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공부하려면 어떤 책이 좋나요?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서버 공부하려면 어떤 책이 좋나요? 정보

서버 공부하려면 어떤 책이 좋나요?

본문

여러개의 사이트를 운영해야해서

서버를 임대해서 사용해야하나 싶어 서버공부를 좀 하려고 합니다.

 

서버 공부하기에 적당한 입문서가 있을까요?

 

 

추천
0
  • 복사

댓글 18개

각자마다 보는 책이 다르겠지만. 전 개인적으로 sulinux 서버 구축으로 보통 이용 합니다.
사람 마다 틀리겠죠 ^^
예희아빠님, 일산사랑님 신경써 주셔서 감사합니다~
요 몇일 블로그 및 카페로 공부하고 있는데 제 생각보다 훨씬 방대하더군요
여지껏 했던 홈페이지 수십개 만드는 것보다 더 어려운 일 같네요..ㅎㅎ
수십개 홈페이지를 제작하다 보니 관리하기가 좀 힘들어서
차라리 서버를 들여서 해야하나 생각하고 있는데 어떻게 해야할런지 감이 안오네요..
다른 리눅스 유저들이 있을텐데 어느 리눅스가 좋다고 딱 말하기는 어렵지만. sulinux 가 웹호스팅을 하기는 잘 구성 되어 있습니다.
책과 함께 구매 하시고 낮은 사양의 컴퓨터 한대를 구하셔서 설치 해보세요.
처음 설치는 그냥 기본 세팅으로 하시고 실력 느시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하시면됩니다.
뭔가를 배우는것은 시간이 걸리는 일입니다. 마지막 별명님의 나이를 가늠 할수는 없지만
나이를 많고 적고를 떠나서 여유를 가지면서 하나씩 배워 가야 합니다. 프로는 없습니다. 단지 남들보다 먼저 시작하고
꾸준하게 하는것이 중요 합니다.
저도 리눅스 공부 참 어렵게 했습니다. 책 엄청 사서 보고 리눅스 수백번을 설치 했을겁니다. 하지만 아직 모르는 부분이 많습니다.

저의 극히 개인적인 생각으로 리눅스 배우는 순서를 말씀 드린다면
설치 ->아파치,php,mysql 설치(요즘은 간단합니다.)-> 사용자 생성 - >아파치,php 설정(생성을 해야 설정부분에 좀더 알수 있다고 생각해서요)
이렇게 하시면 기본 웹은 볼수 있을겁니다.
그리고 더 있죠 ^^;; dns 설정, httpd 설정, 등 웹에 관련된 설정을 익히셔야 합니다. 문서도 잘 정리 하셔야 하고요.
그리고 디스크 관리(하드 추가,삭제, 파티션,용량 확인등..) 그리고 사용자별로 용량 제한 거는것
그리고 백업 .. 사실 백업을 먼저 하면 좋은데.. 공부로 했을때는 하드 개념을 가지고 하시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외 많습니다. 추가 설치 부터 보안.. 말하면 한도 끝도 없지만 먼저 차근 차근 한번 해보시라 권합니다.
윈도우와 틀리게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전혀 다르게 구현 될수 있고 그러니까요..
책을 추천 하자면 "서자룡의 SUlinux 서버구축관리실무" 를 먼저 보시고 병행 해서 "리눅스 서버관리 실무 바이블 3.0"를 보세요
그리고 나서는 본인이 책을 고를수 있는 정도의 수준은 되실겁니다.

참고로 전 이책 출판 회사와는 전혀 상관 없는 인물입니다. ^^; 책광고로 보일까봐 ㅜ.ㅜ

서버를 들이는것은 관리를 할수 있어야 가능 합니다. 잘못 하면 사업에 큰 악영향이 올수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아직 마흔 넘은지 얼마 안되서 머리가 많이 굳지는 않았습니다. ㅎㅎ
리눅스 >APM 까지는 말씀대로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듯 한데 그다음이 매우 어려운 공부군요
책 사서 겨울내내 공부해야겠습니다~
책으로 추천 하자면
서자룡의 SUlinux 서버구축관리실무
CenOS 리눅스 구축관리 실무
추천드립니다. 참고로 구매 하라는 뜻은 아니고 중고 서적도 많고 가까운 도서관에서도 대여가 가능 합니다^^
책을 보면서 오탈자나 기타 컴파일 안되는 부분도 몇가지 있고요.
참고로 건너 뛴것도 있습니다.
즉.. 대충 자료만 책으로 공부 하시고 안되는 부분은 블로그나 구굴에서 검색 하시면 보다 더 쉽게 공부 하실수 있습니다.

책 하나 정도 잇으면 두고두고 사용할수 있고 추후에 컵라면 뚜껑으로 활용 가능 하므로 책 으로 공부 하세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
서자룡의 SUlinux 서버구축관리실무 << 요 책이 참 좋은 책인가네요
컵라면 뚜껑으로 쓰고 목침으로 쓰는 일이 있더라도 일단 책부터 사서 봐야겠네요..
경험상 무턱대고 몇번 읽고 실무를 시작하면 진도가 좀 더 빨리 나가더군요..
이전에는 리눅스 배울 것이 많았습니다.
투닝도 해줘야하고,
접속자 통제도 해야하고.
그러나 요즘은 그런 요구들을 대부분 적용하고 있어 달리 리눅스 서버라고 깊이 들어갈 필요는 없을 듯합니다.
리눅스 프로그램을 하지 않는 이상은요.
저도 15년전후쯤 일까요? 슈퍼유저에서 책 구입해서 보았는데,
참 내용이 알차게 되어 있었던걸로 기억되네요,ㅎㅎ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