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 사용기............... 정보
SSD 사용기...............
본문
지난주에 SSD가 왔어요... 근데 귀찮아서 후기같은거 안올렸었죠..ㅋㅋ
접속도 못했는데...ㅠㅠ
짤방 참고해주시구요..
테스트한 컴터 사양은 노트북 Intel C2D P8600 (2.4GHz) / 4GB메모리 / 지포스 9600 .. 대략 이정도..
Transcend의 64GB MLC SDD입니다.. 2.5인치 노트북용이구요...
일단 무게면에서... 기존 2.5인치 하드디스크에 비해 1/3무게정도...?
대충 느낀게 그정도입니다.. 이거뭐냐.. 장난감이야?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
그냥 플라스틱 모형같은...
암튼 기존 하드와 교체했습니다.
그리고 구워둔 윈도7 테스트버전을 설치했습네다..
뭐.. 첨으로 설치해보는 윈도7 이라서 설치 속도면에서 차이는 못 느끼겠고..
다 설치된 뒤에는 구동속도가 장난이 아니더군요.. 근에 영문이고 드라이버도 몇가지가 잡히질 않아서 그냥 기존에 쓰던 윈도우로 고스트 쏴서 복구 시켰습니다.
음.. 근데 걱정했던 현상이 맞는지 아닌지는 모르겠는데..
프리징이라고하나요...?
작업중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현상...
자주 발생하더군요...
어찌보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속도를 제외하고는 하드보다 안정성이 떨어지는듯..;;
물론 설치하고 백업떠둔 고스트 이미지에 사용하지 않는 유틸들도 많아서 그 영향인지는 모르겠지만..
만족스럽지는 않네요.. 그냥 기분이랄까...;;
암튼.. 퍼포먼스는 높이살만합니다. 안정성면에서 점차 개선이 되겠져...?
이휴.. 윈도나 다시 깔아봐야겠습니다...
좀 쓰는것들만 설치해서 사용을 해야지...
댓글 전체

윈도우 현재까지 버전에서는 ssd를 물리계층에서 제대로 지원해주기 힘들 것 같습니다.
defragmentation 개념도 디스크와 완전히 틀리고.. 버퍼개념도 완전히 틀려지는게 아닌지..
뭔가 드라이버계층부터 완전히 기본개념 설계가 달라지기때문에 소프트웨어도 최적화되어 나오려면 윈도7버전도 정식으로 나오고 나서 확실히 쓸만해지지 않을까..
defragmentation 개념도 디스크와 완전히 틀리고.. 버퍼개념도 완전히 틀려지는게 아닌지..
뭔가 드라이버계층부터 완전히 기본개념 설계가 달라지기때문에 소프트웨어도 최적화되어 나오려면 윈도7버전도 정식으로 나오고 나서 확실히 쓸만해지지 않을까..

훔.. 아마도 그런것 같아요..
리눅스등의 서버운영체제에서는 어떻게 동작할지가 궁금하네요..
실제로 서버등에서도 사용되고 있는것을 보면 아직까지 큰 문제는 없나본데..
물론 싸구려 SSD가 아니겠지만요...ㅋㅋ
MLC는 암튼 프리징이나 수명 문제때문에.. 안습..
리눅스등의 서버운영체제에서는 어떻게 동작할지가 궁금하네요..
실제로 서버등에서도 사용되고 있는것을 보면 아직까지 큰 문제는 없나본데..
물론 싸구려 SSD가 아니겠지만요...ㅋㅋ
MLC는 암튼 프리징이나 수명 문제때문에.. 안습..
삼성에서 요즘 출시되는 SSD는 프리징이 없다고 하던데요...
외국인들이 SSD 여러개 레이드로 연결해서 실험하는 동영상을 봤는데요,,
삼성 것을 사용하던데....
메모리 쪽은 삼성이 세계적으로 알아주는 회사니까,,
SSD도 삼성 브랜드가 좋지 않을까요???
아직 SSD가 대중화되지 않아서 뭐라 비교할 자료를 찾기 힘들지만요,,,
외국인들이 SSD 여러개 레이드로 연결해서 실험하는 동영상을 봤는데요,,
삼성 것을 사용하던데....
메모리 쪽은 삼성이 세계적으로 알아주는 회사니까,,
SSD도 삼성 브랜드가 좋지 않을까요???
아직 SSD가 대중화되지 않아서 뭐라 비교할 자료를 찾기 힘들지만요,,,

