
각각의 내용은 연재를 진행해 나가면서 천천히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 테이블 생성
mysql_query( "create table 테이블명 ( 내용 )", $connect );
// 테이블 삭제
mysql_query( "drop table 테이블명", $connect );
// 한줄 추가
mysql_query( "insert 테이블명 ( 필드명 ) values ( 데이타 )", $connect );
// 한줄 선택
mysql_query( "select 필드명 from 테이블명", $connect );
// 한줄 삭제
mysql_query( "delete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 );
다음시간에는 게시판에 필요한 테이블을 만들고 MySQL에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추천
0
0
댓글 2개
고맙구요..
수고 하시네요^^
수고 하시네요^^

음..
드뎌.. 쮸쮸니님.. 에 대항할 강적이 나타났습니다..
~~ㅎㅎ
드뎌.. 쮸쮸니님.. 에 대항할 강적이 나타났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