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 없는 직원에게도 최저연봉 7만달러 줬더니… >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능력 없는 직원에게도 최저연봉 7만달러 줬더니… 정보

능력 없는 직원에게도 최저연봉 7만달러 줬더니…

본문

 

지난 4월 자신의 연봉 90%를 반납해 직원들의 최저임금을 연 7만달러(약 8200만원)로 인상한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창업자가 3개월 만에 우수 인재의 이탈과 자금난으로 경영난을 겪고 있다. 
자신이 사는 집까지 임대를 위해 내놓는 등 곤경에 처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시애틀의 신용카드 결제회사인 그래비티페이먼츠의 댄 프라이스 최고경영자(CEO·사진)가 
직원 120명의 최저임금을 인상하기로 한 뒤 예상치 못한 역풍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당시 프라이스의 결정에 젊은 구직자는 물론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조차 열광적인 환호를 보냈고, 프라이스는 
졸지에 소득 불평등 문제를 스스로의 힘으로 해결한 영웅이 됐지만 현실은 그의 예상과 딴판으로 흘러갔다.

NYT는 먼저 회사에서 가장 필요한 직원들이 회사를 떠났다고 전했다. 이들은 새로 갓 들어온 초짜 직원들의 
연봉이 2배로 뛴 반면 오랫동안 회사를 위해 일한 간부들은 아주 미미하거나 급여 인상 혜택을 전혀 못 받는 것은 
불공정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단기간의 급여 인상이 예상과 달리 생산성 향상이나 업무 성과 증대로도 이어지지 않았다. 회사에서 웹 개발을 
맡았던 그랜트 모란은 “직원들이 단순히 출퇴근 카드에 도장을 찍기 위해 회사에 다녔고 결과적으로 뛰어난 
성과를 올리던 직원들의 동기를 떨어뜨렸다”고 말했다.

회사의 영업도 어려움을 겪었다. 일부 고객은 프라이스의 최저임금 인상이 정치적 동기에서 시작된 것이라며 
관계를 끊었고, 일부 고객은 프라이스가 수수료 인상을 기대했다고 실망하며 거래를 중단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프라이스를 곤경에 빠뜨린 것은 친형이자 회사 지분 30%를 보유한 공동 창업자 루카스 프라이스가 그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것. 최저임금 인상 결정 으로 회사를 잠재적 위험에 빠뜨렸다는 게 이유였다.

지난해 회사가 벌어들인 영업이익 220만달러는 급여 인상으로 모두 소진됐고, 소송비용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쌓이면서 프라이스는 자신의 집을 내놓는 상황까지 몰렸다.

프라이스는 NYT에 자신은 똑똑하고,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 중산층으로 살 수 있는 여유를 갖기를 희망했다며 
소득 불평등을 해결하려는 자신의 생각이 의도하지 않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다고 밝혔다.

당시 프라이스의 파격적인 결정은 뜨거운 찬반 논란을 불렀다. 대다수는 그의 결정을 환영했지만 일각에서는 
의도는 좋으나 자본주의 질서를 무너뜨리는 결정이라는 지적이 일었다. 한 경제학과 교수는 NYT에 
“행복한 노동자가 생산적인 노동자가 될 것이라는 생각은 오산”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뉴욕=이심기 특파원 ***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이메일주소 노출방지 ***






































이상 소설
이하 원문


원문 - A Company Copes With Backlash Against the Raise That Roared (NYT)
자신이 사는 집까지 임대를 위해 내놓는 등 곤경에 처했다.

⇒ 자신이 사는 집을 임대를 위해 내놓았다는 말은 원문에 없습니다.

당시 프라이스의 결정에 젊은 구직자는 물론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조차 열광적인 환호를 보냈고

⇒ "Harvard business professors flew out to conduct a case study.“

사례 연구를 했다는 말입니다. 하버드 교수가 열광적인 환호를 보냈다는 말은 원문에 없습니다.
NYT는 먼저 회사에서 가장 필요한 직원들이 회사를 떠났다고 전했다.

⇒ “Two of Mr. Price’s most valued employees quit…“

두 명만 떠났습니다.

회사에서 웹 개발을 맡았던 그랜트 모란은 “직원들이 단순히 출퇴근 카드에 도장을 찍기 위해 회사에
다녔고 결과적으로 뛰어난 성과를 올리던 직원들의 동기를 떨어뜨렸다”고 말했다.