ㅋㅋㅋㅋ SSD 24개로 6TB구성한거 말씀이신가요?
암튼 대박이더군요..ㅋㅋ
뭐 오피스 0.5초안에 뜨는건 같습니다만 기본적인 시스템 구성도 노트북보단 훨씬 나으니....
암튼 무난히 돌아가기만 하면 좋은데 죽겠네여..
수시로 푸리푸리징징징거려서 ㅠㅠ
암튼 대박이더군요..ㅋㅋ
뭐 오피스 0.5초안에 뜨는건 같습니다만 기본적인 시스템 구성도 노트북보단 훨씬 나으니....
암튼 무난히 돌아가기만 하면 좋은데 죽겠네여..
수시로 푸리푸리징징징거려서 ㅠㅠ
그리고, 프리징 현상이 있으면, 교환 가능하지 않나요???
서비스 기간 내에는 교환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하드는 AS가 편한 곳에서 구입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서비스센터에서 대부분 무상 교환해주는 삼성의 AS가 그래서 좋다는...
서비스 기간 내에는 교환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하드는 AS가 편한 곳에서 구입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서비스센터에서 대부분 무상 교환해주는 삼성의 AS가 그래서 좋다는...

아 교환 가능한가요..?
근데 귀찮아서..ㅠㅠㅋㅋ
쓰고있는넘을 뜯어서 보내기도 그렇고..ㅠ
기존의 하드는 이미 파티션 합쳐서 데이터용으로 만들어버렸어요 ㅋㅋ
근데 귀찮아서..ㅠㅠㅋㅋ
쓰고있는넘을 뜯어서 보내기도 그렇고..ㅠ
기존의 하드는 이미 파티션 합쳐서 데이터용으로 만들어버렸어요 ㅋㅋ

교환불가입니다.

아 뭐든간에 결국 다 윈도7이 나와보고 결정하게 될 듯..

ㅋㅋㅋ 그렇죠..
나름 인터페이스도 맘에들고.. 구동이 비스타보다 나은거같아요..
물론 차기작이니 나아져야 정상이지만요 ㅋ
나름 인터페이스도 맘에들고.. 구동이 비스타보다 나은거같아요..
물론 차기작이니 나아져야 정상이지만요 ㅋ
제가 검색을 해 보니, SSD도 종류가 여러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SLC방식과 MLC방식의 차이가 있는데,
MLC 방식은 SLC 방식에 비해 가격은 저렴하지만, 성능이 딸린다고 합니다.
아래 뉴스를 살펴보면,,,,,,,,
SSD를 구입할 때는 무엇을 고려해야 할까? 업체 관계자는 “SSD를 구입할 때 데이터 저장 방식을 살펴봐야 한다”고 말한다. 데이터 저장 방식에는 MLC(멀티 레벨 셀)와 SLC(싱글 레벨 셀)가 있는데 MLC는 SLC에 비해 용량이 크고 가격이 저렴한 대신 속도가 느리다. 또한 작업 도중 멈추는 프리징 현상이나 장시간 작업 시 속도가 느려지는 등 안전성과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
http://www.ebuzz.co.kr/content/buzz_view.html?ps_ccid=73707
대표적으로 SLC방식과 MLC방식의 차이가 있는데,
MLC 방식은 SLC 방식에 비해 가격은 저렴하지만, 성능이 딸린다고 합니다.
아래 뉴스를 살펴보면,,,,,,,,
SSD를 구입할 때는 무엇을 고려해야 할까? 업체 관계자는 “SSD를 구입할 때 데이터 저장 방식을 살펴봐야 한다”고 말한다. 데이터 저장 방식에는 MLC(멀티 레벨 셀)와 SLC(싱글 레벨 셀)가 있는데 MLC는 SLC에 비해 용량이 크고 가격이 저렴한 대신 속도가 느리다. 또한 작업 도중 멈추는 프리징 현상이나 장시간 작업 시 속도가 느려지는 등 안전성과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
http://www.ebuzz.co.kr/content/buzz_view.html?ps_ccid=73707

