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호스팅을 준비중인데 이정도면 괜챤은가요?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서버 호스팅을 준비중인데 이정도면 괜챤은가요? 정보

서버 호스팅을 준비중인데 이정도면 괜챤은가요?

본문

이번에 서버 호스팅을 신청하고 준비중인 건데 서버 호스팅은 처음이라
 
아래의내용이 뭔말인지 이해가 안가는 부분도 있고 조언을 받고자 합니다.ㅎㅎ
 
이정도 사양이면 괜챤은지 조언좀 부탁 드려요^^
 
 
 
서버 모델명 bul12.gif 
Power 64bit 350 btn_server_regist.gif 신청 종류 bul12.gif  구입형 랜탈형 서버구입비  bul12.gif  800,000 원 (1년 약정) 무 료 월 사용료 bul12.gif  60,000 원/월 90,000 원/월 월 회선비
( 선 택 )
3M 기본 제공 ( 월 600GByte 보장 ) 5M 20,000 원 추가 8M 50,000 원 추가 10M 80,000 원 추가 상면비  bul12.gif  10,000 원 (1년 약정시 무료) server_detail3.gif
최신 Dual Core 64bit CPU로 환상적인 퍼포먼스 제공
300W 파워로 안정적으로!! 최상의 가격대 성능비 보장
CPU bul5.gif   AMD Athlon64 X2 Windsor 3800+
RAM bul5.gif   DDR2 1GB (PC4200)
HDD bul5.gif   SATA-II 160G HDD (7,200RPM/8M)
M/B bul5.gif  - AMD Athlon 64 FX / Athlon 64 / Athlon 64 X2 support
 - HyperTransport , AMD Cool'n'Quiet 기술
 - nVIDIA GeForce 6100 + nForce 410 MCP Chipset
 - ATA-133 / S-ATA II X 2 ( RAID 0 /1 )
 - 4GB Dual Channel DDR400/333/266 DDR SDRAM
 - nVidia NV44 Graphics Graphics
 - Onboard 10/100M Ethernet Adapters
CHASSIS bul5.gif  - 1U Rack Mount Chassis
 - Max 4 Cold-swap HDD Support
 - 300 Watts Power supply
 - 43.2(H)×430(W)×645(D)
dot_circle.gif 서버 H/W 특징
ico_cpu.gif AMD Athlon64 X2 Dual Core
- AMD Athlon64 X2 윈저(Winsor) 3800+프로세서는 AM2의 소켓 규격을 준수하며 90nm의 향상된 제조 공정으로 제작되어 2.0Ghz, 1Ghz(HyperTransport)의 시스템 버스로 동작합니다.L1 캐시 128KB+128KB, L2 캐시 512KB+512KB 가 장착되어 있고 32bit는 물론 64bit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며2개의 Athlon64 프로세서가 집적된 듀얼코어를 제공
ico_cpu.gif Hyper Transport™
- 2000Mhz 시스템 버스로 최고 14.4GB/s의 프로세서와 시스템 간 총 대역폭을
  늘려 병목현상을 제거하고 시스템 대기시간을 단축해 높은 시스템 성능 향상
- CPU내 메모리 컨트롤러를 내장하여 메모리-CPU간의 데이터 교환을 기존
  보다 많이 빠르게 할 수 있어 전체적인 데이터 처리능력을 향상
ico_mb.gif Cool'n'Quiet & PowerNow
- 바이러스 보호 기능 (EVP) 을 비롯, 혁신적인 시스템 레벨 기술인
  쿨엔콰이어트(Cool'n'Quiet) 와 파워나우!(PowerNow!) 제공
ico_mb.gif DUAL CHANNEL MEMORY
- 메모리의 억세스 대역과 속도를 두배로 높이는 기술
- CPU와 메모리 사이의 병목이 줄게됨
- 램 두개를 쌍으로 설치할 때 듀얼 채널 성능이 나옴
ico_hdd2.gif SATA-II
- 메모리의 억세스 대역과 속도를 두배로 높이는 기술
- CPU와 메모리 사이의 병목이 줄게됨
- 램 두개를 쌍으로 설치할 때 듀얼 채널 성능이 나옴
ico_raid2.gif RAID
- RAID는 HDD 여러개를 묶어서 하나의 디스크로 사용해줄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   하드디스크의 탁월한 성능 향상과 RAID 종류별 다양한 백업의 솔류션 제공
- RAID 0/1/0+1 지원
추천
0
  • 복사