⇒ The new pay scale also helped push Grant Moran, 29, Gravity’s web developer, to leave. “I had 
a lot of mixed emotions,” he said. His own salary was bumped up to $50,000 from $41,000 
(the first stage of the raise), but the policy was nevertheless disconcerting. 
“Now the people who were just clocking in and out were making the same as me,” he complained.
“It shackles high performers to less motivated team members.”

모란이 한 말을 그대로 번역하면 "만감이 교차했습니다. 단순히 출퇴근 카드나 찍기 위해 회사 다니는 
사람들이 저랑 같은 봉급을 받게 되었어요. 그런 사람들이 이제 뛰어난 성과를 올리는 직원들에게
족쇄와도 같은 존재가 되어버린 겁니다.” 입니다. 자신의 처우에 대한 불만이지 회사 전체에 관한 이야기가 아닙니다.

회사의 영업도 어려움을 겪었다. 일부 고객은 프라이스의 최저임금 인상이 정치적 동기에서 시작된 것이라며 
관계를 끊었고, 일부 고객은 프라이스가 수수료 인상을 기대했다고 실망하며 거래를 중단하기도 했다.

⇒ “And the publicity surrounding it has generated tangible benefits. Three months before the announcement, the firm had been adding 200 clients a month. In June, 350 signed up.”

원문에 나온 언론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후 거래처가 월 150곳 이상 늘어났다는 이야기는 쏙 빠져있군요.
무엇보다 프라이스를 곤경에 빠뜨린 것은 친형이자 회사 지분 30%를 보유한 공동 창업자 루카스 프라이스가
그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것. 최저임금 인상 결정 으로 회사를 잠재적 위험에 빠뜨렸다는 게 이유였다.

⇒ Lucas, who lives in Seattle, declined to be interviewed but wrote in an email: “Dan has taken millions 
of dollars out of the company for himself while denying me the benefits of the ownership of my shares, 
and otherwise favoring his own interests as the majority shareholder over my interests.
” He said his complaints predated the pay raises.

친형 스스로 이번 소송은 최저임금 인상 결정과는 관계가 없다는 발언을 했다는 내용입니다.
프라이스는 NYT에 자신은 똑똑하고,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 중산층으로 살 수 있는 여유를 갖기를 희망했다며 
소득 불평등을 해결하려는 자신의 생각이 의도하지 않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다고 밝혔다.

⇒ “Income inequality has been racing in the wrong direction,” he said. “I want to fight for the idea that
if someone is intelligent, hard-working and does a good job, then they are entitled to live a 
middle-class lifestyte-.”

프라이스가 한 말을 그대로 번역하면 “소득 불평등은 잘못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어요. 전 똑똑하고 주어진 일을
잘 하는 사람은 중산층으로 살 수 있다는 생각을 위해 싸우고 싶습니다.” 입니다. “의도하지 않은 다른 방향"이라는
말은 원문에 없습니다.
한 경제학과 교수는 NYT에 “행복한 노동자가 생산적인 노동자가 될 것이라는 생각은 오산”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 원문에 없는 말입니다. "한 경제학과 교수"는 댓글러가 아닐까 조심스레 추측해 봅니다.
 

 

=========================================================================

기업 놈들 다른나라 입금 인상이 많아 지자 

소설 까지 써가면서 노예처럼 부릴려고 하네요. 

추천
0
  • 복사

댓글 2개

오랜만에 긴 글을 읽었습니다.
세상이 불평등하게 흘러가는 이유는 이처럼 긴 글을 읽어내지 못하는...
진득함, 꾸준함, 헌신 같은 과거의 인간다움을 잃어가는 우리 자신들의 탓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우리나라도 쥐어 짜내는 식을 탈피해야 하는데 언제쯤 정신을 차릴지....
하긴 아직도 그리스가 복지 때문에 망했다는 되도 않을 소리를 하는 것을 보면 아직 멀었다싶고 이넘에 나라는 싹 털리고 초기화가 한번 되야 정신차릴 나라라 미래가 암담하네요.

과연 순수한 노동의 댓가만으로 평생을 사는 대다수의 국민들에 비해 이나라 정치, 경제, 교육의 핵심인들은 얼마나 쉽게 남의 소득을 가로채 그들만의 부를 쌓아 권력을 쥐어 틀고 그 안에서 안주하며 살런지는 두고 볼 일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 SIRSOFT
현재 페이지 제일 처음으로