원래 생각없이 사려했는데 아는후배가 문제점에관해 몇가지 링크를 보내줘서 SLC과 MLC의 차이점과 이런저런 문제점들을 확인했습니다만..
돈이 딸리는지라 SSD를 함 느껴나보자... 하고 그냥 질렀어요 젤 싼걸로 ㅋㅋ
감수해야죠뭐..ㅠㅋㅋ
돈이 딸리는지라 SSD를 함 느껴나보자... 하고 그냥 질렀어요 젤 싼걸로 ㅋㅋ
감수해야죠뭐..ㅠㅋㅋ

SLC가 더 좋은건 맞지만 결국 MLC가 대세가 될거라고 USB메모리 업체 관계자에게 들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SLC, MLC가 아니고 이를 제어하는 콘트롤러가 핵심이라고 합니다.
MLC가 가격은 싸지만 콘트롤러 제어가 힘들어 속도등에서 SLC에 한참 밀렸지만 발전속도는 MLC가 훨씬 더 빠르다고 합니다.
(당연히 싼 메모리로 빠르게 만들면 더 많이 남으니까요...)
요즘은 MLC인데 SLC 보다 빠른 USB가 나타나고 있고, SLC는 경쟁력에 밀려 잘 안나오더군요..
실제 전 회사에서 빠른 속도가 필요해서 별도로 SLC로 제작을 해달라고 주문을 했었는데, SLC 메모리는 재고를 안 두고 주문할때 마다 별도로 삼성에서 박스별로 사와야 해서 주문할때 1,000개~2,000개 단위로 발주해야 한다고 하더군요.
아마 SSD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중요한 것은 SLC, MLC가 아니고 이를 제어하는 콘트롤러가 핵심이라고 합니다.
MLC가 가격은 싸지만 콘트롤러 제어가 힘들어 속도등에서 SLC에 한참 밀렸지만 발전속도는 MLC가 훨씬 더 빠르다고 합니다.
(당연히 싼 메모리로 빠르게 만들면 더 많이 남으니까요...)
요즘은 MLC인데 SLC 보다 빠른 USB가 나타나고 있고, SLC는 경쟁력에 밀려 잘 안나오더군요..
실제 전 회사에서 빠른 속도가 필요해서 별도로 SLC로 제작을 해달라고 주문을 했었는데, SLC 메모리는 재고를 안 두고 주문할때 마다 별도로 삼성에서 박스별로 사와야 해서 주문할때 1,000개~2,000개 단위로 발주해야 한다고 하더군요.
아마 SSD도 마찬가지 아닐까요?

아흥.. 그러쿤요 ㅠㅠ
암튼.. 오늘 전화해봤는데...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있긴 하다네여...ㅋ
검색해보면...;;ㄴㅁ ㅋㅋ
암튼.. 오늘 전화해봤는데...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있긴 하다네여...ㅋ
검색해보면...;;ㄴㅁ ㅋㅋ

sdd의 프리징 현상은 컨트럴러문제가 맞고요 프리징때문에 교환되지는 않습니다.
수퍼캐쉬를 사용하면 대폭 개선은 되지만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수퍼캐쉬를 사용하면 대폭 개선은 되지만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ㅋㅋ 그냥 문의해봤는데..
프리징때문에 불만접수된건 첨이래여 제가 ㅋㅋㅋㅋㅋㅋ
전 단지 SSD를 첨 써본거고.. 예상외로 프리징이 많이 생겨서 문의한건데..ㅋㅋ
암튼.. 좀 완와시키는 방법들이 검색하면 나온다길래..
검색중입니다 ㅋ
프리징때문에 불만접수된건 첨이래여 제가 ㅋㅋㅋㅋㅋㅋ
전 단지 SSD를 첨 써본거고.. 예상외로 프리징이 많이 생겨서 문의한건데..ㅋㅋ
암튼.. 좀 완와시키는 방법들이 검색하면 나온다길래..
검색중입니다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