댓글 20개

서버 사양 괜찮네요.
웹서버용도에 많은 접속자 부분에는 아파치 컴파일할때
수정하셔서 컴파일 하세요.
컥.. 이제 서버도 일반 데탑가지고 서비스 하는군요
하긴 서버,데탑의 개념이 모호해질 정도로 모든 pc의 안정성과 성능이 상향평준화 됬으니요^^
cpu가 제 데탑과 같은거네요
안정성이나 성능은 좋습니다만 파란색으로 강조한 쿨엔콰이어트.
이건 서버의 퍼포먼스 면에서는 오히려 감점요소인데..
cpu가 놀때는 클럭을 1기가헬츠 대로 떨어트리고 cpu점유가 높아지면 2기가의 제 클럭으로 돌아가는건데(인텔의 스피드스텝과 비슷)
그 응답성이 재빠르긴 하지만 프로세서 사용률의 고저를 수시로 넘나드는 웹서버에서는 성능상의 약간 감점 요소죠.
즉, 쿨엔콰이어트 기능 꺼버린 상태로 100이란 성능 낸다면 쿨엔콰이어트 기능 쓰면 90 정도의 성능을 내지요.
(만약 cpu가 계속 100%에 가깝게 쓰인다면 사용하나 안하나 같은성능 내겠지만요)
어째껀 이정도의 빵빵한 하드웨어의 서버호스팅이 이렇게 싼줄은 몰랐네요
그리고 비싼거 1대 돌리는거 절대 비추 합니다. 저사양 2대가 훨 나아요.
1대의 경우 웹과 DB 트래픽이 동시에 걸리면 lock 현상이 발생해서 성능이
급격하기 떨어지는 문제가 생기더라구요.
외국 웹호스팅 개념은 우리나라와 조금 다른 것같아요. 저는 ixwebhosting.com 을 사용하고 있는데 도메인 16개 넣을 수있고, 섭도메인은 무제한이고, 용량무제한 디비무제한, 하루트래픽 무제한입니다. 그리고 서버운영관련 모드도 잘되어 있습니다. 한달에 7불, 우리나라돈으로 7000원이고, MS쪽일경우에는 3000원만 더 추가하는데 좋더라구요.... 한국에서 접속속도가 어떤지 모르지만 여기서는 한국하고 비교했을때, (홈페이지 제작하고 같은 파일로 한국과 미국 테스트해보면 비교도 안되게 빠르거든요....) 구글에서 web hosting이라고 해보세요. 그러면 탑10 이라는거 나오는데 용량이 장난아닙니다. 그럼...
외국 호스팅에 무제한이란게 트래픽양이 아니고 대역폭이라고 해야하나요? 그게 무제한이란거구요..한달 트래픽양 제한 있습니다..디비는 무제한 생성할수 있겠지만 동시접속 제한합니다..형편없어요..제가 외국 호스팅 여러군데 써봐서 경험 말씀 드립니다.
넵 제가 잘못 말했네요.... 하루트래픽은 항상 제한이 있습니다. 모든 호스팅에....^^;; 무제한에 흥분해서요.... 제가 쓰는 것은 4000G 제한입니다.
저도 호스트먼트 약 2년 넘게 서버 사용 하는데 괜찮았는데...
요즘 그쪽으로 호스트먼트쪽 전체 서버로 공격이 와서 4월달에 접속이 대략 30분넘게 안되고...
지난번에도 이런 경우가 있었지요.
요즘 호스트먼트쪽을 누가 고의적으로 노리나 하는 생각이 ^^

전체적으로 서비스에 만족 합니다. 다만 요즘 조금 불안한 마음이 들기는 하지만요.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